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사해행위취소 피보전채권, 계속적 거래계약만으로 성립 여부

2022다272046
판결 요약
계속적 물품공급계약만으로는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구체적 거래 행위가 별도로 있어야 하며, 사해행위 당시 이미 채권 성립의 기초가 존재하고 가까운 장래 채권이 실제 성립할 고도의 개연성이 현실화되어야 합니다. 단순한 계속적 거래관계만으론 부족합니다.
#사해행위취소 #피보전채권 #계속적물품공급계약 #채권자취소권 #거래관계
질의 응답
1. 사해행위 당시 계속적인 물품거래관계만 있으면 채권자취소권 행사 대상이 되나요?
답변
계속적인 물품거래관계만으로는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이 성립한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2다272046 판결은 계속적 거래관계 존재만으로는 채권 성립의 기초가 발생했다고 볼 수 없다고 판시하였습니다.
2. 계속적인 물품공급계약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경우에만 피보전채권이 성립하나요?
답변
물품의 수량, 단가, 거래시기 등이 구체적으로 정해져 있거나, 일정 한도에서 외상공급 의무가 규정된 경우에만 사전 법률관계가 발생해 피보전채권이 될 수 있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2다272046 판결은 구체적 내용 규정·외상공급 의무가 있어야만 채권이 바로 성립한다고 하였습니다.
3. 사해행위 당시 미성립 채권이 피보전채권이 되려면 요건이 무엇인가요?
답변
채권 성립의 기초가 이미 존재하고, 가까운 장래 채권 성립의 고도의 개연성이 현실화된 경우에만 해당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2다272046 판결은 사해행위 당시 법률관계·고도의 개연성·실제 성립을 모두 요구한다고 판시했습니다.
4. 이 사안처럼 계속거래 계약만 있을 때, 계약체결 후 발생한 채권은 인정되나요?
답변
단순 계속거래 계약만 있었다면 이후 공급에 따른 대금채권은 사해행위 후 발생한 것이 되어, 피보전채권이 된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2다272046 판결은 계약 이후 개별 공급에 의해 비로소 채권이 성립하므로 피보전채권이 아니다라고 판시했습니다.
5. 계속적 거래라면 무조건 채권성립의 기초가 있다고 보는 건가요?
답변
계속적 거래계약은 계약만으로 채권성립의 기초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개별 거래의 성립이 필요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2다272046 판결 참고: 구체적 개별 행위가 별도로 성립해야 채권 인정.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사해행위취소

 ⁠[대법원 2023. 3. 16. 선고 2022다272046 판결]

【판시사항】

 ⁠[1] 사해행위 당시 아직 성립되지 않은 채권이 예외적으로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이 되기 위한 요건
 ⁠[2] 사해행위 당시 계속적인 물품거래관계가 존재하였다는 사정만으로 채권 성립의 기초가 되는 법률관계가 발생하여 있었다고 할 수 있는지 여부(원칙적 소극)

【판결요지】

 ⁠[1] 채권자취소권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는 채권은 원칙적으로 사해행위라고 볼 수 있는 행위가 행하여지기 전에 발생된 것임을 요하지만, 사해행위 당시에 이미 채권 성립의 기초가 되는 법률관계가 발생되어 있고, 가까운 장래에 그 법률관계에 터 잡아 채권이 성립되리라는 점에 대한 고도의 개연성이 있으며, 실제로 가까운 장래에 개연성이 현실화되어 채권이 성립된 경우에는, 그 채권도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이 될 수 있다.
 ⁠[2] 계속적인 물품공급계약에서 대상이 되는 물품의 구체적인 수량, 거래단가, 거래시기 등에 관하여까지 구체적으로 미리 정하고 있다거나, 일정한 한도에서 공급자가 외상으로 물품을 공급할 의무를 규정하고 있지 않은 이상, 계속적 물품공급계약 그 자체에 기하여 거래당사자의 채권이 바로 성립하지는 아니하며, 주문자가 상대방에게 구체적으로 물품의 공급을 의뢰하고 그에 따라 상대방이 물품을 공급하는 별개의 법률관계가 성립하여야만 채권이 성립한다. 따라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사해행위 당시 계속적인 물품거래관계가 존재하였다는 사정만으로 채권 성립의 기초가 되는 법률관계가 발생하여 있었다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1] 민법 제406조 제1항
[2] 민법 제406조 제1항

