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춤 허용업소가 유흥주점과 유사한 영업을 한 경우 과세유흥장소 해당 여부 판단

서울행정법원 2023구합67453
판결 요약
서울 마포구 소재 춤 허용업소가 실제 영업 형태가 유흥주점과 사실상 유사하다면, 단순히 적법한 춤 허용업소로 지정됐더라도 개별소비세 등 부과 대상인 과세유흥장소 또는 무도유흥주점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다만, 증거가 부족하거나 단속사항이 없던 일부 기간은 제외됩니다.
#춤 허용업소 #유흥주점 #과세유흥장소 #무도유흥주점 #개별소비세
질의 응답
1. 춤 허용업소가 유흥주점과 유사한 영업을 하면 과세유흥장소로 보나요?
답변
네, 실질적으로 유흥주점과 유사한 방식으로 영업한 사실이 객관적으로 인정되면 과세유흥장소로 볼 수 있습니다.
근거
서울행정법원-2023-구합-67453 판결은 2015. 1. 1.~2019. 8. 22. 동안 클럽이 유흥주점과 유사하게 별도 춤 공간 설치, 입장료 징수 등의 운영을 해 과세유흥장소로 판단하였습니다.
2. 춤 허용업소이기만 하면 무도유흥주점 과세가 면제되나요?
답변
아닙니다, 춤 허용업소라는 법적 지위만으로는 무도유흥주점 해당 여부가 자동 결정되지 않고 실제 영업 실태를 따져야 과세 처분이 판단됩니다.
근거
서울행정법원-2023-구합-67453 판결은 춤 허용업소라도 실질 운용이 과세유흥장소·무도유흥주점에 해당하면 관련 세금이 부과된다고 하였습니다.
3. 영업장에 별도 춤추는 공간이 설치되었는지 어떻게 판단하나요?
답변
단속이력, 구조물 설치여부, 고객 이용방식 등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증빙자료에 의해 입증해야 합니다.
근거
서울행정법원-2023-구합-67453 판결은 무도장 설치, 단속기록, CCTV 등 증거를 토대로 춤 공간 설치여부를 판단하였습니다.
4. 입장료를 받으면서 춤 공간을 제공했다면 어떻게 되나요?
답변
입장료 징수와 별도 춤 공간 제공은 유흥주점과 유사 영업의 핵심 특성으로, 과세유흥장소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근거
서울행정법원-2023-구합-67453 판결은 입장료 징수 및 춤 공간 설치 영업형태가 유흥주점과 유사하다고 판시하였습니다.
5. 2019년 후반기부터 춤 공간을 철거했다면 세 부담은 어떻게 되나요?
답변
별도 춤 공간이 철거되고, 실제로도 춤추는 공간이 운영되지 않았음이 증거상 확인된다면 그 기간에 대한 세금 부과는 취소됩니다.
근거
서울행정법원-2023-구합-67453 판결은 2019. 8. 23. 이후 별도 춤 공간 운영이 증명되지 않아 해당 기간 과세 부과처분을 취소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요지

적법하게 운영되는 춤 허용업소가 아니라 유흥주점과 사실상 유사한 영업을 하는 장소 내지 무도유흥주점이었다고 봄이 타당함

판결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상세내용

사 건

2023구합67453 개별소비세등부과처분취소

원 고

베AA획

피 고

○○세무서장

변 론 종 결

2024. 10. 11.

판 결 선 고

2024. 12. 13.

주 문

1. 이 사건 소 중 385,183,000원을 초과하는 2019 사업연도분 현금영수증 발급 불성실

가산세(법인세) 부과처분에 대한 취소 청구 부분을 각하한다.

2. 피고가 2020. 8. 10. 원고에게 한, 2019년 8월분부터 2019년 12월분까지의 별지 1

목록 ⁠‘잔존세액’란 기재 금액의 각 개별소비세 및 교육세 부과처분(각 가산세 포함)및 2019 사업연도분 현금영수증 발급 불성실 가산세(법인세) 385,183,000원의 부과

처분을 각 취소한다.

3. 원고의 나머지 청구를 기각한다.

4. 소송비용 중 75%는 원고가, 나머지는 피고가 각 부담한다.

청 구 취 지

피고가 2020. 8. 10.1) 원고에게 한, 별지 1 목록 ⁠‘잔존세액’란 기재 금액의 각 개별소비

세 및 교육세 부과처분(가산세 포함) 및 2019 사업연도분 현금영수증 발급 불성실 가산

세(법인세)2) 386,368,082원의 부과처분을 모두 취소한다.

이 유

1. 처분 등의 경위

가. 원고는 서울 마포구에서 2008. 11. 21.경 일반음식점으로 사업자등록을 한 ⁠‘클럽

AA’(이하 ⁠‘이 사건 클럽’이라 한다)를 운영하다가, 2016. 6. 2. 마포구청장으로부터 이

사건 클럽을 일반음식점 중 ⁠‘춤 허용업소’로 지정받았다.

