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특허무효심판 청구인적격과 심결시 기준 여부

대법원 2025. 1. 9. 선고 2022후10814 판결
판결 요약
특허무효심판에서 무권리자 출원을 사유로 할 경우 심판의 청구인은 특허를 받을 권리 있는 정당한 권리자만 가능하며, 청구인적격은 심결 시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적격 없는 청구는 무효사유 판단 없이 각하되어야 합니다.
#특허무효심판 #청구인적격 #심결시점 #무권리자 출원 #특허권 귀속
질의 응답
1. 특허무효심판에서 무권리자 출원을 이유로 심판을 청구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요?
답변
무권리자 출원을 무효사유로 삼은 특허무효심판에서는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정당한 권리자 또는 심사관만 청구인적격이 있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5. 1. 9. 선고 2022후10814 판결은 특허법 제133조 제1항 본문에 따라 권리자·심사관만이 무효심판 청구인 적격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2. 특허무효심판 청구인의 적격 판단 기준 시점은 언제인가요?
답변
심결 당시에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정당한 권리자인지가 기준입니다.
근거
대법원 2025. 1. 9. 선고 2022후10814 판결은 청구인적격 여부는 심결 시를 기준으로 판단한다고 명시하였습니다.
3. 적격이 없는 자의 심판청구는 어떻게 처리되나요?
답변
청구인적격이 없으면 무효사유 판단 없이 심판청구를 각하해야 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5. 1. 9. 선고 2022후10814 판결은 부적법한 경우 무효사유 여부 불문, 심판청구를 각하해야 한다고 판시하였습니다.
4. 특허받을 권리가 묵시적 합의로 이전된 경우 청구인적격에 영향이 있나요?
답변
권리가 적법하게 이전되었으면 권리를 잃은 자는 청구인적격이 없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5. 1. 9. 선고 2022후10814 판결은 묵시적 합의로 권리가 직원에게 이전된 경우, 기존 권리자는 더 이상 청구인적격이 없다고 보았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판시사항】

[1] 청구인 적격이 없는 자가 특허무효심판을 청구한 경우, 무효사유에 대하여 판단할 필요 없이 심판청구를 각하하여야 하는지 여부(적극) 및 심판청구인이 무권리자의 출원을 무효사유로 한 특허무효심판을 청구할 수 있는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정당한 권리자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기준 시점(=심결 시)

[2] 발명자인 갑이 명칭을 ‘정풍량 제어 방법’으로 하는 특허발명에 관하여 을이 무권리자로서 특허출원을 하여 특허권 설정등록이 마쳐졌다는 이유로 등록무효심판을 청구한 사안에서, 위 특허발명에 관한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는 갑과 병 주식회사의 묵시적 합의에 따라 병 회사의 직원인 을에게 적법하게 이전되어 갑은 심결 당시 위 특허발명에 관한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정당한 권리자가 아니므로, 청구인 적격이 없는 갑이 제기한 심판청구를 각하하여야 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발명을 한 사람 또는 그 승계인은 특허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특허법 제33조 제1항 본문). 이러한 정당한 권리자 아닌 사람(이하 ‘무권리자’라 한다)이 한 특허출원에 대하여 특허권의 설정등록이 이루어지면 특허무효사유에 해당한다(특허법 제133조 제1항 제2호 본문). 특허법 제133조 제1항 전문은 “이해관계인(제2호 본문의 경우에는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자만 해당한다) 또는 심사관은 특허가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무효심판을 청구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정당한 권리자 또는 심사관만이 무권리자의 출원을 무효사유로 한 특허무효심판의 청구인 적격이 있다. 청구인 적격이 없는 자가 제기한 특허의 무효심판청구는 부적법하므로 무효사유에 대하여 판단할 필요 없이 심판청구를 각하하여야 한다. 심판청구인이 무권리자의 출원을 무효사유로 한 특허무효심판을 청구할 수 있는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정당한 권리자에 해당하는지는 심결 당시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2] 발명자인 갑이 명칭을 ‘정풍량 제어 방법’으로 하는 특허발명에 관하여 을이 무권리자로서 특허출원을 하여 특허권 설정등록이 마쳐졌다는 이유로 등록무효심판을 청구한 사안에서, 위 특허발명에 관한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는 발명의 완성과 동시에 발명자인 갑에게 원시적으로 귀속되었다가 갑과 병 주식회사의 묵시적 합의에 따라 병 회사의 직원인 을에게 적법하게 이전되었으므로, 갑은 심결 당시 위 특허발명에 관한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정당한 권리자가 아니고, 따라서 갑은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정당한 권리자 아닌 사람의 출원을 무효사유로 한 특허무효심판의 청구인 적격이 없고, 청구인 적격이 없는 갑이 제기한 심판청구는 부적법하므로, 위 특허발명에 관하여 을이 무권리자로서 특허출원을 하여 특허권 설정등록이 마쳐졌는지에 대하여 판단할 필요 없이 심판청구를 각하하여야 한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특허법 제33조 제1항제133조 제1항 제2호 [2] 특허법 제33조 제1항제133조 제1항 제2호

