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타인 소유 주택 부속토지 소유자의 주택 수 산정과 종합부동산세 중과세율 인정

의정부지방법원 2022구합14488
판결 요약
타인 소유 주택의 부속토지 소유자도 주택분 재산세 과세대상 주택을 소유하는 것으로 보아 종합부동산세 중과세율(6%) 적용이 정당함. 명시규정 부재 또는 실수요 등 사유로도 예외 인정 안됨.
#타인 소유 주택 #부속토지 #주택분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주택 수 산정
질의 응답
1. 타인 소유 주택 부속토지만 소유한 경우 종합부동산세 주택 수에 포함되나요?
답변
주택분 재산세 과세대상인 주택의 부속토지만 소유한 경우에도 해당 토지와 연결된 주택 수만큼 주택 소유로 간주되어 주택 수 산정에 포함됩니다.
근거
의정부지방법원 2022구합14488 판결은 부속토지 소유자도 주택분 재산세 및 종합부동산세 주택 소유자로 본다고 판시하였습니다.
2. 부속토지 소유자에게 종합부동산세 중과세율(6%)을 적용하는 것이 정당한가요?
답변
네, 3주택 이상에 해당하면 건물 소유자가 아니어도 중과세율 적용이 정당합니다.
근거
의정부지방법원 2022구합14488 판결은 주택 부속토지 소유자도 '3주택 이상 소유' 기준에 포함되어 6% 단일세율 적용이 타당함을 확인했습니다.
3. 주택과 부속토지의 소유자가 달라도 각각 주택분 재산세를 내야 하나요?
답변
건물과 부속토지의 소유자가 다르면 시가표준액 비율에 따라 각각 주택분 재산세 납세의무가 발생합니다.
근거
의정부지방법원 2022구합14488 판결과 2010두23910 대법원 판례를 인용하며 각 소유자에 안분하여 납세의무가 있다고 확인하였습니다.
4. 타인 소유의 주택 부속토지 소유에 대한 명시적 규정이 없어도 주택 수 산정에 포함될 수 있나요?
답변
예, 법령에 명시적 규정이 없어도 실질적으로 과세대상 주택으로 산정하는 취지입니다.
근거
의정부지방법원 2022구합14488 판결은 관련 법령 및 판례 해석을 통해 명시 규정 부재 시에도 주택 소유 포함을 인정하였습니다.
5. 부속토지 소유 목적이 종중 등 특수목적이어도 종합부동산세 중과세율 예외 인정이 되나요?
답변
아니오, 종중 등 특수한 소유 형태여도 예외적으로 과세를 피할 수 없습니다.
근거
의정부지방법원 2022구합14488 판결은 종중 소유 등도 부동산 투기 위험 및 과세 원칙에서 예외 인정할 수 없음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요지

부속토지의 소유자도 주택분 재산세의 과세대상인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하므로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함

판결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상세내용

사 건

2022구합14488 종합부동산세부과처분취소

원 고

AAAA

피 고

○○○세무서장

변 론 종 결

2023. 8. 8.

판 결 선 고

2023. 10. 10.

주 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청 구 취 지

   피고가 2021. 11. 19. 원고에 대하여 한 종합부동산세 63,679,760원의 부과처분 중 36,531,710원을 초과하는 부분을 취소한다.

이 유

1. 기초사실

   가. 원고는 ○○○시 ●●읍에 있는 세법상 법인으로 보는 단체이고, 2021년 귀속 종합부동산 과세기준일인 2021. 6. 1. 현재 ○○○시 ●●읍 ◇◇리(이하 ⁠‘◇◇리’라고 한다) 274-1 대 302㎡, ◇◇리 151 전 491㎡, ◇◇리 151-2 전 2,153㎡, ◇◇리 168 대 863㎡, ◇◇리 112 전 1,954㎡의 5필지(이하 ⁠‘이 사건 각 토지’라 한다)를 소유하고 있으며, 이 사건 토지 지상에 필지별로 1채씩 총 5채의 건물이 있으나, 이는 모두 원고가 아닌 타인 소유이다.