나. 피고는 2020. 8. 10. 원고에게 아래 각 처분 등을 하였다(이하 아래 ①, ③항의 각

과세처분을 ⁠‘당초 과세처분’, ②항의 과태료 처분을 ⁠‘이 사건 과태료 처분’이라 한다).

① ⁠‘이 사건 클럽은 유흥주점과 유사한 장소로서 과세유흥장소’라며 2015년 1월분부터

2019년 12월분까지 별지 1 목록 기재 각 개별소비세 및 교육세 부과처분(가산세 포함)② ⁠‘이 사건 클럽 영업은 현금영수증 의무발행 업종인 무도유흥주점업’이라며 2015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의 기간에 관해 현금영수증 발급의무 위반의 과태료 부과처분

③ 위 ②항과 같은 사유로 2019년 사업연도분 현금영수증 발급 불성실 가산세(법인

세) 390,263,000원의 부과처분

다. 조세심판원은 2021. 9. 28. 적법하게 운영되는 ⁠‘춤 허용업소’는 과세유흥장소 및 무

도유흥주점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전제에서 당초 과세처분 등에 대한 원고의 심판청구에

관해 ⁠‘이 사건 클럽이 2016. 6. 2.부터 2019. 12. 31.까지 과세유흥장소 및 무도유흥주점 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재조사하라’고 결정(이하 ⁠‘이 사건 재조사 결정’이라 한다)하였다.

라. 이에 피고는 재조사를 진행하여 당초 과세처분 중 2016. 6. 2.부터 2019. 12. 31.

까지의 기간 중 마포구청 소속 공무원이 이 사건 클럽을 점검하여 적법하게 ⁠‘춤 허용

업소’로 운영되는 것을 확인하였던 각 점검일자 당일에 대응하는 별지 1 목록 ⁠‘취소세

액’란 기재 금액의 각 개별소비세 및 교육세 부분, 5,080,000원3)의 현금영수증 발급 불

성실 가산세 부분을 취소하였다(이하 당초 과세처분 중 남아있는 별지 1 목록 ⁠‘잔존세

액’란 기재 금액의 각 개별소비세 및 교육세 부분과 385,183,000원의 2019 사업연도분

현금영수증 발급 불성실 가산세 부분만을 ⁠‘이 사건 각 과세처분’이라 한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3 내지 5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이 사건 소 중 현금영수증 발급 불성실 가산세 386,368,082원의 취소 청구 중

385,183,000원을 초과하는 부분의 적법 여부

갑 제4, 5호증의 각 기재 및 변론 전체의 취지에 따르면, 피고가 2020. 8. 10. 원고 에게 한 2019 사업연도분 현금영수증 발급 불성실 가산세 부과처분 중 385,183,000원을 초과하는 부분은, 피고가 이 사건 재조사 결정 이후 취소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위 초과 부분의 취소를 구하는 소는 소의 이익이 없어 부적법하다.

3. 이 사건 각 과세처분의 위법 여부

가. 원고의 주장 요지

1) 이 사건 각 과세처분은 ⁠‘이 사건 클럽이 2016. 6. 2. 이후 과세유흥장소인지를 월별 로 구체적·객관적 자료로 입증해야 한다’는 등의 이 사건 재조사결정의 기속력에 반한다.

2) 이 사건 클럽은 과세유흥장소인 ⁠‘유흥주점과 유사한 장소’가 아니고, ⁠‘무도유흥주

점’에 해당하지도 않는다.

나. 관계 법령

별지 2 기재와 같다.4)

다. 판단

1) 이 사건 재조사 결정의 기속력 위반 주장에 대한 판단

가) 앞서 든 증거들 및 변론 전체의 취지에 따르면, 아래의 각 사실이 인정된다.

① 이 사건 재조사 결정의 주문은 ⁠‘이 사건 클럽이 2016. 6. 2.부터 2019. 12. 31.

까지 과세유흥장소 및 무도유흥주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재조사하라’는 것이다.

② 이 사건 재조사 결정의 이유에는 ⁠‘이 사건 클럽이 2016. 6. 2. 이후 과세유흥장

소에 해당하는지는 월별로 별도의 춤추는 공간 및 유흥종사자를 둔 사실이 구체적·객

관적인 증빙자료로 입증되어야 한다’고 하면서, ⁠‘이 사건 클럽의 홍보물 등 매체자료의

실제 촬영일, 이 사건 클럽에 설치된 CCTV 자료, 식품위생법령의 준수 여부에 대한

단속 주체의 점검 대상 및 기준, 위 기준에 객석 외에 별도의 춤추는 공간 및 유흥종사자를 두었는지 여부가 포함되는지 여부, 단속 주기 및 강도 등을 제출받아 이 사건