【참조판례】

[1] 대법원 1997. 6. 27. 선고 97후235 판결(공1997하, 2182)
대법원 2009. 9. 10. 선고 2007후4625 판결

【전 문】

【원고, 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민후 담당변호사 김경환 외 3인)

【피고, 피상고인】 주식회사 ○○ (소송대리인 특허법인 주원 담당변리사 홍주의)

【원심판결】 특허법원 2022. 9. 28. 선고 2021허423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발명을 한 사람 또는 그 승계인은 특허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특허법 제33조 제1항 본문). 이러한 정당한 권리자 아닌 사람(이하 ‘무권리자’라 한다)이 한 특허출원에 대하여 특허권의 설정등록이 이루어지면 특허무효사유에 해당한다(특허법 제133조 제1항 제2호 본문). 특허법 제133조 제1항 전문은 “이해관계인(제2호 본문의 경우에는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자만 해당한다) 또는 심사관은 특허가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무효심판을 청구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정당한 권리자 또는 심사관만이 무권리자의 출원을 무효사유로 한 특허무효심판의 청구인 적격이 있다. 청구인 적격이 없는 자가 제기한 특허의 무효심판청구는 부적법하므로 무효사유에 대하여 판단할 필요 없이 그 심판청구를 각하하여야 한다(대법원 1997. 6. 27. 선고 97후235 판결 등 참조). 심판청구인이 무권리자의 출원을 무효사유로 한 특허무효심판을 청구할 수 있는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정당한 권리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심결 당시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한다(대법원 2009. 9. 10. 선고 2007후4625 판결 등 참조).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본다. 원고는 명칭을 ‘정풍량 제어 방법’으로 하는 이 사건 특허발명(특허번호 생략)에 관하여 소외인이 무권리자로서 특허출원을 하여 특허권 설정등록이 마쳐졌다는 이유로 그 특허의 무효를 구하는 이 사건 심판청구를 하였다. 이 사건 특허발명에 관한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는 발명의 완성과 동시에 발명자인 원고에게 원시적으로 귀속되었다가 원고와 피고의 묵시적 합의에 따라 피고의 직원인 소외인에게 적법하게 이전되었으므로, 원고는 이 사건 심결 당시 이 사건 특허발명에 관한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정당한 권리자가 아니다. 따라서 원고는 무권리자의 출원을 무효사유로 한 특허무효심판의 청구인 적격이 없고, 청구인 적격이 없는 원고가 제기한 이 사건 심판청구는 부적법하므로, 이 사건 특허발명에 관하여 소외인이 무권리자로서 특허출원을 하여 특허권 설정등록이 마쳐졌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할 필요 없이 이 사건 심판청구는 각하되어야 한다.

원심의 이유 설시에 일부 부적절한 부분이 있으나, 원고가 특허법 제133조 제1항 전문에서 정한 이해관계인에 해당하지 않아 이 사건 심판청구가 부적법하므로 이를 각하한 이 사건 심결이 정당하다는 이유로 이 사건 심결의 취소를 구하는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 원심의 결론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법리오해나 판단누락, 심리미진 등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노태악(재판장) 서경환 신숙희(주심) 노경필


(출처 : 대법원 2025. 1. 9. 선고 2022후10814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

출처 : 대법원 선고 대법원 2025. 1. 9. 선고 2022후10814 판결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