   나. 피고는 원고가 이 사건 토지를 소유함으로써 주택 5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보아 3주택 이상(조정대상지역 2주택 이상)을 소유한 자에 대한 중과세율 6%를 적용하여 2021. 11. 26. 원고에게 2021년 귀속 종합부동산세 63,679,760원(= 주택분44,694,098원 + 종합합산토지분 8,372,374원 + 농어촌특별세 10,613,290원)을 결정․고지하였다(이하 ⁠‘이 사건 부과처분’이라 한다).

   다. 원고가 이에 불복하여 ⁠‘타인 소유 주택 건물에 대한 부속토지는 주택 수 계산에서 제외되어야 한다’는 이유로 2022. 2. 21. 조세심판원에 심판청구를 하였으나, 조세심판원은 2022. 7. 12. 위 심판청구를 기각하였다.

2. 원고의 주장 요지

   종합부동산세의 세액산출 시 적용할 다주택 소유자에 대한 중과세율과 관련하여 타인 소유의 주택 건물에 대한 부속토지만을 소유한 경우 주택 수 계산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명시적인 규정이 존재하지 않음에도, 부속토지 지상에 존재하는 주택 수로 주택 수를 계산하여 원고에게 중과세율 6%를 적용하여 종합부동산세를 부과한 이사건 부과처분은 조세법률주의에 위배되어 위법하다.

3. 관계 법령

별지 관계 법령 기재와 같다.

4. 판단

   가. 주택분 종합부동산세의 과세대상 및 타인 소유 주택의 부속토지만 소유한 경우주택 수 산정 방법 과세기준일 현재 ⁠‘주택분 재산세’의 납세의무자는 주택분 종합부동산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고[구 종합부동산세법(2022. 9. 15. 법률 제1897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7조 제1항, 제8조 제1항], 종합부동산세의 과세대상이 되는 ⁠‘주택’은 ⁠‘세대의 구성원이 장기간 독립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건축물의 전부 또는 일부 및 그 부속토지‘를 말하는 것으로서(구 종합부동산세법 제2조 제3호 본문, 지방세법 제104조 제3호, 주택법 제2조 제1호), 위 ⁠‘주택’의 건물과 부속토지는 일반적인 토지 및 건축물에 대한 재산세와 구분되는 별도의 재산세인 ⁠‘주택분 재산세’의 과세대상이 되며(구 종합부동산세법 제2조 제5호, 지방세법 제105조, 제107조), 주택분 재산세의 과세대상인 주택의 건물과 부속토지의 소유자가 다를 경우에는 그 주택에 대한 산출세액을 건축물과 그 부속토지의 시가표준액 비율로 안분 계산한 부분에 대하여 각자 납세의무를 부담하도록 되어 있어서(지방세법 제107조 제1항 단서 제2호), 결국 주택의 부속토지만을 보유한 소유자도 주택분 재산세의 납세의무가 있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대법원 2012. 6. 28. 선고 2010두23910 판결 등 참조). 위와 같은 법령 규정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주택분 재산세의 과세대상인 주택의 건물과 부속토지의 소유자가 다를 경우에는 건물 소유자와 부속토지 소유자는 각기 주택분 재산세를 안분하여 납세할 의무를 부담하므로 결국 부속토지 소유자도 주택분 재산세의 과세대상인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1세대 1주택자에 대해 같은 취지의 판례로 대법원 2012. 6. 28. 선고 2010두23910 판결 등 참조).

