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상속분 포기와 사해행위 인정 여부 및 채권자 보호

대법원 2022다281057
판결 요약
채무초과 상태의 상속인이 상속분을 포기하여 공동담보를 감소시킨 경우, 이는 원칙적으로 채권자에 대한 사해행위에 해당한다고 판시하였습니다. 즉, 상속분 포기를 통한 채권자 피해 방지를 실무적으로 주의해야 합니다.
#상속분 포기 #채무초과 #사해행위 #공동담보 감소 #상속재산분할
질의 응답
1. 채무자가 채무초과 상태에서 상속분을 포기하면 사해행위가 성립하나요?
답변
채무초과 상태에서 상속재산 분할협의로 자신의 상속분을 포기하면, 원칙적으로 채권자에 대한 사해행위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2다281057 판결은 채무초과 상태의 상속인이 상속분에 관한 권리를 포기해 공동담보가 감소된 경우 채권자에 대해 사해행위가 될 수 있다고 판시하였습니다.
2. 상속재산분할 협의에서 상속인의 상속분 포기와 일반 채권자 피해와의 관계는?
답변
상속분 포기로 인해 공동담보가 줄어드는 경우, 이는 채권자 보호를 해칠 수 있어 사해행위로 인정됩니다.
근거
대법원 2022다281057 판결 요지는, 상속분 권리 포기로 채권자 보호 범위가 줄어들면 원칙적으로 사해행위 취소의 대상이 된다는 점을 확인하였습니다.
3. 채무자가 상속분을 포기한 경우 채권자는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나요?
답변
채권자는 사해행위 취소 소송을 통해 상속분 포기의 효력을 다툴 수 있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2다281057 판결은 사해행위에 해당하는 경우 채권자가 민사소송을 통해 취소를 청구할 수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요지

채무초과 상태에 있는 채무자가 상속재산의 분할협의를 하면서 자신의 상속분에 관한 권리를 포기함으로써 일반 채권자에 대한 공동담보가 감소된 경우에도 원칙적으로 채권자에 대한 사해행위에 해당함

판결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상세내용

사 건

2022다281057 사해행위취소

원 고

대한민국

피 고

송○○

변 론 종 결

판 결 선 고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이 사건 기록과 원심판결 및 상고이유서를 모두 살펴보았으나, 상고이유에 관한 주장은「상고심절차에 관한 특례법」제4조 제1항 각 호에 정한 사유를 포함하지 아니하거나 이유가 없다고 인정되므로, 위 법 제5조에 의하여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출처 : 대법원 2022. 12. 15. 선고 대법원 2022다281057 판결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판례 검색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상속분 포기와 사해행위 인정 여부 및 채권자 보호

대법원 2022다281057
판결 요약
채무초과 상태의 상속인이 상속분을 포기하여 공동담보를 감소시킨 경우, 이는 원칙적으로 채권자에 대한 사해행위에 해당한다고 판시하였습니다. 즉, 상속분 포기를 통한 채권자 피해 방지를 실무적으로 주의해야 합니다.
#상속분 포기 #채무초과 #사해행위 #공동담보 감소 #상속재산분할
질의 응답
1. 채무자가 채무초과 상태에서 상속분을 포기하면 사해행위가 성립하나요?
답변
채무초과 상태에서 상속재산 분할협의로 자신의 상속분을 포기하면, 원칙적으로 채권자에 대한 사해행위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2다281057 판결은 채무초과 상태의 상속인이 상속분에 관한 권리를 포기해 공동담보가 감소된 경우 채권자에 대해 사해행위가 될 수 있다고 판시하였습니다.
2. 상속재산분할 협의에서 상속인의 상속분 포기와 일반 채권자 피해와의 관계는?
답변
상속분 포기로 인해 공동담보가 줄어드는 경우, 이는 채권자 보호를 해칠 수 있어 사해행위로 인정됩니다.
근거
대법원 2022다281057 판결 요지는, 상속분 권리 포기로 채권자 보호 범위가 줄어들면 원칙적으로 사해행위 취소의 대상이 된다는 점을 확인하였습니다.
3. 채무자가 상속분을 포기한 경우 채권자는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나요?
답변
채권자는 사해행위 취소 소송을 통해 상속분 포기의 효력을 다툴 수 있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2다281057 판결은 사해행위에 해당하는 경우 채권자가 민사소송을 통해 취소를 청구할 수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요지

채무초과 상태에 있는 채무자가 상속재산의 분할협의를 하면서 자신의 상속분에 관한 권리를 포기함으로써 일반 채권자에 대한 공동담보가 감소된 경우에도 원칙적으로 채권자에 대한 사해행위에 해당함

판결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상세내용

사 건

2022다281057 사해행위취소

원 고

대한민국

피 고

송○○

변 론 종 결

판 결 선 고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이 사건 기록과 원심판결 및 상고이유서를 모두 살펴보았으나, 상고이유에 관한 주장은「상고심절차에 관한 특례법」제4조 제1항 각 호에 정한 사유를 포함하지 아니하거나 이유가 없다고 인정되므로, 위 법 제5조에 의하여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출처 : 대법원 2022. 12. 15. 선고 대법원 2022다281057 판결 | 국세법령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