클럽이 과세유흥장소에 해당하는지를 재조사하여야 한다’는 내용과 ⁠‘원고가 2019 사업

연도에 무도유흥주점을 영위하였는지 여부도 이 사건 과태료 처분에 대한 법원의 확정

결정이 없는 이상 위와 동일하게 재조사하여야 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나) 그런데 앞서 든 증거들, 을 제1 내지 제5, 7 내지 10, 12, 13호증의 각 기재 내

지 영상(가지번호 있는 것은 각 가지번호 포함, 이하 같다)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더하

여 알 수 있는 다음의 사정들, 즉 ① 피고는 이 사건 재조사 결정에 따라 마포구청장

으로부터 춤 허용업소 현장조사 체크리스트를 제공받았고 그 점검사항에 ⁠‘영업장 내

손님들이 춤을 출 수 있는 별도의 공간 설치 여부’가 포함되어 있는 점, ② 피고는 마

포구청장 등을 통해 이 사건 클럽에 대한 점검 주기 등을 확인하기도 한 점, ③ 피고 는 원고 대표자 등에게 2016. 6. 2.~2019. 12. 31. 이 사건 클럽에 관한 CCTV 자료 등 을 요청하였는데, 모두 삭제하였거나 기존에 제출한 것 외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답변 을 받은 점, ④ 이 사건 과태료 처분에 대한 이의신청 사건의 항고심(2022. 10. 25. 자

서울서부지방법원 2021라2088 결정)은 ⁠‘마포구청장 등이 이 사건 클럽이 적법하게 운

영된 것을 확인한 점검일부터 그 다음 적법하게 운영된 것을 확인한 점검일까지는 이

사건 클럽에 별도의 춤추는 공간이 존재하지 않아 무도유흥주점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원고 주장에 관해 ⁠‘원고는 2015. 2. 6., 2017. 8. 17. 및 2019. 8. 22. 무도장 설

치로 각 적발된 바 있고, 위 주장의 기간에도 고객에게 입장료를 별도로 징수하는 방

식으로 영업을 하였던 점(무도시설의 설치 외에 이와 같은 영업행태를 설명하기 어렵

다), 위반기간인 2015. 1. 1.부터 2018. 12. 31.까지 이 사건 클럽 내 영업장에 구조적

변화가 있지는 않았고, 쉽게 이동이 가능한 탁자, 의자 등을 위치시켜 두어 객석과 무도장의 경계를 불분명하게 하여 두었던 것으로 보이는 점 등에 비추어 원고 주장과 같은

사정만으로 2015. 1. 1.~2018. 12. 31.까지 이 사건 클럽 내 무도장 존재 사실을 부인

할 수 없다’고 하였고, 대법원(2022마7107)도 위와 같은 판단을 수긍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

피고가 이 사건 과태료 처분에 관한 법원의 결정 내용과 가능한 범위 내에서 추 가 조사를 진행하여 획득한 자료를 토대로 마포구청장 등이 이 사건 클럽이 적법하게

운영되는 것을 확인한 점검일자 당일을 제외한 나머지 일자에 관한 이 사건 각 과세처

분을 유지한 것을 두고 이 사건 재조사 결정의 기속력에 반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2) 이 사건 클럽이 과세유흥장소나 무도유흥주점이 아니라는 주장에 대한 판단

가) 관련 규정

(1) 개별소비세법 제1조 제4항, 구 개별소비세법 시행령(2019. 2. 12. 대통령령 제

2953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3항은 유흥주점, 외국인전용 유흥음식점, 유흥

주점과 사실상 유사한 영업을 하는 장소를 과세유흥장소로 보고 유흥음식요금의 10% 에 해당하는 개별소비세를 부과하도록 정하고 있고, 위 시행령이 2019. 2. 12. 대통령

령 제29532호로 개정되면서 ⁠‘유흥주점과 사실상 유사한 영업을 하는 장소’에서 ⁠‘유흥종

사자를 두지 않고, 별도의 춤추는 공간이 없는 장소는 제외한다’는 내용이 추가되었다.

(2) 구 법인세법(2021. 12. 21. 법률 제1859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75조의6 제

2항 제3호, 제117조의2 제4항 본문, 같은 법 시행령 제159조의2, 소득세법 시행령 [별

표 3의 3], 구 한국표준산업분류(2024. 1. 1. 통계청고시 제2024-2호로 전부개정되기

전의 것)에 따르면, 무도유흥 주점(무도시설을 갖추고 술을 판매하는 주점) 업종을 경

영하는 내국법인은 건당 거래금액 10만 원 이상인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고 그 대금을 현금으로 받은 경우에는 상대방이 현금영수증 발급을 요청하지 아니하더라도 현금

영수증을 발급하여야 하고, 이를 위반한 경우에는 미발급금액의 20%를 해당 사업연도

의 법인세액에 가산하여야 한다.