    한편, 구 종합부동산세법 제8조 제4항이 주택에 대한 종합부동산세의 과세표준을 정함에 있어 1주택(주택의 부속토지만을 소유한 경우를 제외한다)과 다른 주택의 부속토지(주택의 건물과 부속토지의 소유자가 다른 경우의 그 부속토지를 말한다)를 함께소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1세대 1주택자로 본다고 규정한 것 역시 주택의 부속토지만을 소유한 경우도 원칙적으로 주택을 소유한 경우에 해당한다는 전제 아래 1세대의 세대 원들이 1주택과 함께 다른 주택의 부속토지만을 1개 소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그 다른 주택의 부속토지를 주택으로 보지 않음으로써 그 1주택의 소유자를 1세대 1주택자의 범위에 포함한다는 취지이다(위 대법원 2012. 6. 28. 선고 2010두23910 판결 등 참조).

   나. 보유 주택 수에 따른 종합부동산세의 중과세율

   종전 주택에 대한 종합부동산세는 소유 주택 수에 따른 세율의 차등 없이 과세표준 구간별로 적용하던 것을 2018. 12. 31. 법률 제16109호로 개정되면서 제9조 제1항에서 납세의무자가 소유한 주택 수에 따라 세율을 달리 적용하도록 하였고, 2020. 8.18. 법률 제17478호로 개정되면서 제9조 제2항에서 납세의무자가 법인 또는 법인으로 보는 단체의 경우 원칙적으로 2주택 이하를 소유한 경우(조정대상지역 내 2주택을 소유한 경우는 제외)에는 3%의 세율을(제1호), 3주택 이상을 소유하거나 조정대상지역내 2주택을 소유한 경우에는 6%의 단일세율을(제2호) 적용하도록 하였다.

   다. 구체적 판단

   위 각 인정의 기초사실을 위 관련 법령과 법리에 비추어 살피건대, 원고는 주택분재산세 과세대상인 주택의 수에 포함되는 타인 소유의 주택 5채의 부속토지를 각 소유하였으므로, 구 종합부동산세법 제7조에서 정한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납세의무자에 해당되고, 나아가 구 종합부동산세법 제9조 제2항 제2호의 ’3주택 이상을 소유한 경우‘에 해당되어, 위 각 주택 부속토지의 감면 후 공시가격에 공정시장가액 비율을 반영하여 산출한 과세표준에 6%의 중과세율이 적용된다. 그러므로 이와 달리 주택 건물에 대한 부속토지만을 소유한 경우 주택 수 계산에 관한 명시적인 규정이 존재하지 않아 중과세율 6%를 적용하여 종합부동산세를 부과한 이 사건 부과처분이 조세법률주의에 위배된다는 취지의 원고의 주장은 이유 없다.

   이에 대해 원고는 건물의 부속토지만을 소유한 경우 ’부속토지 지상에 존재하는 주택 수‘를 주택 수로 계산하여 중과세율을 적용하는 것은 실수요 목적이 아닌 주택 취득을 이용한 부동산 투기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구 종합부동산세법 제9조의 입법취지에 부합하지 않는 해석이라는 취지로 주장한다.

   그러나 과다한 주택 양도차익을 목적으로 한 부동산 투기의 위험은 주택과 그 부속토지의 거래가 일체로 이루어져 발생하므로 주택건물의 부속토지만을 소유한 경우라 하더라도 과다한 양도차익이나 이에 따른 투기의 위험이 없다고 단정할 수 없는 점, 원고와 같은 종중의 경우 선조의 분묘수호와 제사라는 고유목적에 사용하기 위하여 오래 전부터 토지들을 소유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나, 소유 토지 지상에 존재하는 타인소유 주택들의 거래로 인한 부동산 투기의 위험은 위와 같은 종중이라고 하여 달라진다고 볼 수 없는 점 등에서 원고의 위 주장을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라. 소결

   결국, 원고에 대해 위 각 주택건물 부속토지의 소유를 이유로 중과세율을 적용한이 사건 부과처분에는 어떠한 위법도 없다.

