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난동 제압 중 사망 발생시 폭행치사죄 성립 여부와 무죄 판단
2016고합624
요약
만취 난동자의 폭행을 제지하는 과정에서 사망이 발생하였으나, 동기.상황의 상당성 및 예견가능성 부재를 이유로 피고인들에게 폭행의 고의 및 책임이 인정되지 않아 무죄로 판단하였습니다.
#폭행치사   #술자리 난동   #만취자 제압  
수사 영상녹화물 정보공개 청구 시 등사(복제) 허용 기준
2016누41844
요약
검찰 조사 영상녹화물은 원칙적으로 정보공개법상 비공개대상정보에 해당하지 않으며, 청구인이 등사(복제물 제공) 방식의 공개를 지정한 경우 정보의 성질상 곤란함이나 업무 지장 등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등사도 허용해야 함을 판시함.
#검찰 조사 녹화물   #영상녹화 정보공개   #CD 등사 청구  
외국 카지노 도박의 위법성 및 회사 대표 자금 인출의 횡령 성립 기준
2017도953
요약
외국 카지노에서 도박했다는 사정만으로 도박죄의 위법성이 조각되지 않으며, 대표이사 등이 회사 자금을 이사회 결의 등 절차 없이 개인 용도로 인출하면 횡령죄가 인정됩니다.
#상습도박   #외국 카지노   #도박죄  
선거구 효력 상실 상태서 기부행위 공직선거법 적용 여부 판단
2016도20518
요약
헌재 결정으로 기존 국회의원지역구가 효력을 상실한 상태(2016.2.29.)에서 기부행위가 있었다면, 공직선거법상 기부행위로 처벌할 수 없음을 판시하였습니다.
#공직선거법위반   #기부행위   #국회의원지역구  
모욕죄 성립 요건과 외부적 명예 침해 여부의 판단 기준
2016도15264
요약
모욕죄는 사실 적시 없이 타인의 사회적 평가를 저하하는 경멸적 표현만으로도 성립하며, 현실적 명예 침해나 구체적 위험 발생이 없어도 허용됩니다.
#모욕죄   #외부적 명예   #경멸적 표현  
업무방해죄 허위사실 유포의 판단 기준과 적용 사례
2016도19159
요약
업무방해죄의 ‘허위사실 유포’란 객관적으로 진실과 부합하지 않는 사실의 유포를 의미하고, 단순 의견.가치판단 표시는 제외됩니다.
#업무방해죄   #허위사실 유포   #의견과 사실 구별  
식품운반업 신고 예외 범위와 음식점·매수인 운반의 구별
2015도6357
요약
식품위생법 시행령 제21조 제4호 단서의 '영업소에서 판매할 목적으로 운반'은 영업자가 부패.변질되기 쉬운 식품을 자신의 영업소로 운반하는 경우만 해당합니다.
#식품운반업   #식품위생법   #신고 예외  
옥외 시위 판단 기준과 제한적 인정 사례
2015도7419
요약
다수인이 자정 이후 시청 앞 도로에 머문 행위가 ‘시위’에 해당하는지 쟁점이 된 사안에서, 단순히 현장에 머물렀다는 사정만으로는 시위로 볼 수 없다고 판시하였습니다.
#옥외시위   #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   #자정이후머무름  
양벌규정 적용시 공소사실 특정 필수 여부와 법인 책임 인정 기준
2016도12551
요약
법인 양벌규정으로 공소를 제기할 때 종업원 위반행위의 방지책임(귀책사유)에 관한 내용을 반드시 구체적으로 특정 기재할 필요는 없으며, 법인 등 피고인이 상당한 주의와 감독을 게을리한 경우 책임이 인정됩니다.
#양벌규정   #공소사실 특정   #법인 책임  
압류금지 보험급여 계좌변경이 강제집행면탈죄에 해당하는지
2016노3375
요약
장차 수령할 보험급여(휴업급여) 수령계좌를 변경해 은닉한 경우, 해당 급여는 압류가 금지된 채권이므로 채권자는 강제집행이 불가합니다.