나) 2015. 1. 1.부터 2019. 8. 22.까지의 기간에 관하여

조세심판원이 개별소비세법 시행령이 2019. 2. 12. 대통령령 제29532호로 개정되

어 시행되기 전의 기간에 대하여도 적법하게 운영되는 ⁠‘춤 허용업소’는 과세유흥장소 및 무도유흥주점이 아니라는 전제하에 이 사건 재조사 결정은 한 사실은 앞서 인정한

사실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더하여 인정할 수 있다.

그런데 앞서 든 증거들, 갑 제6호증의 기재 및 변론 전체의 취지를 더하여 알 수

있는 다음의 각 사정, 즉 ① 이 사건 클럽은 2015. 2. 6. 무도장 설치, 2017. 8. 17. 춤 을 출 수 있는 별도의 공간 설치, 2019. 8. 22. 춤을 출 수 있는 원통형 무대 구조물

설치로 단속되어 이후 원고가 영업정지나 시정명령 등의 처분을 받은 점, ② 2017. 8.

17. 단속 이전 이 사건 클럽의 테이블 외의 공간 면적이 작지 않아 보이고 원고가 입

장료를 별도로 징수하는 방식으로 이 사건 클럽을 운영하였던 것으로 보이는 점, ③

원고는 2017. 8. 17. 단속 이후 이 사건 클럽의 여유 공간에 추가로 테이블을 설치하기 는 하였으나 입장료를 별도로 징수하는 방식의 영업 형태는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보

이는 점, ④ 원고 주장에 의하면 고정식 테이블은 예약제 유료 객석으로, 이동식 테이

블은 예약제 객석이 아닌 양주를 1명 이상 구매한 사람만이 이용할 수 있는 유료 객석

이었다고 하는데, 입장료를 내었으나 위 각 객석을 이용하지 않은 고객들은 어떠한 형

태로 이 사건 클럽을 이용하였다는 것인지에 대해 상당한 의문이 드는 점, ⑤ 원고가

테이블 겸 의자라고 주장하는 일부 시설물은 이 사건 클럽을 이용하는 고객이 올라가춤을 추기에 충분한 형태를 갖추고 있던 것으로 보이고, 실제 해당 시설물에 올라가

춤을 추는 고객들이 있었으며, 원고도 이를 인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적어도 이 사건 클럽은 2015. 1. 1.부터 2019. 8. 22.까지 적법하게 운영

되는 ⁠‘춤 허용업소’가 아니라 유흥주점과 사실상 유사한 영업을 하는 장소 내지 무도유

흥주점이었다고 봄이 타당하다(마포구청 소속 공무원 등이 이 사건 클럽에 관해 적법

하게 ⁠‘춤 허용업소’로 운영되는 것을 확인한 각 점검일 당일 제외).

따라서 이와 다른 전제에 있는 원고의 이 부분 주장은 이유 없다.

다) 2019. 8. 23.부터 2019. 12. 31.까지의 기간에 관하여

원고가 2019. 8. 22. 마포구청장 등으로부터 춤을 출 수 있는 원통형 무대 구조물

설치를 이유로 단속되어 시정명령 등을 받은 사실은 앞서 본 바와 같다. 그러나 원고 는 그 직후 위 구조물을 철거한 것으로 보이고, 이후 이 사건 클럽에 ⁠‘영업장 내 손님

들이 춤을 추는 별도의 공간’이 있다는 등으로 단속되었다고 볼 만한 자료가 없으며,

피고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2019. 8. 23.부터 2019. 12. 31.까지 이 사건 클럽에 손님

들이 춤을 추는 별도의 공간이 있었다거나 이 사건 클럽 내 시설물이 실질적으로 춤을

추는 공간으로 활용되었다고 인정하기에 부족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다.

따라서 원고의 이 부분 주장은 이유 있다.

라) 소결론

결국 이 사건 각 과세처분 중 2019년 8월분부터 2019년 12월분까지의 각 개별소

비세 및 교육세 부과처분(가산세 포함), 2019 사업연도분 현금영수증 발급 불성실 가산

세 385,183,000원의 부과처분은 위법하여 취소되어야 한다(2019년 8월분 개별소비세 및

교육세 부과처분과 위 현금영수증 발급 불성실 가산세 부과처분의 경우 그 과세기간에 이 사건 클럽이 과세유흥장소나 무도유흥주점으로 운영된 기간이 포함되나, 이 사건에

서 제출된 자료만으로 정당한 세액을 계산할 수 없으므로 전부 취소를 면할 수 없다).