【참조판례】

 ⁠[1]대법원 2004. 11. 12. 선고 2004다40955 판결(공2004하, 2033), 대법원 2017. 9. 21. 선고 2015다53841 판결 / ⁠[2] 대법원 2017. 11. 29. 선고 2017다241819 판결


【전문】

【원고, 피상고인】

주식회사 ○○○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정세 담당변호사 이동명 외 1인)

【피고, 상고인】

주식회사 △△△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희백)

【원심판결】

청주지법 2022. 8. 19. 선고 2022나50070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청주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다음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에서)를 판단한다. 
1.  채권자취소권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는 채권은 원칙적으로 사해행위라고 볼 수 있는 행위가 행하여지기 전에 발생된 것임을 요하지만, 그 사해행위 당시에 이미 채권 성립의 기초가 되는 법률관계가 발생되어 있고, 가까운 장래에 그 법률관계에 터 잡아 채권이 성립되리라는 점에 대한 고도의 개연성이 있으며, 실제로 가까운 장래에 그 개연성이 현실화되어 채권이 성립된 경우에는, 그 채권도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이 될 수 있다(대법원 2004. 11. 12. 선고 2004다40955 판결, 대법원 2017. 9. 21. 선고 2015다53841 판결 등 참조).
계속적인 물품공급계약에서 대상이 되는 물품의 구체적인 수량, 거래단가, 거래시기 등에 관하여까지 구체적으로 미리 정하고 있다거나, 일정한 한도에서 공급자가 외상으로 물품을 공급할 의무를 규정하고 있지 않은 이상, 계속적 물품공급계약 그 자체에 기하여 거래당사자의 채권이 바로 성립하지는 아니하며, 주문자가 상대방에게 구체적으로 물품의 공급을 의뢰하고 그에 따라 상대방이 물품을 공급하는 별개의 법률관계가 성립하여야만 채권이 성립한다. 따라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사해행위 당시 계속적인 물품거래관계가 존재하였다는 사정만으로 채권 성립의 기초가 되는 법률관계가 발생하여 있었다고 할 수 없다(대법원 2017. 11. 29. 선고 2017다241819 판결).
 
2.  원심판결 이유 및 기록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가.  원고는 2014. 10. 25. □□□ 주식회사(이하 ⁠‘□□□’라 한다)와 석유화학제품을 공급하는 물품공급계약을 체결하였다.
 
나.  위 물품공급계약은 공급할 물품의 구체적인 수량이나 단가, 거래 시기 등을 구체적으로 정하고 있지 않고, 물품대금은 물품 공급 후 익월 말일까지 지급하도록 정하고 있을 뿐 일정한 한도에서 외상으로 물품을 공급할 의무를 규정하고 있지 않다.
 
다.  □□□는 2018. 4. 24. 피고에게 이 사건 부동산을 매도하는 계약(이하 ⁠‘이 사건 매매계약’이라 한다)을 체결하고, 2018. 6. 28. 피고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다.
 
라.  원고는 2018. 5. 이전 공급한 물품의 대금은 모두 변제받았으나, 2018. 5. 공급한 물품대금 중 일부 6,372,000원, 2018. 6. 공급한 물품대금 26,741,000원, 합계 33,113,000원을 변제받지 못하였다.
 
마.  원고는 이 사건 매매계약이 원고의 위 물품대금채권을 해하는 사해행위라고 주장하면서, 이 사건 소송을 제기하였다.
 
3.  위 사실관계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원고가 이 사건 매매계약이 체결되기 전부터 채무자 □□□와 물품공급거래를 계속하여 왔더라도 이 사건 매매계약이 체결된 후 □□□로부터 구체적인 물품 공급을 의뢰받아 공급한 물품에 대한 대금채권은 사해행위 이후에 발생한 채권에 불과하므로, 다른 사정이 없는 한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이 된다고 보기 어렵다.
그럼에도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로 원고의 물품대금채권이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이 된다고 판단하였다. 원심의 판단에는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4.  결론
따라서 나머지 상고이유에 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오경미(재판장) 박정화 김선수(주심) 노태악

출처 : 대법원 2023. 03. 16. 선고 2022다272046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

