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고용증대세액공제 사후관리 추가납부 한도 해석
서면-2022-법규법인-3938[법규과-2278]
요약
'18년 고용증대세액공제를 처음 적용받은 중소기업이 ’20년에는 상시근로자 감소로 사후관리 1년 유예를 적용받았고, ’21년에 감소폭이 확대된 경우에도 ’20년에 추가납부 세액을 한도로 ’21년 추가납부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고용증대세액공제   #사후관리   #추가납부세액  
고용증대세액공제 청년근로자 최초 적용 시 청년외 근로자로 세액공제 전환 가능성
서면-2022-법규법인-3379[법규과-2269]
요약
최초 고용증대세액공제 적용 시, 청년으로 신규 채용된 근로자를 이후 청년이외 상시근로자로 선택해 세액공제를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의에 대해, 청년외 상시근로자로 선택 적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는 회신입니다.
#고용증대세액공제   #청년근로자   #청년외상시근로자  
고용증대세액공제 청년외 최초공제 후 인원감소 추가납부 계산
서면-2022-법규법인-0108[법규과-2271]
요약
고용증대세액공제에서 청년외 최초공제만을 적용받은 후, 청년 및 청년외 상시근로자수가 모두 감소한 경우에는 감소한 전체 인원을 청년외로 보아 추가납부세액을 계산해야 함이 기획재정부 회신을 근거로 확인되었습니다.
#고용증대세액공제   #청년외   #추가납부세액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 양도 시 다주택 중과세율 적용 제외
재산세제과-1035
요약
동일세대 세대원이 상속받은 공동상속주택의 소수지분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소득세법 시행령 제167조의10에 따라 다주택자 중과세율이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   #상속주택 중과  
비상임이사 수당의 소득세 분류 기준
소득세제과-790
요약
기획재정부 유권해석에 따르면 비상임이사에게 지급하는 수당은 근로소득에 해당한다고 보았습니다.
#비상임이사   #수당   #근로소득  
청년 고용증대세액공제 적용 후 청년 감소 시 추가공제 산정
서면-2022-법규법인-4716[법규과-2273]
요약
고용증대세액공제에서 청년 최초공제를 적용받은 후 과세연도에 전체 상시근로자 수가 증가하거나 변동이 없지만 청년 근로자는 감소한 경우에는 청년을 청년 외로 간주하여 청년 외 상시근로자 추가공제를 적용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고용증대세액공제   #청년근로자   #상시근로자  
가업상속공제 받은 상속인간 주식 양도 시 사후관리 추징 적용
서면-2022-법규재산-1704[법규과-2246]
요약
가업상속공제를 공동으로 받은 상속인이 5년 이내에 또 다른 공동상속인에게 가업상속법인 주식 등을 양도하여 지분이 감소한 경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18조의2 제5항에 따라 상속세가 추징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합니다.
#가업상속공제   #공동상속인   #상속세 추징  
지역주택조합 가입·사업계획승인 시 일시적 2주택 특례 적용
재산세제과-1037
요약
2021년 1월 1일 이전에 지역주택조합에 가입하고 2021년 1월 1일 이후에 사업계획승인을 받은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일시적 2주택 특례를 적용받을 수 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지역주택조합   #일시적 2주택   #비과세  
해산의제 및 청산의제사업연도 잔여재산분배 시 소득공제 적용
사전-2023-법규법인-0381[법규과-2241]
요약
유동화전문회사 등이 해산의제사업연도와 청산의제사업연도에 발생한 모든 소득을 잔여재산분배 방식으로 출자자에게 전액 분배하는 경우, 해당 의제사업연도에 발생한 소득금액을 배당한 것으로 간주하여 법인세법 제51조의2에 따른 소득공제를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유동화전문회사   #청산   #해산의제사업연도  
재개발 무허가주택 청산금 중과세율 적용 여부
서면-2022-법규재산-4782[법규과-2243]
요약
2개의 무허가주택을 재개발로 1개의 조합원입주권과 청산금으로 전환받고, 장기임대주택을 추가로 소유한 경우, 해당 청산금에 소득세법 제104조 제7항 제1호에 따른 중과세율은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재개발   #무허가주택   #조합원입주권  
  • 알법로고
  • 로그인
고용증대세액공제 사후관리 추가납부 한도 해석
서면-2022-법규법인-3938[법규과-2278]
요약
'18년 고용증대세액공제를 처음 적용받은 중소기업이 ’20년에는 상시근로자 감소로 사후관리 1년 유예를 적용받았고, ’21년에 감소폭이 확대된 경우에도 ’20년에 추가납부 세액을 한도로 ’21년 추가납부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고용증대세액공제   #사후관리   #추가납부세액  
고용증대세액공제 청년근로자 최초 적용 시 청년외 근로자로 세액공제 전환 가능성
서면-2022-법규법인-3379[법규과-2269]
요약
최초 고용증대세액공제 적용 시, 청년으로 신규 채용된 근로자를 이후 청년이외 상시근로자로 선택해 세액공제를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의에 대해, 청년외 상시근로자로 선택 적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는 회신입니다.
