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추심의 소에서 제3채무자의 항변 범위 및 집행채권 부존재 주장 가능성

2020다8432
판결 요약
추심소송에서 제3채무자는 집행채권의 부존재·소멸을 항변으로 주장해 변제를 거절할 수 없으나, 압류된 채권과 관련해 실체법상 채무자에게 주장 가능한 모든 항변은 추심채권자에게도 대항 가능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본래 채권의 소멸시효가 완성되었을 경우, 이에 기초한 해제권·원상회복청구권·위약금청구권도 소멸합니다.
#추심금 #추심소송 #제3채무자 #집행채권 부존재 #소멸시효
질의 응답
1. 추심소송에서 제3채무자가 집행채권의 부존재나 소멸을 주장할 수 있습니까?
답변
집행채권의 부존재나 소멸은 제3채무자가 추심소송에서는 주장해 변제를 거절할 수 없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3. 5. 18. 선고 2020다8432 판결은 집행채권 부존재·소멸은 집행채무자가 청구이의의 소에서 주장할 사유로, 제3채무자는 추심의 소에서는 이를 항변으로 삼을 수 없다고 판시하였습니다.
2. 제3채무자가 추심채권자에게 대항할 수 있는 항변의 범위는 어떻게 되나요?
답변
제3채무자는 압류된 채권과 관련해서 채무자에게 주장할 수 있는 실체법상 모든 항변을 추심채권자에게도 주장할 수 있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3. 5. 18. 선고 2020다8432 판결은 제3채무자는 압류된 채권에 관해 채무자에게 주장 가능한 모든 실체법상 항변을 추심채권자에게도 대항 가능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3. 원상회복청구권과 위약금청구권이 시효로 소멸할 수 있나요?
답변
본래 채권이 시효 완성으로 소멸한 경우, 해제권과 이에 근거한 원상회복청구권과 위약금청구권도 소멸할 수 있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3. 5. 18. 선고 2020다8432 판결은 본래 채권 시효 완성 시 해제권, 원상회복청구권, 위약금청구권 행사 불가 또는 소멸로 본 원심의 판단을 수긍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추심금

 ⁠[대법원 2023. 5. 18. 선고 2020다8432 판결]

【판시사항】

제3채무자가 추심의 소에서 집행채권의 부존재나 소멸을 주장하여 채무의 변제를 거절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 이때 제3채무자는 압류된 채권에 관하여 채무자에 대하여 주장할 수 있는 실체법상의 모든 항변으로 추심채권자에게 대항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참조조문】

민사집행법 제44조, 제238조

【참조판례】

대법원 2022. 12. 16. 선고 2020다201613 판결


【전문】

【원고, 상고인】

원고

【피고, 피상고인】

피고

【원심판결】

울산지법 2019. 12. 12. 선고 2018나279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추심소송에서의 항변사유 제한에 관한 법리오해 주장에 대하여
집행채권의 부존재나 소멸은 집행채무자가 청구에 관한 이의의 소에서 주장할 사유이고, 추심의 소에서 제3채무자인 피고가 이를 항변으로 주장하여 채무의 변제를 거절할 수 없다. 그러나 제3채무자인 피고는 압류된 채권에 관하여는 채무자에 대하여 주장할 수 있는 실체법상의 모든 항변으로 추심채권자에게 대항할 수 있다(대법원 2022. 12. 16. 선고 2020다201613 판결 등 참조).
따라서 원심이 이 사건 추심명령의 채무자인 주식회사 ○○이 제3채무자인 피고에 대하여 가지는 이 사건 매매계약에 관한 해제권 및 그에 근거한 원상회복청구권과 위약금청구권이 소멸하였다는 취지의 피고의 항변을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추심소송에서의 항변사유 제한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2.  소멸시효 완성 및 계약해제로 인한 원상회복청구권과 위약금청구권에 관한 법리오해 주장에 대하여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로, 계약해제 의사표시 당시에 본래 채권이 시효의 완성으로 소멸하였다면 그 해제권 및 이에 근거한 원상회복청구권과 위약금청구권도 행사할 수 없거나 소멸한다고 보아 원고의 청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원심판결 이유를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에 본래 채권의 소멸시효 완성과 계약해제로 인한 원상회복청구권과 위약금청구권의 소멸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3.  결론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노정희(재판장) 안철상 이흥구 오석준(주심)

출처 : 대법원 2023. 05. 18. 선고 2020다8432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