5. 결론

   따라서 원고의 청구는 이유 없어 이를 기각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출처 : 의정부지방법원 2023. 10. 10. 선고 의정부지방법원 2022구합14488 판결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판례 검색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타인 소유 주택 부속토지 소유자의 주택 수 산정과 종합부동산세 중과세율 인정

의정부지방법원 2022구합14488
판결 요약
타인 소유 주택의 부속토지 소유자도 주택분 재산세 과세대상 주택을 소유하는 것으로 보아 종합부동산세 중과세율(6%) 적용이 정당함. 명시규정 부재 또는 실수요 등 사유로도 예외 인정 안됨.
#타인 소유 주택 #부속토지 #주택분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주택 수 산정
질의 응답
1. 타인 소유 주택 부속토지만 소유한 경우 종합부동산세 주택 수에 포함되나요?
답변
주택분 재산세 과세대상인 주택의 부속토지만 소유한 경우에도 해당 토지와 연결된 주택 수만큼 주택 소유로 간주되어 주택 수 산정에 포함됩니다.
근거
의정부지방법원 2022구합14488 판결은 부속토지 소유자도 주택분 재산세 및 종합부동산세 주택 소유자로 본다고 판시하였습니다.
2. 부속토지 소유자에게 종합부동산세 중과세율(6%)을 적용하는 것이 정당한가요?
답변
네, 3주택 이상에 해당하면 건물 소유자가 아니어도 중과세율 적용이 정당합니다.
근거
의정부지방법원 2022구합14488 판결은 주택 부속토지 소유자도 '3주택 이상 소유' 기준에 포함되어 6% 단일세율 적용이 타당함을 확인했습니다.
3. 주택과 부속토지의 소유자가 달라도 각각 주택분 재산세를 내야 하나요?
답변
건물과 부속토지의 소유자가 다르면 시가표준액 비율에 따라 각각 주택분 재산세 납세의무가 발생합니다.
근거
의정부지방법원 2022구합14488 판결과 2010두23910 대법원 판례를 인용하며 각 소유자에 안분하여 납세의무가 있다고 확인하였습니다.
4. 타인 소유의 주택 부속토지 소유에 대한 명시적 규정이 없어도 주택 수 산정에 포함될 수 있나요?
답변
예, 법령에 명시적 규정이 없어도 실질적으로 과세대상 주택으로 산정하는 취지입니다.
근거
의정부지방법원 2022구합14488 판결은 관련 법령 및 판례 해석을 통해 명시 규정 부재 시에도 주택 소유 포함을 인정하였습니다.
5. 부속토지 소유 목적이 종중 등 특수목적이어도 종합부동산세 중과세율 예외 인정이 되나요?
답변
아니오, 종중 등 특수한 소유 형태여도 예외적으로 과세를 피할 수 없습니다.
근거
의정부지방법원 2022구합14488 판결은 종중 소유 등도 부동산 투기 위험 및 과세 원칙에서 예외 인정할 수 없음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요지

부속토지의 소유자도 주택분 재산세의 과세대상인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하므로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함

판결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상세내용

사 건

2022구합14488 종합부동산세부과처분취소

원 고

AAAA

피 고

○○○세무서장

변 론 종 결

2023. 8. 8.

판 결 선 고

2023. 10. 10.

주 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청 구 취 지

   피고가 2021. 11. 19. 원고에 대하여 한 종합부동산세 63,679,760원의 부과처분 중 36,531,710원을 초과하는 부분을 취소한다.

이 유

1. 기초사실

   가. 원고는 ○○○시 ●●읍에 있는 세법상 법인으로 보는 단체이고, 2021년 귀속 종합부동산 과세기준일인 2021. 6. 1. 현재 ○○○시 ●●읍 ◇◇리(이하 ⁠‘◇◇리’라고 한다) 274-1 대 302㎡, ◇◇리 151 전 491㎡, ◇◇리 151-2 전 2,153㎡, ◇◇리 168 대 863㎡, ◇◇리 112 전 1,954㎡의 5필지(이하 ⁠‘이 사건 각 토지’라 한다)를 소유하고 있으며, 이 사건 토지 지상에 필지별로 1채씩 총 5채의 건물이 있으나, 이는 모두 원고가 아닌 타인 소유이다.

