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동일세대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 양도시 1세대1주택 특례·중과배제 적용
서면-2021-법규재산-0843[법규과-2325]
요약
동일세대원에게 상속받은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을 보유한 1세대가 일반주택을 양도할 때,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2항 단서에 해당하지 않으면 1세대 1주택 특례(비과세)는 적용받기 어렵고,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 양도 시 중과세율은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동일세대 상속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  
은행 연계대출판매대행용역 부가가치세 면제 가능 여부
사전-2023-법규부가-0390
요약
「은행법」에 따른 은행업을 영위하는 은행 간에 연계대출 업무 위.수탁 계약을 체결하여 연계대출판매대행용역을 제공하고 위탁수수료를 지급하는 경우, 본질적 금융업무를 제외한다면 해당 용역은 ‘수익증권 등 금융업자의 금융상품 판매대행용역’으로 간주되어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연계대출판매대행   #은행   #부가가치세 면제  
주류 운반차량 장기 주차 후 재운송행위의 허용 여부
서면-2023-소비-2775[소비세과-626]
요약
국세청에 따르면 면허받은 장소 이외의 장소에서 주류를 판매하는 행위는 무면허 주류 판매에 해당하며, 주류 운반용 차량은 면허장소 또는 승인 받은 하치장만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종합주류도매업   #주류운반용차량   #주류면허장소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 권리 취득 시 1세대1주택 특례 적용
서면-2022-법규재산-2768[법규과-2322]
요약
공동상속주택의 소수지분권자가 다른 공동상속인의 지분을 상속과 다른 원인(매매, 경매 등)으로 취득해 단독 소유권자가 된 경우에도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2항에 따른 1세대1주택 특례가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습니다.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   #1세대1주택  
카드사와 제휴한 골프클럽 서비스의 부가가치세 공급가액 포함 여부
서면-2023-법규부가-2715[법규과-2319]
요약
사업자가 카드사와 제휴를 맺고 카드사 회원 대상으로 스윙분석 및 골프클럽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비용을 전액 카드사로부터 지급받는 경우 이 금액은 부가가치세 공급가액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카드사 제휴   #골프클럽 서비스   #부가가치세  
2개국 국외사업장 외국납부세액공제 한도 계산 방법
국제조세제도과-479
요약
국외사업장이 2개 이상의 국가에 있는 경우, 외국납부세액 공제한도액 계산 방법으로는 법인세법 기본통칙 57-94…1을 따르는 것이 법인세법 시행령 제94조 제7항에 부합한다고 판단됩니다.
#외국납부세액공제   #국외사업장   #2개국 이상  
연금계좌 부득이한 인출 한도와 200만원 기준 적용
서면-2023-원천-2254[원천세과-780]
요약
연금계좌에서 부양가족의 3개월 이상 요양 등 ‘부득이한 사유’로 인출하는 경우, 해당 인출 금액은 소득세법 시행규칙 제11조의2 제1항 각 호의 합계액 이내로 제한되며, 200만원 한도는 인출횟수에 상관없이 6개월 이내 전체 금액으로 판단됩니다.
#연금계좌 인출   #부득이한 사유   #200만원 한도  
공익법인 외부회계감사 출연재산 산정 시 보조금 포함여부
서면-2022-법인-4430[공익중소법인지원팀-827]
요약
공익법인의 외부회계감사의무 대상 판단 시 해당 사업연도에 출연받은 재산가액에는 국고보조금과 지방자치단체 보조금이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공익법인   #외부회계감사   #출연받은 재산가액  
사업 포괄양수도 법인전환 시 상시근로자수 계산 기준
조세정책과-1837[법규과-2374]
요약
개인사업자가 사업의 포괄양수도를 통해 법인전환을 하면서 기존 상시근로자를 승계했다면, 상시근로자 수 산정에 조세특례제한령 제23조 제13항 제3호가 적용된다는 기획재정부의 유권해석이 제시되었습니다.
#사업포괄양수도   #법인전환   #상시근로자  
상시근로자 임금증가금액 산정 시 직전 퇴직자 포함 여부
법인세제과-488
요약
내국법인이 ‘상시근로자의 해당 사업연도 임금증가금액’을 산정할 때, 직전 사업연도에 퇴직한 근로자는 직전 상시근로자 수에 포함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기획재정부는 유권해석하였습니다.
