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적 보험계약에서 보험자대위·채권양도 준거법 판단기준
2022다243550
요약
외국적 요소가 있는 보험계약에서 보험자대위는 보험계약의 준거법에 따르고, 채권양도는 양도계약의 준거법을 적용해야 하며,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습니다.
#국제보험
#보험자대위
#채권양도
수탁보증인의 변제기 전 변제와 구상권 행사 가능 범위
2024다252305
요약
수탁보증인은 변제기 이전에도 주채무를 변제할 수 있지만, 변제기 도래 전에는 주채무자에 대해 구상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수탁보증인
#변제기 전 변제
#구상권
연대보증인 구상금 산정 기준 및 부담부분 계산방법 대법원 판결
2024다232066
요약
수인의 연대보증인 상호 간 구상관계에서 부담부분 산정은 변제 당시 주채무 총액(원금+이자)에 각 분담비율을 곱하여 확정해야 하고, 이미 자기 부담부분을 변제한 보증인에겐 구상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연대보증인
#구상금
#부담부분
독점적 통상실시권 침해 손해배상 청구 및 산정 기준 판단
2023다280358
요약
특허권.디자인권.상표권 등 지식재산권의 통상.전용실시권에 대한 침해 손해배상에서 ‘독점적 통상실시권’은 반드시 어떤 권리에 근거한 것인지 구체적 심리가 필요함을 판시했습니다.
#독점적 통상실시권
#전용실시권
#상표 전용사용권
가압류 청구금액에 원금만 기재 시 부대채권 시효중단 불인정
2024다233212
요약
가압류 신청서에 채권의 원금만 청구금액으로 기재한 경우, 그 이자나 지연손해금 등 부대채권에는 시효중단의 효력이 미치지 않음을 대법원이 명확히 판시하였습니다.
#가압류
#청구금액
#원금만 기재
외국기업 국내법인 근로자 수 산정 기준 및 근로기준법 적용범위
2023두37391
요약
외국기업이 국내에 법인을 설립해 사업을 하는 경우, 근로기준법상 ‘상시 5명 이상’ 여부는 국내에서 실제 사용하는 근로자 수만으로 판단해야 하며, 외국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를 포함하면 안 된다는 원칙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외국기업
#국내법인
#상시근로자
이혼 위자료 산정 시 혼인파탄 이후 사정 고려 범위와 기준
2024므11526
요약
이혼 위자료 산정 시 혼인관계의 파탄 이후 최종 이혼까지의 모든 사정을 법원이 직권으로 종합 고려해야 합니다.
#이혼
#위자료
#위자료 산정
전기통신금융사기와 '재화·용역 가장' 행위의 구분 기준
2024도6831
요약
구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방지 및 피해금 환급에 관한 특별법에서 ‘재화의 공급 또는 용역의 제공 등을 가장한 행위’는 실제 대가관계가 있을 때만 전기통신금융사기에서 제외됩니다.
#전기통신금융사기
#보이스피싱
#재화 공급 가장
풍황계측기 설치 위한 공유수면 허가 거부, 사업 사유로 가능한가
2024두41106
요약
풍황계측기 설치 목적 공유수면 점용.사용허가는 원칙적으로 해당 설치 자체의 환경영향 등만 심사해야 하고, 풍력발전사업과 직접 관련 없는 사유로는 불허할 수 없음을 명확히 함.
#공유수면 점용허가
#풍황계측기 설치
#풍력발전사업
법인격 별개인 외국계 기업 영업소와 국내법인, 근로기준법상 하나의 사업장으로 볼 수 있나
2023두57876
요약
법인격이 다른 외국법인 영업소와 국내법인이라도 실질적 경영상 일체성.노무관리 통합 등 특별한 사정이 인정되면 근로기준법상 하나의 사업 또는 사업장으로 보아 상시 근로자 수를 합산합니다.
#근로기준법
#하나의 사업장
#사업 또는 사업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