   나. 피고는 원고가 이 사건 토지를 소유함으로써 주택 5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보아 3주택 이상(조정대상지역 2주택 이상)을 소유한 자에 대한 중과세율 6%를 적용하여 2021. 11. 26. 원고에게 2021년 귀속 종합부동산세 63,679,760원(= 주택분44,694,098원 + 종합합산토지분 8,372,374원 + 농어촌특별세 10,613,290원)을 결정․고지하였다(이하 ⁠‘이 사건 부과처분’이라 한다).

   다. 원고가 이에 불복하여 ⁠‘타인 소유 주택 건물에 대한 부속토지는 주택 수 계산에서 제외되어야 한다’는 이유로 2022. 2. 21. 조세심판원에 심판청구를 하였으나, 조세심판원은 2022. 7. 12. 위 심판청구를 기각하였다.

2. 원고의 주장 요지

   종합부동산세의 세액산출 시 적용할 다주택 소유자에 대한 중과세율과 관련하여 타인 소유의 주택 건물에 대한 부속토지만을 소유한 경우 주택 수 계산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명시적인 규정이 존재하지 않음에도, 부속토지 지상에 존재하는 주택 수로 주택 수를 계산하여 원고에게 중과세율 6%를 적용하여 종합부동산세를 부과한 이사건 부과처분은 조세법률주의에 위배되어 위법하다.

3. 관계 법령

별지 관계 법령 기재와 같다.

4. 판단

   가. 주택분 종합부동산세의 과세대상 및 타인 소유 주택의 부속토지만 소유한 경우주택 수 산정 방법 과세기준일 현재 ⁠‘주택분 재산세’의 납세의무자는 주택분 종합부동산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고[구 종합부동산세법(2022. 9. 15. 법률 제1897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7조 제1항, 제8조 제1항], 종합부동산세의 과세대상이 되는 ⁠‘주택’은 ⁠‘세대의 구성원이 장기간 독립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건축물의 전부 또는 일부 및 그 부속토지‘를 말하는 것으로서(구 종합부동산세법 제2조 제3호 본문, 지방세법 제104조 제3호, 주택법 제2조 제1호), 위 ⁠‘주택’의 건물과 부속토지는 일반적인 토지 및 건축물에 대한 재산세와 구분되는 별도의 재산세인 ⁠‘주택분 재산세’의 과세대상이 되며(구 종합부동산세법 제2조 제5호, 지방세법 제105조, 제107조), 주택분 재산세의 과세대상인 주택의 건물과 부속토지의 소유자가 다를 경우에는 그 주택에 대한 산출세액을 건축물과 그 부속토지의 시가표준액 비율로 안분 계산한 부분에 대하여 각자 납세의무를 부담하도록 되어 있어서(지방세법 제107조 제1항 단서 제2호), 결국 주택의 부속토지만을 보유한 소유자도 주택분 재산세의 납세의무가 있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대법원 2012. 6. 28. 선고 2010두23910 판결 등 참조). 위와 같은 법령 규정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주택분 재산세의 과세대상인 주택의 건물과 부속토지의 소유자가 다를 경우에는 건물 소유자와 부속토지 소유자는 각기 주택분 재산세를 안분하여 납세할 의무를 부담하므로 결국 부속토지 소유자도 주택분 재산세의 과세대상인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1세대 1주택자에 대해 같은 취지의 판례로 대법원 2012. 6. 28. 선고 2010두23910 판결 등 참조).

