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컴퓨터 화면 이미지와 출력물의 문서 성립 기준과 사문서변조죄

2023도4804
판결 요약
형법상 문서에 관한 죄에서 컴퓨터 모니터 화면에 나타나는 이미지는 문서에 해당하지 않으며, 그 화면을 출력한 종이는 문서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해당 출력물을 변조하고 행사한 경우, 사문서변조 및 변조사문서행사죄가 성립함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문서변조 #사문서변조 #변조사문서행사 #컴퓨터 출력물 #모니터 이미지
질의 응답
1. 컴퓨터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만으로 문서변조죄의 문서가 될 수 있나요?
답변
컴퓨터 모니터 화면에 나타난 이미지만으로는 형법상 문서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3도4804 판결은 컴퓨터 모니터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는 문서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습니다.
2. 컴퓨터 화면을 인쇄한 출력물은 문서변조죄에서 문서로 보나요?
답변
모니터 화면을 인쇄한 출력물은 문서로 인정될 수 있으며, 변조 시 처벌 대상입니다.
근거
대법원 2023도4804 판결은 출력물은 문자나 부호가 계속적으로 물체상에 기재된 형태이므로 문서에 해당 가능하다고 판시하였습니다.
3. 전자문서나 파일을 수정한 경우 사문서변조죄가 성립하나요?
답변
출력물(종이 등 물체)에 기재된 경우에만 문서변조죄가 성립하며, 디지털 화면상의 파일만의 수정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3도4804 판결은 종이에 출력되어야 문서로 취급된다는 판례 및 법리를 재확인하였습니다(2007도7480, 2008도1013 참조).
4. 사문서변조죄에서 문서 인쇄 후 내용 일부를 변경하면 처벌받나요?
답변
출력한 문서의 일부 내용을 변경하면 사문서변조죄 및 행사의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3도4804 판결 사례에서 엑셀파일을 출력, 내용변경 후 행사한 점이 유죄로 인정되었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업무상횡령·사문서변조·변조사문서행사·사기

 ⁠[대법원 2023. 6. 29. 선고 2023도4804 판결]

【판시사항】

형법상 문서에 관한 죄에 있어서 문서의 의미 / 컴퓨터 모니터 화면에 나타나는 이미지가 형법상 문서에 관한 죄의 ⁠‘문서’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및 그 출력물이 ⁠‘문서’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참조조문】

형법 제225조, 제231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6. 1. 26. 선고 2004도788 판결(공2006상, 365), 대법원 2007. 11. 29. 선고 2007도7480 판결, 대법원 2008. 4. 10. 선고 2008도1013 판결


【전문】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법무법인 로엘 담당변호사 이태호 외 2인

【원심판결】

의정부지법 2023. 3. 30. 선고 2022노44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제출기간이 지난 상고이유보충서는 이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형법상 문서에 관한 죄에 있어서 문서란, 문자 또는 이에 대신할 수 있는 가독적 부호로 계속적으로 물체상에 기재된 의사 또는 관념의 표시인 원본 또는 이와 사회적 기능, 신용성 등을 동일시할 수 있는 기계적 방법에 의한 복사본으로서 그 내용이 법률상, 사회생활상 주요 사항에 관한 증거로 될 수 있는 것을 말한다(대법원 2006. 1. 26. 선고 2004도788 판결 참조). 컴퓨터 모니터 화면에 나타나는 이미지만으로는 형법상 문서에 관한 죄의 ⁠‘문서’에는 해당되지 않을 것이나(대법원 2007. 11. 29. 선고 2007도7480 판결, 대법원 2008. 4. 10. 선고 2008도1013 판결 등 참조), 그 출력물은 문자 또는 가독적 부호가 계속적으로 물체상에 기재된 것으로서 ⁠‘문서’에 해당할 수 있다.
원심은, 이 사건 공소사실 중 피고인이 권한 없이 통관 업무를 위하여 받아놓은 ⁠‘Wuxi Jiangwei International Trade Co.Ltd(우석장위국제무역유한공사)’ 명의의 인보이스(COMMERCIAL INVOICE) 엑셀파일의 화주(CONSIGNEE)란과 날짜(DATE)란 및 물품리스트(PACKING LIST) 엑셀파일의 화주(CONSIGNEE)란과 날짜(DATE)란을 각각 변경한 후 이를 출력하여 진정하게 성립한 문서인 것처럼 교부하여 행사하였다는 부분에 대하여, 피고인의 행위가 각각 사문서변조 및 변조사문서행사죄에 해당한다고 보아 이를 유죄로 판단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않은 채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사문서변조죄 및 변조사문서행사죄에서의 ⁠‘문서’ 및 횡령금액의 산정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정화(재판장) 김선수 노태악(주심) 오경미

출처 : 대법원 2023. 06. 29. 선고 2023도4804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