판례 검색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특허무효심판 청구인적격과 심결시 기준 여부

대법원 2025. 1. 9. 선고 2022후10814 판결
판결 요약
특허무효심판에서 무권리자 출원을 사유로 할 경우 심판의 청구인은 특허를 받을 권리 있는 정당한 권리자만 가능하며, 청구인적격은 심결 시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적격 없는 청구는 무효사유 판단 없이 각하되어야 합니다.
#특허무효심판 #청구인적격 #심결시점 #무권리자 출원 #특허권 귀속
질의 응답
1. 특허무효심판에서 무권리자 출원을 이유로 심판을 청구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요?
답변
무권리자 출원을 무효사유로 삼은 특허무효심판에서는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정당한 권리자 또는 심사관만 청구인적격이 있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5. 1. 9. 선고 2022후10814 판결은 특허법 제133조 제1항 본문에 따라 권리자·심사관만이 무효심판 청구인 적격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2. 특허무효심판 청구인의 적격 판단 기준 시점은 언제인가요?
답변
심결 당시에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정당한 권리자인지가 기준입니다.
근거
대법원 2025. 1. 9. 선고 2022후10814 판결은 청구인적격 여부는 심결 시를 기준으로 판단한다고 명시하였습니다.
3. 적격이 없는 자의 심판청구는 어떻게 처리되나요?
답변
청구인적격이 없으면 무효사유 판단 없이 심판청구를 각하해야 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5. 1. 9. 선고 2022후10814 판결은 부적법한 경우 무효사유 여부 불문, 심판청구를 각하해야 한다고 판시하였습니다.
4. 특허받을 권리가 묵시적 합의로 이전된 경우 청구인적격에 영향이 있나요?
답변
권리가 적법하게 이전되었으면 권리를 잃은 자는 청구인적격이 없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5. 1. 9. 선고 2022후10814 판결은 묵시적 합의로 권리가 직원에게 이전된 경우, 기존 권리자는 더 이상 청구인적격이 없다고 보았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판시사항】

[1] 청구인 적격이 없는 자가 특허무효심판을 청구한 경우, 무효사유에 대하여 판단할 필요 없이 심판청구를 각하하여야 하는지 여부(적극) 및 심판청구인이 무권리자의 출원을 무효사유로 한 특허무효심판을 청구할 수 있는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정당한 권리자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기준 시점(=심결 시)

[2] 발명자인 갑이 명칭을 ‘정풍량 제어 방법’으로 하는 특허발명에 관하여 을이 무권리자로서 특허출원을 하여 특허권 설정등록이 마쳐졌다는 이유로 등록무효심판을 청구한 사안에서, 위 특허발명에 관한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는 갑과 병 주식회사의 묵시적 합의에 따라 병 회사의 직원인 을에게 적법하게 이전되어 갑은 심결 당시 위 특허발명에 관한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정당한 권리자가 아니므로, 청구인 적격이 없는 갑이 제기한 심판청구를 각하하여야 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발명을 한 사람 또는 그 승계인은 특허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특허법 제33조 제1항 본문). 이러한 정당한 권리자 아닌 사람(이하 ‘무권리자’라 한다)이 한 특허출원에 대하여 특허권의 설정등록이 이루어지면 특허무효사유에 해당한다(특허법 제133조 제1항 제2호 본문). 특허법 제133조 제1항 전문은 “이해관계인(제2호 본문의 경우에는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자만 해당한다) 또는 심사관은 특허가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무효심판을 청구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정당한 권리자 또는 심사관만이 무권리자의 출원을 무효사유로 한 특허무효심판의 청구인 적격이 있다. 청구인 적격이 없는 자가 제기한 특허의 무효심판청구는 부적법하므로 무효사유에 대하여 판단할 필요 없이 심판청구를 각하하여야 한다. 심판청구인이 무권리자의 출원을 무효사유로 한 특허무효심판을 청구할 수 있는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정당한 권리자에 해당하는지는 심결 당시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2] 발명자인 갑이 명칭을 ‘정풍량 제어 방법’으로 하는 특허발명에 관하여 을이 무권리자로서 특허출원을 하여 특허권 설정등록이 마쳐졌다는 이유로 등록무효심판을 청구한 사안에서, 위 특허발명에 관한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는 발명의 완성과 동시에 발명자인 갑에게 원시적으로 귀속되었다가 갑과 병 주식회사의 묵시적 합의에 따라 병 회사의 직원인 을에게 적법하게 이전되었으므로, 갑은 심결 당시 위 특허발명에 관한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정당한 권리자가 아니고, 따라서 갑은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정당한 권리자 아닌 사람의 출원을 무효사유로 한 특허무효심판의 청구인 적격이 없고, 청구인 적격이 없는 갑이 제기한 심판청구는 부적법하므로, 위 특허발명에 관하여 을이 무권리자로서 특허출원을 하여 특허권 설정등록이 마쳐졌는지에 대하여 판단할 필요 없이 심판청구를 각하하여야 한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특허법 제33조 제1항제133조 제1항 제2호 [2] 특허법 제33조 제1항제133조 제1항 제2호