    한편, 구 종합부동산세법 제8조 제4항이 주택에 대한 종합부동산세의 과세표준을 정함에 있어 1주택(주택의 부속토지만을 소유한 경우를 제외한다)과 다른 주택의 부속토지(주택의 건물과 부속토지의 소유자가 다른 경우의 그 부속토지를 말한다)를 함께소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1세대 1주택자로 본다고 규정한 것 역시 주택의 부속토지만을 소유한 경우도 원칙적으로 주택을 소유한 경우에 해당한다는 전제 아래 1세대의 세대 원들이 1주택과 함께 다른 주택의 부속토지만을 1개 소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그 다른 주택의 부속토지를 주택으로 보지 않음으로써 그 1주택의 소유자를 1세대 1주택자의 범위에 포함한다는 취지이다(위 대법원 2012. 6. 28. 선고 2010두23910 판결 등 참조).

   나. 보유 주택 수에 따른 종합부동산세의 중과세율

   종전 주택에 대한 종합부동산세는 소유 주택 수에 따른 세율의 차등 없이 과세표준 구간별로 적용하던 것을 2018. 12. 31. 법률 제16109호로 개정되면서 제9조 제1항에서 납세의무자가 소유한 주택 수에 따라 세율을 달리 적용하도록 하였고, 2020. 8.18. 법률 제17478호로 개정되면서 제9조 제2항에서 납세의무자가 법인 또는 법인으로 보는 단체의 경우 원칙적으로 2주택 이하를 소유한 경우(조정대상지역 내 2주택을 소유한 경우는 제외)에는 3%의 세율을(제1호), 3주택 이상을 소유하거나 조정대상지역내 2주택을 소유한 경우에는 6%의 단일세율을(제2호) 적용하도록 하였다.

   다. 구체적 판단

   위 각 인정의 기초사실을 위 관련 법령과 법리에 비추어 살피건대, 원고는 주택분재산세 과세대상인 주택의 수에 포함되는 타인 소유의 주택 5채의 부속토지를 각 소유하였으므로, 구 종합부동산세법 제7조에서 정한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납세의무자에 해당되고, 나아가 구 종합부동산세법 제9조 제2항 제2호의 ’3주택 이상을 소유한 경우‘에 해당되어, 위 각 주택 부속토지의 감면 후 공시가격에 공정시장가액 비율을 반영하여 산출한 과세표준에 6%의 중과세율이 적용된다. 그러므로 이와 달리 주택 건물에 대한 부속토지만을 소유한 경우 주택 수 계산에 관한 명시적인 규정이 존재하지 않아 중과세율 6%를 적용하여 종합부동산세를 부과한 이 사건 부과처분이 조세법률주의에 위배된다는 취지의 원고의 주장은 이유 없다.

   이에 대해 원고는 건물의 부속토지만을 소유한 경우 ’부속토지 지상에 존재하는 주택 수‘를 주택 수로 계산하여 중과세율을 적용하는 것은 실수요 목적이 아닌 주택 취득을 이용한 부동산 투기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구 종합부동산세법 제9조의 입법취지에 부합하지 않는 해석이라는 취지로 주장한다.

   그러나 과다한 주택 양도차익을 목적으로 한 부동산 투기의 위험은 주택과 그 부속토지의 거래가 일체로 이루어져 발생하므로 주택건물의 부속토지만을 소유한 경우라 하더라도 과다한 양도차익이나 이에 따른 투기의 위험이 없다고 단정할 수 없는 점, 원고와 같은 종중의 경우 선조의 분묘수호와 제사라는 고유목적에 사용하기 위하여 오래 전부터 토지들을 소유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나, 소유 토지 지상에 존재하는 타인소유 주택들의 거래로 인한 부동산 투기의 위험은 위와 같은 종중이라고 하여 달라진다고 볼 수 없는 점 등에서 원고의 위 주장을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라. 소결

   결국, 원고에 대해 위 각 주택건물 부속토지의 소유를 이유로 중과세율을 적용한이 사건 부과처분에는 어떠한 위법도 없다.

5. 결론

   따라서 원고의 청구는 이유 없어 이를 기각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출처 : 의정부지방법원 2023. 10. 10. 선고 의정부지방법원 2022구합14488 판결 | 국세법령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