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사설 스포츠 도박 사이트 매출,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인가
2016도19704
요약
사설 스포츠 도박사이트 운영자가 유사 체육진흥투표권을 발행.판매하여 얻은 매출은 부가가치세 과세대상 거래에 해당합니다.
#스포츠도박사이트   #사설도박   #부가가치세  
비의료인과 의료인의 동업 병원 개설 주도 여부에 따른 의료법 위반 판단
2017도378
요약
비의료인과 의료인이 동업 등으로 병원을 설립한 경우 실제로 누가 주도적으로 운영.개설했는지에 따라 의료법상 의료기관 개설위반에 해당하는지가 결정됩니다.
#비의료인 의료기관 개설   #의료인 동업   #의료법 위반 기준  
부대체적 작위의무 가처분기간 경과 후 간접강제결정 효력은?
2013다80627
요약
가처분결정에서 정한 이행기간이 지난 후 간접강제결정이 나와 확정되어도, 해당 배상금에 대한 집행권원으로서의 효력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간접강제결정   #가처분 이행기간   #집행문 이의신청  
보험계약 부정취득 목적 다건 가입시 계약 무효 및 해지·취소 병존 가능성
2014다234827
요약
보험계약자가 보험금 부정취득 목적으로 다수 보험계약을 체결했다면 민법 제103조 위반으로 무효로 봅니다.
#보험계약 무효   #민법 103조   #보험금 부정취득  
공사대금 소멸시효 기산점·가압류 시효중단 시기 판정 기준
2016다35451
요약
공사도급계약에서 소멸시효 기산점은 특약→관습→공사완공일 순으로 정하고, 가압류로 인한 시효중단 효력은 가압류 신청 시로 소급함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공사도급계약   #공사대금   #소멸시효  
경매 매수인 보호-임차인 배당실패시 대항력 주장 제한
2016다248431
요약
주택 경매에서 매수인이 임차인의 우선순위 배당을 신뢰하고 매수가격을 정했음에도, 임차인이 실제 배당을 못 받았다는 이유만으로 매수인에게 대항력 행사를 주장하는 것은 신의칙에 위반되어 허용되지 않음을 판시한 판례입니다.
#경매   #주택   #임차인  
채무자가 소송 통해 재산 넘긴 경우 사해행위 인정기준
2016다204783
요약
무자력 채무자가 소송상 자백 등으로 수익자에게 책임재산을 넘긴 경우 그 실질이 이전합의라면 채권자에 대한 사해행위가 인정될 수 있음을 판시했습니다.
#사해행위   #소송재산이전   #무자력  
소송구조 '변호사 보수' 범위 및 담보면제 요건 판시
2016다251994
요약
민사소송에서 소송구조의 '변호사 보수'란 소송구조를 받는 당사자(원고)의 변호사에게 지급할 보수를 뜻하며, 상대방(피고) 몫의 변호사 보수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소송구조   #변호사 보수   #상대방 보수  
인터넷 배너·팝업 광고가 표시광고법 '광고'에 해당하는지와 기만적·과장광고 판단기준
2014두1925
요약
사업자가 인터넷 홈페이지, 배너, 팝업광고 등으로 상품.용역의 거래조건을 널리 알리는 행위는 표시광고법상 '광고'에 해당합니다.
#인터넷광고   #배너광고   #팝업광고  
입찰참가자격제한 처분 효력의 자동 확장 적용 여부 및 위헌성
2015두50313
요약
입찰참가자격 제한처분이 내려진 경우, 확장제재 조항에 따라 별도 제재 없이 자동으로 효력이 다른 기관에 확장되지 않으며, 각 기관이 별도로 제재를 해야만 효력이 미칩니다.
#입찰참가자격 제한   #부정당업자   #효력 확장  
  • 알법로고
  • 로그인
사설 스포츠 도박 사이트 매출,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인가
2016도19704
요약
사설 스포츠 도박사이트 운영자가 유사 체육진흥투표권을 발행.판매하여 얻은 매출은 부가가치세 과세대상 거래에 해당합니다.
#스포츠도박사이트   #사설도박   #부가가치세  
비의료인과 의료인의 동업 병원 개설 주도 여부에 따른 의료법 위반 판단
2017도378
요약
비의료인과 의료인이 동업 등으로 병원을 설립한 경우 실제로 누가 주도적으로 운영.개설했는지에 따라 의료법상 의료기관 개설위반에 해당하는지가 결정됩니다.
#비의료인 의료기관 개설   #의료인 동업   #의료법 위반 기준  
부대체적 작위의무 가처분기간 경과 후 간접강제결정 효력은?
2013다80627
요약
가처분결정에서 정한 이행기간이 지난 후 간접강제결정이 나와 확정되어도, 해당 배상금에 대한 집행권원으로서의 효력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간접강제결정   #가처분 이행기간   #집행문 이의신청  
보험계약 부정취득 목적 다건 가입시 계약 무효 및 해지·취소 병존 가능성
2014다234827
요약
보험계약자가 보험금 부정취득 목적으로 다수 보험계약을 체결했다면 민법 제103조 위반으로 무효로 봅니다.
#보험계약 무효   #민법 103조   #보험금 부정취득  
공사대금 소멸시효 기산점·가압류 시효중단 시기 판정 기준
2016다35451
요약
공사도급계약에서 소멸시효 기산점은 특약→관습→공사완공일 순으로 정하고, 가압류로 인한 시효중단 효력은 가압류 신청 시로 소급함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공사도급계약   #공사대금   #소멸시효  
경매 매수인 보호-임차인 배당실패시 대항력 주장 제한
2016다248431
요약
주택 경매에서 매수인이 임차인의 우선순위 배당을 신뢰하고 매수가격을 정했음에도, 임차인이 실제 배당을 못 받았다는 이유만으로 매수인에게 대항력 행사를 주장하는 것은 신의칙에 위반되어 허용되지 않음을 판시한 판례입니다.
#경매   #주택   #임차인  
채무자가 소송 통해 재산 넘긴 경우 사해행위 인정기준
2016다204783
요약
무자력 채무자가 소송상 자백 등으로 수익자에게 책임재산을 넘긴 경우 그 실질이 이전합의라면 채권자에 대한 사해행위가 인정될 수 있음을 판시했습니다.
#사해행위   #소송재산이전   #무자력  
소송구조 '변호사 보수' 범위 및 담보면제 요건 판시
2016다251994
요약
민사소송에서 소송구조의 '변호사 보수'란 소송구조를 받는 당사자(원고)의 변호사에게 지급할 보수를 뜻하며, 상대방(피고) 몫의 변호사 보수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소송구조   #변호사 보수   #상대방 보수  
인터넷 배너·팝업 광고가 표시광고법 '광고'에 해당하는지와 기만적·과장광고 판단기준
2014두1925
요약
사업자가 인터넷 홈페이지, 배너, 팝업광고 등으로 상품.용역의 거래조건을 널리 알리는 행위는 표시광고법상 '광고'에 해당합니다.
#인터넷광고   #배너광고   #팝업광고  
입찰참가자격제한 처분 효력의 자동 확장 적용 여부 및 위헌성
2015두50313
요약
입찰참가자격 제한처분이 내려진 경우, 확장제재 조항에 따라 별도 제재 없이 자동으로 효력이 다른 기관에 확장되지 않으며, 각 기관이 별도로 제재를 해야만 효력이 미칩니다.
#입찰참가자격 제한   #부정당업자   #효력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