4. 결론

그렇다면 이 사건 소 중 385,183,000원을 초과하는 2019 사업연도분 현금영수증 발

급 불성실 가산세 부과처분의 취소 청구는 부적법하므로 이를 각하하고, 이 사건 각

과세처분의 취소청구는 위 인정 범위 내에서 이유 있으므로 이를 인용하고, 나머지 청

구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기각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출처 : 서울행정법원 2024. 12. 13. 선고 서울행정법원 2023구합67453 판결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판례 검색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춤 허용업소가 유흥주점과 유사한 영업을 한 경우 과세유흥장소 해당 여부 판단

서울행정법원 2023구합67453
판결 요약
서울 마포구 소재 춤 허용업소가 실제 영업 형태가 유흥주점과 사실상 유사하다면, 단순히 적법한 춤 허용업소로 지정됐더라도 개별소비세 등 부과 대상인 과세유흥장소 또는 무도유흥주점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다만, 증거가 부족하거나 단속사항이 없던 일부 기간은 제외됩니다.
#춤 허용업소 #유흥주점 #과세유흥장소 #무도유흥주점 #개별소비세
질의 응답
1. 춤 허용업소가 유흥주점과 유사한 영업을 하면 과세유흥장소로 보나요?
답변
네, 실질적으로 유흥주점과 유사한 방식으로 영업한 사실이 객관적으로 인정되면 과세유흥장소로 볼 수 있습니다.
근거
서울행정법원-2023-구합-67453 판결은 2015. 1. 1.~2019. 8. 22. 동안 클럽이 유흥주점과 유사하게 별도 춤 공간 설치, 입장료 징수 등의 운영을 해 과세유흥장소로 판단하였습니다.
2. 춤 허용업소이기만 하면 무도유흥주점 과세가 면제되나요?
답변
아닙니다, 춤 허용업소라는 법적 지위만으로는 무도유흥주점 해당 여부가 자동 결정되지 않고 실제 영업 실태를 따져야 과세 처분이 판단됩니다.
근거
서울행정법원-2023-구합-67453 판결은 춤 허용업소라도 실질 운용이 과세유흥장소·무도유흥주점에 해당하면 관련 세금이 부과된다고 하였습니다.
3. 영업장에 별도 춤추는 공간이 설치되었는지 어떻게 판단하나요?
답변
단속이력, 구조물 설치여부, 고객 이용방식 등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증빙자료에 의해 입증해야 합니다.
근거
서울행정법원-2023-구합-67453 판결은 무도장 설치, 단속기록, CCTV 등 증거를 토대로 춤 공간 설치여부를 판단하였습니다.
4. 입장료를 받으면서 춤 공간을 제공했다면 어떻게 되나요?
답변
입장료 징수와 별도 춤 공간 제공은 유흥주점과 유사 영업의 핵심 특성으로, 과세유흥장소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근거
서울행정법원-2023-구합-67453 판결은 입장료 징수 및 춤 공간 설치 영업형태가 유흥주점과 유사하다고 판시하였습니다.
5. 2019년 후반기부터 춤 공간을 철거했다면 세 부담은 어떻게 되나요?
답변
별도 춤 공간이 철거되고, 실제로도 춤추는 공간이 운영되지 않았음이 증거상 확인된다면 그 기간에 대한 세금 부과는 취소됩니다.
근거
서울행정법원-2023-구합-67453 판결은 2019. 8. 23. 이후 별도 춤 공간 운영이 증명되지 않아 해당 기간 과세 부과처분을 취소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요지

적법하게 운영되는 춤 허용업소가 아니라 유흥주점과 사실상 유사한 영업을 하는 장소 내지 무도유흥주점이었다고 봄이 타당함

판결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상세내용

사 건

2023구합67453 개별소비세등부과처분취소

원 고

베AA획

피 고

○○세무서장

변 론 종 결

2024. 10. 11.

판 결 선 고

2024. 12. 13.

주 문

1. 이 사건 소 중 385,183,000원을 초과하는 2019 사업연도분 현금영수증 발급 불성실

가산세(법인세) 부과처분에 대한 취소 청구 부분을 각하한다.

2. 피고가 2020. 8. 10. 원고에게 한, 2019년 8월분부터 2019년 12월분까지의 별지 1

목록 ⁠‘잔존세액’란 기재 금액의 각 개별소비세 및 교육세 부과처분(각 가산세 포함)및 2019 사업연도분 현금영수증 발급 불성실 가산세(법인세) 385,183,000원의 부과

처분을 각 취소한다.

3. 원고의 나머지 청구를 기각한다.

4. 소송비용 중 75%는 원고가, 나머지는 피고가 각 부담한다.

청 구 취 지

피고가 2020. 8. 10.1) 원고에게 한, 별지 1 목록 ⁠‘잔존세액’란 기재 금액의 각 개별소비

세 및 교육세 부과처분(가산세 포함) 및 2019 사업연도분 현금영수증 발급 불성실 가산

세(법인세)2) 386,368,082원의 부과처분을 모두 취소한다.

이 유

1. 처분 등의 경위

가. 원고는 서울 마포구에서 2008. 11. 21.경 일반음식점으로 사업자등록을 한 ⁠‘클럽

AA’(이하 ⁠‘이 사건 클럽’이라 한다)를 운영하다가, 2016. 6. 2. 마포구청장으로부터 이

사건 클럽을 일반음식점 중 ⁠‘춤 허용업소’로 지정받았다.