【참조판례】

[1] 대법원 1997. 6. 27. 선고 97후235 판결(공1997하, 2182)
대법원 2009. 9. 10. 선고 2007후4625 판결

【전 문】

【원고, 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민후 담당변호사 김경환 외 3인)

【피고, 피상고인】 주식회사 ○○ (소송대리인 특허법인 주원 담당변리사 홍주의)

【원심판결】 특허법원 2022. 9. 28. 선고 2021허423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발명을 한 사람 또는 그 승계인은 특허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특허법 제33조 제1항 본문). 이러한 정당한 권리자 아닌 사람(이하 ‘무권리자’라 한다)이 한 특허출원에 대하여 특허권의 설정등록이 이루어지면 특허무효사유에 해당한다(특허법 제133조 제1항 제2호 본문). 특허법 제133조 제1항 전문은 “이해관계인(제2호 본문의 경우에는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자만 해당한다) 또는 심사관은 특허가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무효심판을 청구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정당한 권리자 또는 심사관만이 무권리자의 출원을 무효사유로 한 특허무효심판의 청구인 적격이 있다. 청구인 적격이 없는 자가 제기한 특허의 무효심판청구는 부적법하므로 무효사유에 대하여 판단할 필요 없이 그 심판청구를 각하하여야 한다(대법원 1997. 6. 27. 선고 97후235 판결 등 참조). 심판청구인이 무권리자의 출원을 무효사유로 한 특허무효심판을 청구할 수 있는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정당한 권리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심결 당시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한다(대법원 2009. 9. 10. 선고 2007후4625 판결 등 참조).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본다. 원고는 명칭을 ‘정풍량 제어 방법’으로 하는 이 사건 특허발명(특허번호 생략)에 관하여 소외인이 무권리자로서 특허출원을 하여 특허권 설정등록이 마쳐졌다는 이유로 그 특허의 무효를 구하는 이 사건 심판청구를 하였다. 이 사건 특허발명에 관한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는 발명의 완성과 동시에 발명자인 원고에게 원시적으로 귀속되었다가 원고와 피고의 묵시적 합의에 따라 피고의 직원인 소외인에게 적법하게 이전되었으므로, 원고는 이 사건 심결 당시 이 사건 특허발명에 관한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정당한 권리자가 아니다. 따라서 원고는 무권리자의 출원을 무효사유로 한 특허무효심판의 청구인 적격이 없고, 청구인 적격이 없는 원고가 제기한 이 사건 심판청구는 부적법하므로, 이 사건 특허발명에 관하여 소외인이 무권리자로서 특허출원을 하여 특허권 설정등록이 마쳐졌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할 필요 없이 이 사건 심판청구는 각하되어야 한다.

원심의 이유 설시에 일부 부적절한 부분이 있으나, 원고가 특허법 제133조 제1항 전문에서 정한 이해관계인에 해당하지 않아 이 사건 심판청구가 부적법하므로 이를 각하한 이 사건 심결이 정당하다는 이유로 이 사건 심결의 취소를 구하는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 원심의 결론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법리오해나 판단누락, 심리미진 등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노태악(재판장) 서경환 신숙희(주심) 노경필


(출처 : 대법원 2025. 1. 9. 선고 2022후10814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

출처 : 대법원 선고 대법원 2025. 1. 9. 선고 2022후10814 판결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