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업승계 증여세 특례 적용 시 대표이사 승계 요건 해석
재산세제과-1084
요약
가업승계 증여세 특례 요건 충족 후 대표이사직이 피상속인에게 승계되었다가 다시 상속인에게 승계되어 상속개시일까지 재직하는 경우, 대표이사 재직기간 요건을 충족한 것으로 판단되어 가업상속 공제대상에 해당할 수 있음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가업승계
#증여세 특례
#대표이사 재직기간
가업승계 증여세 특례 후 수증자 선사망 시 상속세 가산 여부
서면-2022-법규재산-4436[법규과-2400]
요약
가업승계에 대한 증여세 특례를 적용받은 수증자가 증여자보다 먼저 사망한 경우에는 상속세 과세가액 산정 시 해당 가업승계 주식의 가액은 상속재산에 가산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가업승계
#증여세 특례
#상속세 합산
모회사가 자회사 직원에게 주식 지급 시 자회사의 보전액 손금 산입 가능 여부
서면-2022-법규법인-4414[법규과-2386]
요약
본 유권해석에서는 모회사가 자회사 직원에게 지급한 주식의 시가 상당액을 자회사가 보전한 경우, 자회사가 지급한 보전금액은 인건비 등 손금으로 산입 가능하다고 안내합니다.
#모회사
#자회사
#주식 지급
가업상속공제 2차 상속시 적용 불가 및 단기재상속공제 세부
사전-2023-법규재산-0172[법규과-2373]
요약
부가 단독으로 운영하던 가업을 부모가 상속받은 후, 10년 내에 모가 사망하여 자가 다시 상속받는 경우에는 가업상속공제가 적용되지 않음이 명확히 안내되었습니다.
#가업상속공제
#단기재상속공제
#상속세
기부금·퇴직연금 세액공제 적용순위와 이월공제 방식
원천세과-830
요약
소득세의 감면규정과 세액공제 규정이 동시에 적용될 때 이월공제가 인정되지 않는 세액공제 후에 이월공제가 인정되는 세액공제(기부금 등)를 적용해야 하며, 이 순서는 법령에서 정해져 있습니다.
#기부금 세액공제
#퇴직연금 세액공제
#연말정산
물류단지 조성 관련 임대손실 배상금의 부가가치세 과세 여부
사전-2023-법규부가-0476[법규과-2372]
요약
물류단지 조성으로 부동산임대에 사용하던 토지.건물이 도로로 편입되어 임대를 하지 못하게 된 경우, 이로 인해 지급받은 손실배상금은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 없이 지급된 것이므로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됩니다.
#임대손실
#배상금
#부가가치세
기금 출연금 손금산입 시기: 부과제척기간 만료 후 처리
법인세제과-482
요약
금융기관이 기금에 출연한 금액을 손금불산입으로 세무조정하지 않고 법인세를 신고하였으며, 해당 과세기간의 부과제척기간이 만료된 경우에는 출연금 상당액을 기금 운용기간 종료와 잔여재산 분배 시점에 손금산입할 수 있음을 안내하는 유권해석입니다.
#기금 출연금
#손금산입
#부과제척기간
공동사업 자산·부채 현물출자 시 적격현물출자 판단 주체
서면-2022-법규법인-4036[법규과-2363]
요약
두 내국법인이 공동사업(개인사업자) 형태로 영위하던 사업에서 발생한 자산 및 부채를 현물출자할 경우, 적격현물출자 요건의 판단 주체는 '공동사업장'이 아니라 각 공동사업자인 내국법인으로 보아야 한다고 국세청은 해석하였습니다.
#공동사업
#현물출자
#적격현물출자
비자발적 퇴직 임직원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차액 손금산입 가능 여부
법인세제과-484
요약
상장내국법인에서 2년을 채우지 못하고 비자발적 사유로 퇴직한 임직원이 행사한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차액은, 법인세법 시행령 제19조에 따라 손금산입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장내국법인
#주식매수선택권
#스톡옵션
퇴직소득세 정산 시 근속연수 경정 불가 요건
서면-2023-원천-0239[원천세과-811]
요약
퇴직소득세액 정산을 위한 근속연수 계산은 「소득세법 시행령」 제203조 제2항을 적용해야 하며, 이미 지급된 퇴직소득이 국세부과 제척기간이 지난 경우에는 해당 근속연수의 경정 역시 불가함이 명시되었습니다.
#퇴직소득세
#근속연수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