나. 피고는 2020. 8. 10. 원고에게 아래 각 처분 등을 하였다(이하 아래 ①, ③항의 각

과세처분을 ⁠‘당초 과세처분’, ②항의 과태료 처분을 ⁠‘이 사건 과태료 처분’이라 한다).

① ⁠‘이 사건 클럽은 유흥주점과 유사한 장소로서 과세유흥장소’라며 2015년 1월분부터

2019년 12월분까지 별지 1 목록 기재 각 개별소비세 및 교육세 부과처분(가산세 포함)② ⁠‘이 사건 클럽 영업은 현금영수증 의무발행 업종인 무도유흥주점업’이라며 2015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의 기간에 관해 현금영수증 발급의무 위반의 과태료 부과처분

③ 위 ②항과 같은 사유로 2019년 사업연도분 현금영수증 발급 불성실 가산세(법인

세) 390,263,000원의 부과처분

다. 조세심판원은 2021. 9. 28. 적법하게 운영되는 ⁠‘춤 허용업소’는 과세유흥장소 및 무

도유흥주점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전제에서 당초 과세처분 등에 대한 원고의 심판청구에

관해 ⁠‘이 사건 클럽이 2016. 6. 2.부터 2019. 12. 31.까지 과세유흥장소 및 무도유흥주점 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재조사하라’고 결정(이하 ⁠‘이 사건 재조사 결정’이라 한다)하였다.

라. 이에 피고는 재조사를 진행하여 당초 과세처분 중 2016. 6. 2.부터 2019. 12. 31.

까지의 기간 중 마포구청 소속 공무원이 이 사건 클럽을 점검하여 적법하게 ⁠‘춤 허용

업소’로 운영되는 것을 확인하였던 각 점검일자 당일에 대응하는 별지 1 목록 ⁠‘취소세

액’란 기재 금액의 각 개별소비세 및 교육세 부분, 5,080,000원3)의 현금영수증 발급 불

성실 가산세 부분을 취소하였다(이하 당초 과세처분 중 남아있는 별지 1 목록 ⁠‘잔존세

액’란 기재 금액의 각 개별소비세 및 교육세 부분과 385,183,000원의 2019 사업연도분

현금영수증 발급 불성실 가산세 부분만을 ⁠‘이 사건 각 과세처분’이라 한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3 내지 5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이 사건 소 중 현금영수증 발급 불성실 가산세 386,368,082원의 취소 청구 중

385,183,000원을 초과하는 부분의 적법 여부

갑 제4, 5호증의 각 기재 및 변론 전체의 취지에 따르면, 피고가 2020. 8. 10. 원고 에게 한 2019 사업연도분 현금영수증 발급 불성실 가산세 부과처분 중 385,183,000원을 초과하는 부분은, 피고가 이 사건 재조사 결정 이후 취소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위 초과 부분의 취소를 구하는 소는 소의 이익이 없어 부적법하다.

3. 이 사건 각 과세처분의 위법 여부

가. 원고의 주장 요지

1) 이 사건 각 과세처분은 ⁠‘이 사건 클럽이 2016. 6. 2. 이후 과세유흥장소인지를 월별 로 구체적·객관적 자료로 입증해야 한다’는 등의 이 사건 재조사결정의 기속력에 반한다.

2) 이 사건 클럽은 과세유흥장소인 ⁠‘유흥주점과 유사한 장소’가 아니고, ⁠‘무도유흥주

점’에 해당하지도 않는다.

나. 관계 법령

별지 2 기재와 같다.4)

다. 판단

1) 이 사건 재조사 결정의 기속력 위반 주장에 대한 판단

가) 앞서 든 증거들 및 변론 전체의 취지에 따르면, 아래의 각 사실이 인정된다.

① 이 사건 재조사 결정의 주문은 ⁠‘이 사건 클럽이 2016. 6. 2.부터 2019. 12. 31.

까지 과세유흥장소 및 무도유흥주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재조사하라’는 것이다.

② 이 사건 재조사 결정의 이유에는 ⁠‘이 사건 클럽이 2016. 6. 2. 이후 과세유흥장

소에 해당하는지는 월별로 별도의 춤추는 공간 및 유흥종사자를 둔 사실이 구체적·객

관적인 증빙자료로 입증되어야 한다’고 하면서, ⁠‘이 사건 클럽의 홍보물 등 매체자료의

실제 촬영일, 이 사건 클럽에 설치된 CCTV 자료, 식품위생법령의 준수 여부에 대한

단속 주체의 점검 대상 및 기준, 위 기준에 객석 외에 별도의 춤추는 공간 및 유흥종사자를 두었는지 여부가 포함되는지 여부, 단속 주기 및 강도 등을 제출받아 이 사건

