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토지·건물 혼합 공급시 공통매입세액 계산 기준

대법원 2022두59769
판결 요약
과세(건물)와 면세(토지) 사업이 혼합된 경우, 공급받은 용역의 매입세액은 실제 귀속이 명확하지 않으면 공통매입세액으로 취급함이 타당하다고 본 판결입니다. 실지귀속이 분명할 때와 아닐 때의 구분 기준을 제시하였습니다.
#공통매입세액 #토지 건물 혼합 공급 #부가가치세 #매입세액 공제 #실지귀속
질의 응답
1. 토지와 건물 등 과세·면세 혼합 공급 시, 매입세액을 어떻게 구분하나요?
답변
공급받은 용역이 과세사업(건물)과 면세사업(토지) 모두 관련되어 있고, 실제 귀속이 구분되지 않는 경우에는 공통매입세액으로 봅니다.
근거
대법원 2022두59769 판결은 과세사업과 면세사업 혼합 사업을 위해 공급받은 용역에 대해 실지귀속을 구분할 수 없다면 공통매입세액에 해당한다고 판시하였습니다.
2. 공통매입세액으로 처리해야 할 요건은 무엇인가요?
답변
실지귀속을 구분할 수 없을 때에만 공통매입세액으로 처리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2두59769 판결은 실지귀속이 명확하지 않을 경우에 매입세액을 공통매입세액으로 처리해야 한다는 취지를 밝혔습니다.
3. 과세·면세사업 관련 매입세액 구분이 실무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답변
매입세액 환급·공제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니, 실지귀속이 명확하다면 해당 사업으로, 불분명하다면 공통매입세액으로 각각 처리해야 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2두59769 판결 및 원심요지는 실제 용역 귀속의 명확성 여부에 따라 각별한 구분과 절차적 처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요지

(원심 요지)과세사업(건물 공급)과 면세사업(토지 공급)이 혼합된 사업 시행을 위하여 공급 받은 용역의 대가에 대한 매입세액은 과세사업과 면세사업에 관련된 매입세액에 해당하고, 그 실지귀속을 구분할 수 없는 경우 공통매입세액에 해당한다고 봄이 타당함

판결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상세내용

사 건

2022두59769 부가가치세 환급거부처분 취소

원고, 상고인

주식회사 맥○○○○○○○○○

피고, 피상고인

○○세무서장

원 심 판 결

서울고등법원 2022. 9. 7. 선고 2021누74831 판결

판 결 선 고

2023. 2. 2.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이 사건 기록과 원심판결 및 상고이유를 모두 살펴보았으나, 상고인의 상고이유에 관한 주장은「상고심절차에 관한 특례법」제4조 제1항 각 호에 정한 사유를 포함하지 아니하거나 이유가 없다고 인정되므로, 같은 법 제5조에 의하여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출처 : 대법원 2023. 02. 02. 선고 대법원 2022두59769 판결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판례 검색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토지·건물 혼합 공급시 공통매입세액 계산 기준

대법원 2022두59769
판결 요약
과세(건물)와 면세(토지) 사업이 혼합된 경우, 공급받은 용역의 매입세액은 실제 귀속이 명확하지 않으면 공통매입세액으로 취급함이 타당하다고 본 판결입니다. 실지귀속이 분명할 때와 아닐 때의 구분 기준을 제시하였습니다.
#공통매입세액 #토지 건물 혼합 공급 #부가가치세 #매입세액 공제 #실지귀속
질의 응답
1. 토지와 건물 등 과세·면세 혼합 공급 시, 매입세액을 어떻게 구분하나요?
답변
공급받은 용역이 과세사업(건물)과 면세사업(토지) 모두 관련되어 있고, 실제 귀속이 구분되지 않는 경우에는 공통매입세액으로 봅니다.
근거
대법원 2022두59769 판결은 과세사업과 면세사업 혼합 사업을 위해 공급받은 용역에 대해 실지귀속을 구분할 수 없다면 공통매입세액에 해당한다고 판시하였습니다.
2. 공통매입세액으로 처리해야 할 요건은 무엇인가요?
답변
실지귀속을 구분할 수 없을 때에만 공통매입세액으로 처리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2두59769 판결은 실지귀속이 명확하지 않을 경우에 매입세액을 공통매입세액으로 처리해야 한다는 취지를 밝혔습니다.
3. 과세·면세사업 관련 매입세액 구분이 실무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답변
매입세액 환급·공제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니, 실지귀속이 명확하다면 해당 사업으로, 불분명하다면 공통매입세액으로 각각 처리해야 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2두59769 판결 및 원심요지는 실제 용역 귀속의 명확성 여부에 따라 각별한 구분과 절차적 처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요지

(원심 요지)과세사업(건물 공급)과 면세사업(토지 공급)이 혼합된 사업 시행을 위하여 공급 받은 용역의 대가에 대한 매입세액은 과세사업과 면세사업에 관련된 매입세액에 해당하고, 그 실지귀속을 구분할 수 없는 경우 공통매입세액에 해당한다고 봄이 타당함

판결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상세내용

사 건

2022두59769 부가가치세 환급거부처분 취소

원고, 상고인

주식회사 맥○○○○○○○○○

피고, 피상고인

○○세무서장

원 심 판 결

서울고등법원 2022. 9. 7. 선고 2021누74831 판결

판 결 선 고

2023. 2. 2.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이 사건 기록과 원심판결 및 상고이유를 모두 살펴보았으나, 상고인의 상고이유에 관한 주장은「상고심절차에 관한 특례법」제4조 제1항 각 호에 정한 사유를 포함하지 아니하거나 이유가 없다고 인정되므로, 같은 법 제5조에 의하여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출처 : 대법원 2023. 02. 02. 선고 대법원 2022두59769 판결 | 국세법령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