판례 검색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컴퓨터 화면 이미지와 출력물의 문서 성립 기준과 사문서변조죄

2023도4804
판결 요약
형법상 문서에 관한 죄에서 컴퓨터 모니터 화면에 나타나는 이미지는 문서에 해당하지 않으며, 그 화면을 출력한 종이는 문서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해당 출력물을 변조하고 행사한 경우, 사문서변조 및 변조사문서행사죄가 성립함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문서변조 #사문서변조 #변조사문서행사 #컴퓨터 출력물 #모니터 이미지
질의 응답
1. 컴퓨터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만으로 문서변조죄의 문서가 될 수 있나요?
답변
컴퓨터 모니터 화면에 나타난 이미지만으로는 형법상 문서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3도4804 판결은 컴퓨터 모니터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는 문서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습니다.
2. 컴퓨터 화면을 인쇄한 출력물은 문서변조죄에서 문서로 보나요?
답변
모니터 화면을 인쇄한 출력물은 문서로 인정될 수 있으며, 변조 시 처벌 대상입니다.
근거
대법원 2023도4804 판결은 출력물은 문자나 부호가 계속적으로 물체상에 기재된 형태이므로 문서에 해당 가능하다고 판시하였습니다.
3. 전자문서나 파일을 수정한 경우 사문서변조죄가 성립하나요?
답변
출력물(종이 등 물체)에 기재된 경우에만 문서변조죄가 성립하며, 디지털 화면상의 파일만의 수정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3도4804 판결은 종이에 출력되어야 문서로 취급된다는 판례 및 법리를 재확인하였습니다(2007도7480, 2008도1013 참조).
4. 사문서변조죄에서 문서 인쇄 후 내용 일부를 변경하면 처벌받나요?
답변
출력한 문서의 일부 내용을 변경하면 사문서변조죄 및 행사의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3도4804 판결 사례에서 엑셀파일을 출력, 내용변경 후 행사한 점이 유죄로 인정되었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업무상횡령·사문서변조·변조사문서행사·사기

 ⁠[대법원 2023. 6. 29. 선고 2023도4804 판결]

【판시사항】

형법상 문서에 관한 죄에 있어서 문서의 의미 / 컴퓨터 모니터 화면에 나타나는 이미지가 형법상 문서에 관한 죄의 ⁠‘문서’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및 그 출력물이 ⁠‘문서’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참조조문】

형법 제225조, 제231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6. 1. 26. 선고 2004도788 판결(공2006상, 365), 대법원 2007. 11. 29. 선고 2007도7480 판결, 대법원 2008. 4. 10. 선고 2008도1013 판결


【전문】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법무법인 로엘 담당변호사 이태호 외 2인

【원심판결】

의정부지법 2023. 3. 30. 선고 2022노44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제출기간이 지난 상고이유보충서는 이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형법상 문서에 관한 죄에 있어서 문서란, 문자 또는 이에 대신할 수 있는 가독적 부호로 계속적으로 물체상에 기재된 의사 또는 관념의 표시인 원본 또는 이와 사회적 기능, 신용성 등을 동일시할 수 있는 기계적 방법에 의한 복사본으로서 그 내용이 법률상, 사회생활상 주요 사항에 관한 증거로 될 수 있는 것을 말한다(대법원 2006. 1. 26. 선고 2004도788 판결 참조). 컴퓨터 모니터 화면에 나타나는 이미지만으로는 형법상 문서에 관한 죄의 ⁠‘문서’에는 해당되지 않을 것이나(대법원 2007. 11. 29. 선고 2007도7480 판결, 대법원 2008. 4. 10. 선고 2008도1013 판결 등 참조), 그 출력물은 문자 또는 가독적 부호가 계속적으로 물체상에 기재된 것으로서 ⁠‘문서’에 해당할 수 있다.
원심은, 이 사건 공소사실 중 피고인이 권한 없이 통관 업무를 위하여 받아놓은 ⁠‘Wuxi Jiangwei International Trade Co.Ltd(우석장위국제무역유한공사)’ 명의의 인보이스(COMMERCIAL INVOICE) 엑셀파일의 화주(CONSIGNEE)란과 날짜(DATE)란 및 물품리스트(PACKING LIST) 엑셀파일의 화주(CONSIGNEE)란과 날짜(DATE)란을 각각 변경한 후 이를 출력하여 진정하게 성립한 문서인 것처럼 교부하여 행사하였다는 부분에 대하여, 피고인의 행위가 각각 사문서변조 및 변조사문서행사죄에 해당한다고 보아 이를 유죄로 판단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않은 채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사문서변조죄 및 변조사문서행사죄에서의 ⁠‘문서’ 및 횡령금액의 산정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정화(재판장) 김선수 노태악(주심) 오경미

출처 : 대법원 2023. 06. 29. 선고 2023도4804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