클럽이 과세유흥장소에 해당하는지를 재조사하여야 한다’는 내용과 ⁠‘원고가 2019 사업

연도에 무도유흥주점을 영위하였는지 여부도 이 사건 과태료 처분에 대한 법원의 확정

결정이 없는 이상 위와 동일하게 재조사하여야 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나) 그런데 앞서 든 증거들, 을 제1 내지 제5, 7 내지 10, 12, 13호증의 각 기재 내

지 영상(가지번호 있는 것은 각 가지번호 포함, 이하 같다)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더하

여 알 수 있는 다음의 사정들, 즉 ① 피고는 이 사건 재조사 결정에 따라 마포구청장

으로부터 춤 허용업소 현장조사 체크리스트를 제공받았고 그 점검사항에 ⁠‘영업장 내

손님들이 춤을 출 수 있는 별도의 공간 설치 여부’가 포함되어 있는 점, ② 피고는 마

포구청장 등을 통해 이 사건 클럽에 대한 점검 주기 등을 확인하기도 한 점, ③ 피고 는 원고 대표자 등에게 2016. 6. 2.~2019. 12. 31. 이 사건 클럽에 관한 CCTV 자료 등 을 요청하였는데, 모두 삭제하였거나 기존에 제출한 것 외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답변 을 받은 점, ④ 이 사건 과태료 처분에 대한 이의신청 사건의 항고심(2022. 10. 25. 자

서울서부지방법원 2021라2088 결정)은 ⁠‘마포구청장 등이 이 사건 클럽이 적법하게 운

영된 것을 확인한 점검일부터 그 다음 적법하게 운영된 것을 확인한 점검일까지는 이

사건 클럽에 별도의 춤추는 공간이 존재하지 않아 무도유흥주점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원고 주장에 관해 ⁠‘원고는 2015. 2. 6., 2017. 8. 17. 및 2019. 8. 22. 무도장 설

치로 각 적발된 바 있고, 위 주장의 기간에도 고객에게 입장료를 별도로 징수하는 방

식으로 영업을 하였던 점(무도시설의 설치 외에 이와 같은 영업행태를 설명하기 어렵

다), 위반기간인 2015. 1. 1.부터 2018. 12. 31.까지 이 사건 클럽 내 영업장에 구조적

변화가 있지는 않았고, 쉽게 이동이 가능한 탁자, 의자 등을 위치시켜 두어 객석과 무도장의 경계를 불분명하게 하여 두었던 것으로 보이는 점 등에 비추어 원고 주장과 같은

사정만으로 2015. 1. 1.~2018. 12. 31.까지 이 사건 클럽 내 무도장 존재 사실을 부인

할 수 없다’고 하였고, 대법원(2022마7107)도 위와 같은 판단을 수긍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

피고가 이 사건 과태료 처분에 관한 법원의 결정 내용과 가능한 범위 내에서 추 가 조사를 진행하여 획득한 자료를 토대로 마포구청장 등이 이 사건 클럽이 적법하게

운영되는 것을 확인한 점검일자 당일을 제외한 나머지 일자에 관한 이 사건 각 과세처

분을 유지한 것을 두고 이 사건 재조사 결정의 기속력에 반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2) 이 사건 클럽이 과세유흥장소나 무도유흥주점이 아니라는 주장에 대한 판단

가) 관련 규정

(1) 개별소비세법 제1조 제4항, 구 개별소비세법 시행령(2019. 2. 12. 대통령령 제

2953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3항은 유흥주점, 외국인전용 유흥음식점, 유흥

주점과 사실상 유사한 영업을 하는 장소를 과세유흥장소로 보고 유흥음식요금의 10% 에 해당하는 개별소비세를 부과하도록 정하고 있고, 위 시행령이 2019. 2. 12. 대통령

령 제29532호로 개정되면서 ⁠‘유흥주점과 사실상 유사한 영업을 하는 장소’에서 ⁠‘유흥종

사자를 두지 않고, 별도의 춤추는 공간이 없는 장소는 제외한다’는 내용이 추가되었다.

(2) 구 법인세법(2021. 12. 21. 법률 제1859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75조의6 제

2항 제3호, 제117조의2 제4항 본문, 같은 법 시행령 제159조의2, 소득세법 시행령 [별

표 3의 3], 구 한국표준산업분류(2024. 1. 1. 통계청고시 제2024-2호로 전부개정되기

전의 것)에 따르면, 무도유흥 주점(무도시설을 갖추고 술을 판매하는 주점) 업종을 경

영하는 내국법인은 건당 거래금액 10만 원 이상인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고 그 대금을 현금으로 받은 경우에는 상대방이 현금영수증 발급을 요청하지 아니하더라도 현금

영수증을 발급하여야 하고, 이를 위반한 경우에는 미발급금액의 20%를 해당 사업연도

의 법인세액에 가산하여야 한다.