#상시근로자   #임금증가금액   #퇴직자 포함  
  • 알법로고
  • 로그인
동일세대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 양도시 1세대1주택 특례·중과배제 적용
서면-2021-법규재산-0843[법규과-2325]
요약
동일세대원에게 상속받은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을 보유한 1세대가 일반주택을 양도할 때,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2항 단서에 해당하지 않으면 1세대 1주택 특례(비과세)는 적용받기 어렵고,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 양도 시 중과세율은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동일세대 상속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  
은행 연계대출판매대행용역 부가가치세 면제 가능 여부
사전-2023-법규부가-0390
요약
「은행법」에 따른 은행업을 영위하는 은행 간에 연계대출 업무 위.수탁 계약을 체결하여 연계대출판매대행용역을 제공하고 위탁수수료를 지급하는 경우, 본질적 금융업무를 제외한다면 해당 용역은 ‘수익증권 등 금융업자의 금융상품 판매대행용역’으로 간주되어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연계대출판매대행   #은행   #부가가치세 면제  
주류 운반차량 장기 주차 후 재운송행위의 허용 여부
서면-2023-소비-2775[소비세과-626]
요약
국세청에 따르면 면허받은 장소 이외의 장소에서 주류를 판매하는 행위는 무면허 주류 판매에 해당하며, 주류 운반용 차량은 면허장소 또는 승인 받은 하치장만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종합주류도매업   #주류운반용차량   #주류면허장소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 권리 취득 시 1세대1주택 특례 적용
서면-2022-법규재산-2768[법규과-2322]
요약
공동상속주택의 소수지분권자가 다른 공동상속인의 지분을 상속과 다른 원인(매매, 경매 등)으로 취득해 단독 소유권자가 된 경우에도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2항에 따른 1세대1주택 특례가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습니다.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   #1세대1주택  
카드사와 제휴한 골프클럽 서비스의 부가가치세 공급가액 포함 여부
서면-2023-법규부가-2715[법규과-2319]
요약
사업자가 카드사와 제휴를 맺고 카드사 회원 대상으로 스윙분석 및 골프클럽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비용을 전액 카드사로부터 지급받는 경우 이 금액은 부가가치세 공급가액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카드사 제휴   #골프클럽 서비스   #부가가치세  
2개국 국외사업장 외국납부세액공제 한도 계산 방법
국제조세제도과-479
요약
국외사업장이 2개 이상의 국가에 있는 경우, 외국납부세액 공제한도액 계산 방법으로는 법인세법 기본통칙 57-94…1을 따르는 것이 법인세법 시행령 제94조 제7항에 부합한다고 판단됩니다.
#외국납부세액공제   #국외사업장   #2개국 이상  
연금계좌 부득이한 인출 한도와 200만원 기준 적용
서면-2023-원천-2254[원천세과-780]
요약
연금계좌에서 부양가족의 3개월 이상 요양 등 ‘부득이한 사유’로 인출하는 경우, 해당 인출 금액은 소득세법 시행규칙 제11조의2 제1항 각 호의 합계액 이내로 제한되며, 200만원 한도는 인출횟수에 상관없이 6개월 이내 전체 금액으로 판단됩니다.
#연금계좌 인출   #부득이한 사유   #200만원 한도  
공익법인 외부회계감사 출연재산 산정 시 보조금 포함여부
서면-2022-법인-4430[공익중소법인지원팀-827]
요약
공익법인의 외부회계감사의무 대상 판단 시 해당 사업연도에 출연받은 재산가액에는 국고보조금과 지방자치단체 보조금이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공익법인   #외부회계감사   #출연받은 재산가액  
사업 포괄양수도 법인전환 시 상시근로자수 계산 기준
조세정책과-1837[법규과-2374]
요약
개인사업자가 사업의 포괄양수도를 통해 법인전환을 하면서 기존 상시근로자를 승계했다면, 상시근로자 수 산정에 조세특례제한령 제23조 제13항 제3호가 적용된다는 기획재정부의 유권해석이 제시되었습니다.
#사업포괄양수도   #법인전환   #상시근로자  
상시근로자 임금증가금액 산정 시 직전 퇴직자 포함 여부
법인세제과-488
요약
내국법인이 ‘상시근로자의 해당 사업연도 임금증가금액’을 산정할 때, 직전 사업연도에 퇴직한 근로자는 직전 상시근로자 수에 포함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기획재정부는 유권해석하였습니다.
#상시근로자   #임금증가금액   #퇴직자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