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수탁자 신탁의 법인세 과세 요건과 해당 여부 판단

서울고등법원 2022누63524
판결 요약
법인세는 사업연도별 과세가 원칙이며, 수탁자 과세는 신탁계약 약정이나 수익자가 둘 이상인 경우 등 특정 요건을 충족해야 인정됩니다. 본 사건에서 원고가 해당 조건에 부합하지 않아 법인세 부과처분이 정당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수탁자과세 #신탁계약 #법인세 #신탁재산 #과세요건
질의 응답
1. 수탁자 명의 신탁재산에서 법인세 수탁자 과세 요건은 무엇인가요?
답변
법인세법상 수탁자 과세가 인정되려면 신탁계약상 특정 약정 또는 수익자가 둘 이상임 등이 필요합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2-누-63524 판결문은 신탁계약 약정, 수익자 복수 등 특정 요건을 요하지 않는 경우 수탁자 과세가 인정되지 않는다고 설시하였습니다.
2. 신탁재산에서 수탁자가 법인세 납세의무를 지지 않는 경우는 언제인가요?
답변
수탁자가 법인세 과세 요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해당 신탁재산에 대해 직접 법인세 납세의무가 인정되지 않습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2-누-63524 판결은 원고가 법인세법상 수탁자 과세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습니다.
3. 수탁자에 대한 법인세 부과처분이 정당하다고 본 이유는 무엇인가요?
답변
원고가 법인세법의 수탁자 과세 인정 요건을 충족하지 않아 부과처분이 정당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2-누-63524 판결은 요건 불충족 시 법인세 부과처분이 유지된다고 설시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요지

법인세는 사업연도 단위로 과세하는 것으로써 법인세법상 수탁자 과세는 신탁 계약상 약정, 수익자가 둘 이상인 경우 등을 요건으로 하고 있으나, 원고는 이에 해당하지 않음

판결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상세내용

사 건

서울고등법원-2022-누-63524

원 고

MMM

피 고

CCC세무서장

변 론 종 결

2023.03.08.

판 결 선 고

2023.04.05.

주 문

1. 원고의 항소를 기각한다.

2. 항소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청구취지 및 항소취지

제1심판결을 취소한다. 피고가 2019. 10. 1. 원고에 대하여 한 2016년 귀속 법인세

178,067,440원(가산세 포함)의 부과처분을 취소한다.

이 유

1. 제1심판결의 인용 등

 이 법원이 이 사건에 관하여 설시할 이유는, 제1심판결의 이유 부분(그 별지 ⁠‘관계 법령’ 부분은 포함하되 ⁠‘3. 결론’ 부분은 제외) 기재와 같으므로[원고의 이 법원에서의 주장 역시 제1심에서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아니한바, 원고가 이 법원에 추가로 제출한 증거(갑 제16 내지 20호증)를 보태어 원고가 당심에서 강조한 주장을 재차 면밀히 검토하여 보더라도 제1심의 사실인정 및 판단을 뒤집기 부족하다], 행정소송법 제8조제2항, 민사소송법 제420조 본문에 따라 이를 그대로 인용한다.

2. 결론

 따라서 원고의 청구는 이유 없어 이를 기각하여야 한다. 제1심판결은 이와 결론을

같이하여 정당하므로, 원고의 항소는 이유 없어 이를 기각한다.

출처 : 서울고등법원 2023. 04. 05. 선고 서울고등법원 2022누63524 판결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판례 검색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수탁자 신탁의 법인세 과세 요건과 해당 여부 판단

서울고등법원 2022누63524
판결 요약
법인세는 사업연도별 과세가 원칙이며, 수탁자 과세는 신탁계약 약정이나 수익자가 둘 이상인 경우 등 특정 요건을 충족해야 인정됩니다. 본 사건에서 원고가 해당 조건에 부합하지 않아 법인세 부과처분이 정당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수탁자과세 #신탁계약 #법인세 #신탁재산 #과세요건
질의 응답
1. 수탁자 명의 신탁재산에서 법인세 수탁자 과세 요건은 무엇인가요?
답변
법인세법상 수탁자 과세가 인정되려면 신탁계약상 특정 약정 또는 수익자가 둘 이상임 등이 필요합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2-누-63524 판결문은 신탁계약 약정, 수익자 복수 등 특정 요건을 요하지 않는 경우 수탁자 과세가 인정되지 않는다고 설시하였습니다.
2. 신탁재산에서 수탁자가 법인세 납세의무를 지지 않는 경우는 언제인가요?
답변
수탁자가 법인세 과세 요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해당 신탁재산에 대해 직접 법인세 납세의무가 인정되지 않습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2-누-63524 판결은 원고가 법인세법상 수탁자 과세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습니다.
3. 수탁자에 대한 법인세 부과처분이 정당하다고 본 이유는 무엇인가요?
답변
원고가 법인세법의 수탁자 과세 인정 요건을 충족하지 않아 부과처분이 정당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2-누-63524 판결은 요건 불충족 시 법인세 부과처분이 유지된다고 설시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요지

법인세는 사업연도 단위로 과세하는 것으로써 법인세법상 수탁자 과세는 신탁 계약상 약정, 수익자가 둘 이상인 경우 등을 요건으로 하고 있으나, 원고는 이에 해당하지 않음

판결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상세내용

사 건

서울고등법원-2022-누-63524

원 고

MMM

피 고

CCC세무서장

변 론 종 결

2023.03.08.

판 결 선 고

2023.04.05.

주 문

1. 원고의 항소를 기각한다.

2. 항소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청구취지 및 항소취지

제1심판결을 취소한다. 피고가 2019. 10. 1. 원고에 대하여 한 2016년 귀속 법인세

178,067,440원(가산세 포함)의 부과처분을 취소한다.

이 유

1. 제1심판결의 인용 등

 이 법원이 이 사건에 관하여 설시할 이유는, 제1심판결의 이유 부분(그 별지 ⁠‘관계 법령’ 부분은 포함하되 ⁠‘3. 결론’ 부분은 제외) 기재와 같으므로[원고의 이 법원에서의 주장 역시 제1심에서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아니한바, 원고가 이 법원에 추가로 제출한 증거(갑 제16 내지 20호증)를 보태어 원고가 당심에서 강조한 주장을 재차 면밀히 검토하여 보더라도 제1심의 사실인정 및 판단을 뒤집기 부족하다], 행정소송법 제8조제2항, 민사소송법 제420조 본문에 따라 이를 그대로 인용한다.

2. 결론

 따라서 원고의 청구는 이유 없어 이를 기각하여야 한다. 제1심판결은 이와 결론을

같이하여 정당하므로, 원고의 항소는 이유 없어 이를 기각한다.

출처 : 서울고등법원 2023. 04. 05. 선고 서울고등법원 2022누63524 판결 | 국세법령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