#강제집행면탈   #압류금지채권   #산업재해보상보험  
  • 알법로고
  • 로그인
난동 제압 중 사망 발생시 폭행치사죄 성립 여부와 무죄 판단
2016고합624
요약
만취 난동자의 폭행을 제지하는 과정에서 사망이 발생하였으나, 동기.상황의 상당성 및 예견가능성 부재를 이유로 피고인들에게 폭행의 고의 및 책임이 인정되지 않아 무죄로 판단하였습니다.
#폭행치사   #술자리 난동   #만취자 제압  
수사 영상녹화물 정보공개 청구 시 등사(복제) 허용 기준
2016누41844
요약
검찰 조사 영상녹화물은 원칙적으로 정보공개법상 비공개대상정보에 해당하지 않으며, 청구인이 등사(복제물 제공) 방식의 공개를 지정한 경우 정보의 성질상 곤란함이나 업무 지장 등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등사도 허용해야 함을 판시함.
#검찰 조사 녹화물   #영상녹화 정보공개   #CD 등사 청구  
외국 카지노 도박의 위법성 및 회사 대표 자금 인출의 횡령 성립 기준
2017도953
요약
외국 카지노에서 도박했다는 사정만으로 도박죄의 위법성이 조각되지 않으며, 대표이사 등이 회사 자금을 이사회 결의 등 절차 없이 개인 용도로 인출하면 횡령죄가 인정됩니다.
#상습도박   #외국 카지노   #도박죄  
선거구 효력 상실 상태서 기부행위 공직선거법 적용 여부 판단
2016도20518
요약
헌재 결정으로 기존 국회의원지역구가 효력을 상실한 상태(2016.2.29.)에서 기부행위가 있었다면, 공직선거법상 기부행위로 처벌할 수 없음을 판시하였습니다.
#공직선거법위반   #기부행위   #국회의원지역구  
모욕죄 성립 요건과 외부적 명예 침해 여부의 판단 기준
2016도15264
요약
모욕죄는 사실 적시 없이 타인의 사회적 평가를 저하하는 경멸적 표현만으로도 성립하며, 현실적 명예 침해나 구체적 위험 발생이 없어도 허용됩니다.
#모욕죄   #외부적 명예   #경멸적 표현  
업무방해죄 허위사실 유포의 판단 기준과 적용 사례
2016도19159
요약
업무방해죄의 ‘허위사실 유포’란 객관적으로 진실과 부합하지 않는 사실의 유포를 의미하고, 단순 의견.가치판단 표시는 제외됩니다.
#업무방해죄   #허위사실 유포   #의견과 사실 구별  
식품운반업 신고 예외 범위와 음식점·매수인 운반의 구별
2015도6357
요약
식품위생법 시행령 제21조 제4호 단서의 '영업소에서 판매할 목적으로 운반'은 영업자가 부패.변질되기 쉬운 식품을 자신의 영업소로 운반하는 경우만 해당합니다.
#식품운반업   #식품위생법   #신고 예외  
옥외 시위 판단 기준과 제한적 인정 사례
2015도7419
요약
다수인이 자정 이후 시청 앞 도로에 머문 행위가 ‘시위’에 해당하는지 쟁점이 된 사안에서, 단순히 현장에 머물렀다는 사정만으로는 시위로 볼 수 없다고 판시하였습니다.
#옥외시위   #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   #자정이후머무름  
양벌규정 적용시 공소사실 특정 필수 여부와 법인 책임 인정 기준
2016도12551
요약
법인 양벌규정으로 공소를 제기할 때 종업원 위반행위의 방지책임(귀책사유)에 관한 내용을 반드시 구체적으로 특정 기재할 필요는 없으며, 법인 등 피고인이 상당한 주의와 감독을 게을리한 경우 책임이 인정됩니다.
#양벌규정   #공소사실 특정   #법인 책임  
압류금지 보험급여 계좌변경이 강제집행면탈죄에 해당하는지
2016노3375
요약
장차 수령할 보험급여(휴업급여) 수령계좌를 변경해 은닉한 경우, 해당 급여는 압류가 금지된 채권이므로 채권자는 강제집행이 불가합니다.
#강제집행면탈   #압류금지채권   #산업재해보상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