#고용증대세액공제   #청년근로자   #청년외상시근로자  
고용증대세액공제 청년외 최초공제 후 인원감소 추가납부 계산
서면-2022-법규법인-0108[법규과-2271]
요약
고용증대세액공제에서 청년외 최초공제만을 적용받은 후, 청년 및 청년외 상시근로자수가 모두 감소한 경우에는 감소한 전체 인원을 청년외로 보아 추가납부세액을 계산해야 함이 기획재정부 회신을 근거로 확인되었습니다.
#고용증대세액공제   #청년외   #추가납부세액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 양도 시 다주택 중과세율 적용 제외
재산세제과-1035
요약
동일세대 세대원이 상속받은 공동상속주택의 소수지분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소득세법 시행령 제167조의10에 따라 다주택자 중과세율이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   #상속주택 중과  
비상임이사 수당의 소득세 분류 기준
소득세제과-790
요약
기획재정부 유권해석에 따르면 비상임이사에게 지급하는 수당은 근로소득에 해당한다고 보았습니다.
#비상임이사   #수당   #근로소득  
청년 고용증대세액공제 적용 후 청년 감소 시 추가공제 산정
서면-2022-법규법인-4716[법규과-2273]
요약
고용증대세액공제에서 청년 최초공제를 적용받은 후 과세연도에 전체 상시근로자 수가 증가하거나 변동이 없지만 청년 근로자는 감소한 경우에는 청년을 청년 외로 간주하여 청년 외 상시근로자 추가공제를 적용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고용증대세액공제   #청년근로자   #상시근로자  
가업상속공제 받은 상속인간 주식 양도 시 사후관리 추징 적용
서면-2022-법규재산-1704[법규과-2246]
요약
가업상속공제를 공동으로 받은 상속인이 5년 이내에 또 다른 공동상속인에게 가업상속법인 주식 등을 양도하여 지분이 감소한 경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18조의2 제5항에 따라 상속세가 추징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합니다.
#가업상속공제   #공동상속인   #상속세 추징  
지역주택조합 가입·사업계획승인 시 일시적 2주택 특례 적용
재산세제과-1037
요약
2021년 1월 1일 이전에 지역주택조합에 가입하고 2021년 1월 1일 이후에 사업계획승인을 받은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일시적 2주택 특례를 적용받을 수 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지역주택조합   #일시적 2주택   #비과세  
해산의제 및 청산의제사업연도 잔여재산분배 시 소득공제 적용
사전-2023-법규법인-0381[법규과-2241]
요약
유동화전문회사 등이 해산의제사업연도와 청산의제사업연도에 발생한 모든 소득을 잔여재산분배 방식으로 출자자에게 전액 분배하는 경우, 해당 의제사업연도에 발생한 소득금액을 배당한 것으로 간주하여 법인세법 제51조의2에 따른 소득공제를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유동화전문회사   #청산   #해산의제사업연도  
재개발 무허가주택 청산금 중과세율 적용 여부
서면-2022-법규재산-4782[법규과-2243]
요약
2개의 무허가주택을 재개발로 1개의 조합원입주권과 청산금으로 전환받고, 장기임대주택을 추가로 소유한 경우, 해당 청산금에 소득세법 제104조 제7항 제1호에 따른 중과세율은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재개발   #무허가주택   #조합원입주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