판례 검색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사해행위취소 피보전채권, 계속적 거래계약만으로 성립 여부

2022다272046
판결 요약
계속적 물품공급계약만으로는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구체적 거래 행위가 별도로 있어야 하며, 사해행위 당시 이미 채권 성립의 기초가 존재하고 가까운 장래 채권이 실제 성립할 고도의 개연성이 현실화되어야 합니다. 단순한 계속적 거래관계만으론 부족합니다.
#사해행위취소 #피보전채권 #계속적물품공급계약 #채권자취소권 #거래관계
질의 응답
1. 사해행위 당시 계속적인 물품거래관계만 있으면 채권자취소권 행사 대상이 되나요?
답변
계속적인 물품거래관계만으로는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이 성립한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2다272046 판결은 계속적 거래관계 존재만으로는 채권 성립의 기초가 발생했다고 볼 수 없다고 판시하였습니다.
2. 계속적인 물품공급계약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경우에만 피보전채권이 성립하나요?
답변
물품의 수량, 단가, 거래시기 등이 구체적으로 정해져 있거나, 일정 한도에서 외상공급 의무가 규정된 경우에만 사전 법률관계가 발생해 피보전채권이 될 수 있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2다272046 판결은 구체적 내용 규정·외상공급 의무가 있어야만 채권이 바로 성립한다고 하였습니다.
3. 사해행위 당시 미성립 채권이 피보전채권이 되려면 요건이 무엇인가요?
답변
채권 성립의 기초가 이미 존재하고, 가까운 장래 채권 성립의 고도의 개연성이 현실화된 경우에만 해당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2다272046 판결은 사해행위 당시 법률관계·고도의 개연성·실제 성립을 모두 요구한다고 판시했습니다.
4. 이 사안처럼 계속거래 계약만 있을 때, 계약체결 후 발생한 채권은 인정되나요?
답변
단순 계속거래 계약만 있었다면 이후 공급에 따른 대금채권은 사해행위 후 발생한 것이 되어, 피보전채권이 된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2다272046 판결은 계약 이후 개별 공급에 의해 비로소 채권이 성립하므로 피보전채권이 아니다라고 판시했습니다.
5. 계속적 거래라면 무조건 채권성립의 기초가 있다고 보는 건가요?
답변
계속적 거래계약은 계약만으로 채권성립의 기초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개별 거래의 성립이 필요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2다272046 판결 참고: 구체적 개별 행위가 별도로 성립해야 채권 인정.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사해행위취소

 ⁠[대법원 2023. 3. 16. 선고 2022다272046 판결]

【판시사항】

 ⁠[1] 사해행위 당시 아직 성립되지 않은 채권이 예외적으로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이 되기 위한 요건
 ⁠[2] 사해행위 당시 계속적인 물품거래관계가 존재하였다는 사정만으로 채권 성립의 기초가 되는 법률관계가 발생하여 있었다고 할 수 있는지 여부(원칙적 소극)

【판결요지】

 ⁠[1] 채권자취소권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는 채권은 원칙적으로 사해행위라고 볼 수 있는 행위가 행하여지기 전에 발생된 것임을 요하지만, 사해행위 당시에 이미 채권 성립의 기초가 되는 법률관계가 발생되어 있고, 가까운 장래에 그 법률관계에 터 잡아 채권이 성립되리라는 점에 대한 고도의 개연성이 있으며, 실제로 가까운 장래에 개연성이 현실화되어 채권이 성립된 경우에는, 그 채권도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이 될 수 있다.
 ⁠[2] 계속적인 물품공급계약에서 대상이 되는 물품의 구체적인 수량, 거래단가, 거래시기 등에 관하여까지 구체적으로 미리 정하고 있다거나, 일정한 한도에서 공급자가 외상으로 물품을 공급할 의무를 규정하고 있지 않은 이상, 계속적 물품공급계약 그 자체에 기하여 거래당사자의 채권이 바로 성립하지는 아니하며, 주문자가 상대방에게 구체적으로 물품의 공급을 의뢰하고 그에 따라 상대방이 물품을 공급하는 별개의 법률관계가 성립하여야만 채권이 성립한다. 따라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사해행위 당시 계속적인 물품거래관계가 존재하였다는 사정만으로 채권 성립의 기초가 되는 법률관계가 발생하여 있었다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1] 민법 제406조 제1항
[2] 민법 제406조 제1항