판례 검색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추심의 소에서 제3채무자의 항변 범위 및 집행채권 부존재 주장 가능성

2020다8432
판결 요약
추심소송에서 제3채무자는 집행채권의 부존재·소멸을 항변으로 주장해 변제를 거절할 수 없으나, 압류된 채권과 관련해 실체법상 채무자에게 주장 가능한 모든 항변은 추심채권자에게도 대항 가능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본래 채권의 소멸시효가 완성되었을 경우, 이에 기초한 해제권·원상회복청구권·위약금청구권도 소멸합니다.
#추심금 #추심소송 #제3채무자 #집행채권 부존재 #소멸시효
질의 응답
1. 추심소송에서 제3채무자가 집행채권의 부존재나 소멸을 주장할 수 있습니까?
답변
집행채권의 부존재나 소멸은 제3채무자가 추심소송에서는 주장해 변제를 거절할 수 없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3. 5. 18. 선고 2020다8432 판결은 집행채권 부존재·소멸은 집행채무자가 청구이의의 소에서 주장할 사유로, 제3채무자는 추심의 소에서는 이를 항변으로 삼을 수 없다고 판시하였습니다.
2. 제3채무자가 추심채권자에게 대항할 수 있는 항변의 범위는 어떻게 되나요?
답변
제3채무자는 압류된 채권과 관련해서 채무자에게 주장할 수 있는 실체법상 모든 항변을 추심채권자에게도 주장할 수 있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3. 5. 18. 선고 2020다8432 판결은 제3채무자는 압류된 채권에 관해 채무자에게 주장 가능한 모든 실체법상 항변을 추심채권자에게도 대항 가능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3. 원상회복청구권과 위약금청구권이 시효로 소멸할 수 있나요?
답변
본래 채권이 시효 완성으로 소멸한 경우, 해제권과 이에 근거한 원상회복청구권과 위약금청구권도 소멸할 수 있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3. 5. 18. 선고 2020다8432 판결은 본래 채권 시효 완성 시 해제권, 원상회복청구권, 위약금청구권 행사 불가 또는 소멸로 본 원심의 판단을 수긍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추심금

 ⁠[대법원 2023. 5. 18. 선고 2020다8432 판결]

【판시사항】

제3채무자가 추심의 소에서 집행채권의 부존재나 소멸을 주장하여 채무의 변제를 거절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 이때 제3채무자는 압류된 채권에 관하여 채무자에 대하여 주장할 수 있는 실체법상의 모든 항변으로 추심채권자에게 대항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참조조문】

민사집행법 제44조, 제238조

【참조판례】

대법원 2022. 12. 16. 선고 2020다201613 판결


【전문】

【원고, 상고인】

원고

【피고, 피상고인】

피고

【원심판결】

울산지법 2019. 12. 12. 선고 2018나279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추심소송에서의 항변사유 제한에 관한 법리오해 주장에 대하여
집행채권의 부존재나 소멸은 집행채무자가 청구에 관한 이의의 소에서 주장할 사유이고, 추심의 소에서 제3채무자인 피고가 이를 항변으로 주장하여 채무의 변제를 거절할 수 없다. 그러나 제3채무자인 피고는 압류된 채권에 관하여는 채무자에 대하여 주장할 수 있는 실체법상의 모든 항변으로 추심채권자에게 대항할 수 있다(대법원 2022. 12. 16. 선고 2020다201613 판결 등 참조).
따라서 원심이 이 사건 추심명령의 채무자인 주식회사 ○○이 제3채무자인 피고에 대하여 가지는 이 사건 매매계약에 관한 해제권 및 그에 근거한 원상회복청구권과 위약금청구권이 소멸하였다는 취지의 피고의 항변을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추심소송에서의 항변사유 제한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2.  소멸시효 완성 및 계약해제로 인한 원상회복청구권과 위약금청구권에 관한 법리오해 주장에 대하여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로, 계약해제 의사표시 당시에 본래 채권이 시효의 완성으로 소멸하였다면 그 해제권 및 이에 근거한 원상회복청구권과 위약금청구권도 행사할 수 없거나 소멸한다고 보아 원고의 청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원심판결 이유를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에 본래 채권의 소멸시효 완성과 계약해제로 인한 원상회복청구권과 위약금청구권의 소멸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3.  결론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노정희(재판장) 안철상 이흥구 오석준(주심)

출처 : 대법원 2023. 05. 18. 선고 2020다8432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