나) 2015. 1. 1.부터 2019. 8. 22.까지의 기간에 관하여

조세심판원이 개별소비세법 시행령이 2019. 2. 12. 대통령령 제29532호로 개정되

어 시행되기 전의 기간에 대하여도 적법하게 운영되는 ⁠‘춤 허용업소’는 과세유흥장소 및 무도유흥주점이 아니라는 전제하에 이 사건 재조사 결정은 한 사실은 앞서 인정한

사실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더하여 인정할 수 있다.

그런데 앞서 든 증거들, 갑 제6호증의 기재 및 변론 전체의 취지를 더하여 알 수

있는 다음의 각 사정, 즉 ① 이 사건 클럽은 2015. 2. 6. 무도장 설치, 2017. 8. 17. 춤 을 출 수 있는 별도의 공간 설치, 2019. 8. 22. 춤을 출 수 있는 원통형 무대 구조물

설치로 단속되어 이후 원고가 영업정지나 시정명령 등의 처분을 받은 점, ② 2017. 8.

17. 단속 이전 이 사건 클럽의 테이블 외의 공간 면적이 작지 않아 보이고 원고가 입

장료를 별도로 징수하는 방식으로 이 사건 클럽을 운영하였던 것으로 보이는 점, ③

원고는 2017. 8. 17. 단속 이후 이 사건 클럽의 여유 공간에 추가로 테이블을 설치하기 는 하였으나 입장료를 별도로 징수하는 방식의 영업 형태는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보

이는 점, ④ 원고 주장에 의하면 고정식 테이블은 예약제 유료 객석으로, 이동식 테이

블은 예약제 객석이 아닌 양주를 1명 이상 구매한 사람만이 이용할 수 있는 유료 객석

이었다고 하는데, 입장료를 내었으나 위 각 객석을 이용하지 않은 고객들은 어떠한 형

태로 이 사건 클럽을 이용하였다는 것인지에 대해 상당한 의문이 드는 점, ⑤ 원고가

테이블 겸 의자라고 주장하는 일부 시설물은 이 사건 클럽을 이용하는 고객이 올라가춤을 추기에 충분한 형태를 갖추고 있던 것으로 보이고, 실제 해당 시설물에 올라가

춤을 추는 고객들이 있었으며, 원고도 이를 인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적어도 이 사건 클럽은 2015. 1. 1.부터 2019. 8. 22.까지 적법하게 운영

되는 ⁠‘춤 허용업소’가 아니라 유흥주점과 사실상 유사한 영업을 하는 장소 내지 무도유

흥주점이었다고 봄이 타당하다(마포구청 소속 공무원 등이 이 사건 클럽에 관해 적법

하게 ⁠‘춤 허용업소’로 운영되는 것을 확인한 각 점검일 당일 제외).

따라서 이와 다른 전제에 있는 원고의 이 부분 주장은 이유 없다.

다) 2019. 8. 23.부터 2019. 12. 31.까지의 기간에 관하여

원고가 2019. 8. 22. 마포구청장 등으로부터 춤을 출 수 있는 원통형 무대 구조물

설치를 이유로 단속되어 시정명령 등을 받은 사실은 앞서 본 바와 같다. 그러나 원고 는 그 직후 위 구조물을 철거한 것으로 보이고, 이후 이 사건 클럽에 ⁠‘영업장 내 손님

들이 춤을 추는 별도의 공간’이 있다는 등으로 단속되었다고 볼 만한 자료가 없으며,

피고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2019. 8. 23.부터 2019. 12. 31.까지 이 사건 클럽에 손님

들이 춤을 추는 별도의 공간이 있었다거나 이 사건 클럽 내 시설물이 실질적으로 춤을

추는 공간으로 활용되었다고 인정하기에 부족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다.

따라서 원고의 이 부분 주장은 이유 있다.

라) 소결론

결국 이 사건 각 과세처분 중 2019년 8월분부터 2019년 12월분까지의 각 개별소

비세 및 교육세 부과처분(가산세 포함), 2019 사업연도분 현금영수증 발급 불성실 가산

세 385,183,000원의 부과처분은 위법하여 취소되어야 한다(2019년 8월분 개별소비세 및

교육세 부과처분과 위 현금영수증 발급 불성실 가산세 부과처분의 경우 그 과세기간에 이 사건 클럽이 과세유흥장소나 무도유흥주점으로 운영된 기간이 포함되나, 이 사건에

서 제출된 자료만으로 정당한 세액을 계산할 수 없으므로 전부 취소를 면할 수 없다).

4. 결론

그렇다면 이 사건 소 중 385,183,000원을 초과하는 2019 사업연도분 현금영수증 발

급 불성실 가산세 부과처분의 취소 청구는 부적법하므로 이를 각하하고, 이 사건 각

과세처분의 취소청구는 위 인정 범위 내에서 이유 있으므로 이를 인용하고, 나머지 청

구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기각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출처 : 서울행정법원 2024. 12. 13. 선고 서울행정법원 2023구합67453 판결 | 국세법령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