【참조판례】

 ⁠[1]대법원 2004. 11. 12. 선고 2004다40955 판결(공2004하, 2033), 대법원 2017. 9. 21. 선고 2015다53841 판결 / ⁠[2] 대법원 2017. 11. 29. 선고 2017다241819 판결


【전문】

【원고, 피상고인】

주식회사 ○○○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정세 담당변호사 이동명 외 1인)

【피고, 상고인】

주식회사 △△△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희백)

【원심판결】

청주지법 2022. 8. 19. 선고 2022나50070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청주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다음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에서)를 판단한다. 
1.  채권자취소권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는 채권은 원칙적으로 사해행위라고 볼 수 있는 행위가 행하여지기 전에 발생된 것임을 요하지만, 그 사해행위 당시에 이미 채권 성립의 기초가 되는 법률관계가 발생되어 있고, 가까운 장래에 그 법률관계에 터 잡아 채권이 성립되리라는 점에 대한 고도의 개연성이 있으며, 실제로 가까운 장래에 그 개연성이 현실화되어 채권이 성립된 경우에는, 그 채권도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이 될 수 있다(대법원 2004. 11. 12. 선고 2004다40955 판결, 대법원 2017. 9. 21. 선고 2015다53841 판결 등 참조).
계속적인 물품공급계약에서 대상이 되는 물품의 구체적인 수량, 거래단가, 거래시기 등에 관하여까지 구체적으로 미리 정하고 있다거나, 일정한 한도에서 공급자가 외상으로 물품을 공급할 의무를 규정하고 있지 않은 이상, 계속적 물품공급계약 그 자체에 기하여 거래당사자의 채권이 바로 성립하지는 아니하며, 주문자가 상대방에게 구체적으로 물품의 공급을 의뢰하고 그에 따라 상대방이 물품을 공급하는 별개의 법률관계가 성립하여야만 채권이 성립한다. 따라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사해행위 당시 계속적인 물품거래관계가 존재하였다는 사정만으로 채권 성립의 기초가 되는 법률관계가 발생하여 있었다고 할 수 없다(대법원 2017. 11. 29. 선고 2017다241819 판결).
 
2.  원심판결 이유 및 기록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가.  원고는 2014. 10. 25. □□□ 주식회사(이하 ⁠‘□□□’라 한다)와 석유화학제품을 공급하는 물품공급계약을 체결하였다.
 
나.  위 물품공급계약은 공급할 물품의 구체적인 수량이나 단가, 거래 시기 등을 구체적으로 정하고 있지 않고, 물품대금은 물품 공급 후 익월 말일까지 지급하도록 정하고 있을 뿐 일정한 한도에서 외상으로 물품을 공급할 의무를 규정하고 있지 않다.
 
다.  □□□는 2018. 4. 24. 피고에게 이 사건 부동산을 매도하는 계약(이하 ⁠‘이 사건 매매계약’이라 한다)을 체결하고, 2018. 6. 28. 피고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다.
 
라.  원고는 2018. 5. 이전 공급한 물품의 대금은 모두 변제받았으나, 2018. 5. 공급한 물품대금 중 일부 6,372,000원, 2018. 6. 공급한 물품대금 26,741,000원, 합계 33,113,000원을 변제받지 못하였다.
 
마.  원고는 이 사건 매매계약이 원고의 위 물품대금채권을 해하는 사해행위라고 주장하면서, 이 사건 소송을 제기하였다.
 
3.  위 사실관계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원고가 이 사건 매매계약이 체결되기 전부터 채무자 □□□와 물품공급거래를 계속하여 왔더라도 이 사건 매매계약이 체결된 후 □□□로부터 구체적인 물품 공급을 의뢰받아 공급한 물품에 대한 대금채권은 사해행위 이후에 발생한 채권에 불과하므로, 다른 사정이 없는 한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이 된다고 보기 어렵다.
그럼에도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로 원고의 물품대금채권이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이 된다고 판단하였다. 원심의 판단에는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4.  결론
따라서 나머지 상고이유에 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오경미(재판장) 박정화 김선수(주심) 노태악

출처 : 대법원 2023. 03. 16. 선고 2022다272046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