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비용 회계보고·증빙서류 허위기재 일죄 판단 기준
2016도21713
요약
여러 선거비용 항목을 하나의 회계보고서나 보전청구서에 허위로 기재해도 각각 하나의 죄(일죄)로 평가되며, 증빙서류 허위작성은 별도의 범죄로 흡수되지 않음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선거비용 회계보고서
#허위기재
#사기죄
무고죄 성립 요건과 판례 변경 후 영향
2015도15398
요약
무고죄는 허위 사실이 신고 당시 형사범죄에 해당해야 하고, 신고 시점에 형사범죄였다면 이후 판례 변경에도 무고죄 성립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무고죄
#허위신고
#형사범죄 성립요건
명의신탁 재산 증여의제 적용시 증명책임은 누구에게 있나요?
2017두31460
요약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명의신탁 재산 증여의제 규정 적용을 위해서는 당사자간 명의신탁 합의가 있었고, 명의자와 실제소유자가 다름을 과세관청이 입증해야 합니다.
#명의신탁
#증여세
#입증책임
국가유공자 상이등급(7급 8122호) 퇴행성 변화 인정 기준 해석
2017두37284
요약
국가유공자 상이등급 7급 8122호 중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연골판 손상에 의한 외상 후 변화가 퇴행성이 명백히 나타나는 경우'란, 퇴행성 변화로 인한 경도의 기능장애가 존재해 관절 운동제한.불안정성과 동일한 수준임이 필요하다고 판시하였습니다.
#국가유공자
#상이등급
#7급 8122호
숙박업 중복신고 여부 및 실질적 분리요건 판단
2017두34087
요약
숙박업자가 법령상 시설과 설비 기준을 갖춰 신고하면 행정청은 원칙적으로 신고를 수리해야 하며, 기존에 동일한 시설에 대해 타인 명의 신고가 존재해도 별도 사용권 취득.요건 구비 시 특별한 사정 없이는 거부할 수 없습니다.
#숙박업신고
#중복신고
#숙박시설분리
회사 회식 후 주취 사고 업무상 재해 인정 기준은?
2016두54589
요약
회식 중 발생한 사고가 사용자의 지배.관리 상태에서, 주취 상태가 직접적 원인임이 인정된다면 업무상 재해로 볼 수 있습니다.
#회식 사고
#음주 업무상 재해
#사용자 지배관리
입찰담합 과징금 산정기준 ‘계약금액’ 해석 및 실제 적용 기준
2015두48884
요약
입찰담합의 과징금 산정기준이 되는 ‘계약금액’은 입찰 시 제출 견적가격에 예상공급물량을 곱해 산출한 잠정적 금액이 아니라, 실제로 체결된 계약금액을 의미합니다.
#입찰담합
#과징금 산정
#계약금액
청구 변경이 소송 지연 시 법원이 변경 허용을 거부할 수 있는지
2017다211146
요약
민사소송에서 청구 변경이 소송 절차를 현저히 지연시키고 기존 소송자료를 대부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법원은 이를 허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청구변경
#소송지연
#민사소송
공동저당·임차보증금 공제 후 책임재산 산정 기준
2017다205073
요약
채무자가 공동저당권이 설정된 부동산을 매도한 경우, 각 지분이 부담하는 피담보채권액은 소유 지분 비율로 산정해야 하며, 우선변제권이 있는 임차보증금은 전액 공제한 후 나머지만 일반채권자의 책임재산이 됩니다.
#공동저당권
#임차보증금
#우선변제권
약정 지연손해금 비율 감액 가능 기준 및 판단 시기
2016다275402
요약
금전채무 약정 지연손해금 비율은 손해배상액의 예정으로서 과다하면 감액 대상입니다.
#지연손해금
#금전채무
#손해배상액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