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단위 임대차 재계약과 임대료 5% 증액 요건 해석
서면-2022-법규재산-0432[법규과-642]
요약
국세청 유권해석에 따르면 임차인과 1년 단위로 임대차계약을 연속 체결하며 직전 계약 대비 임대료를 5% 이내로 증액하였다면,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20항 제2호 등에서 요구하는 임대료 증액 제한 요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임대료 증액 제한
#1세대1주택
#장기임대주택
분양권·주택 순차 취득 시 일시적 2주택 특례 적용 여부
서면-2023-부동산-0225[부동산납세과-675]
요약
2021년 1월 1일 이후 분양권과 주택을 순차 취득한 후 분양권으로 취득한 주택을 완공 및 양도하는 경우,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1항 및 제156조의3 제2항.제3항의 일시적 2주택, 1주택 1분양권 특례가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분양권 양도
#일시적 2주택
#1주택 1분양권
외주제작사 용역비, 영상콘텐츠 제작비용 해당 여부
기준-2021-법무법인-0240[법무과-1821]
요약
국세청 유권해석에 따르면 외주제작사에 지급하는 용역비는 영상콘텐츠 제작비용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비용은 세액공제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됩니다.
#외주제작사
#용역비
#영상콘텐츠
국민주택 건설용역 부가가치세 면제 요건 및 과세 범위
부가가치세제과-207
요약
「주택법」 제4조제1항 각호에 해당하는 사업자가 제공하는 국민주택 건설용역은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106조제4항제2호에 따라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으로 판단됩니다.
#국민주택
#건설용역
#부가가치세
장기임대주택 임대료 증액 요건 및 임대차 연속계약 적용
서면-2022-법규재산-3509[법규과-641]
요약
동일 임대조건으로 임대차계약을 연달아 체결한 뒤, 실제 임대차기간이 합산되어 1년 경과 후 종전 임대료의 5% 이내로 증액하여 신규 임차인과 계약한 경우,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20항 제2호 등 임대료 증액제한 특례 요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장기임대주택
#임대료 증액
#임대료 5% 제한
공공폐수처리시설 위탁 운영 시 시설개선충당금 익금 여부
사전-2022-법규법인-1191[법규과-624]
요약
공공폐수처리시설을 위탁받아 운영하며 산업단지 입주업체로부터 받은 시설개선충당금이 해당 법인에 귀속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명백히 확인되지 않는 한, 익금에 산입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시설개선충당금
#익금 여부
#공공폐수처리시설
증여세 소송 결과와 양도소득세 경정청구·재과세 가능 여부
기준-2021-법무기본-0166
요약
주식 양도와 관련하여 양도소득세 경정청구 거부 후 증여세 소송이 기각된 경우에는 후발적 경정청구가 불가하며, 반대로 경정청구 인용 후 증여세 소송이 인용된 경우에는 과세관청이 양도소득세를 다시 과세할 수 있음이 유권해석에서 명확히 안내되었습니다.
#증여세 소송
#양도소득세 경정청구
#재과세
공동명의 임대차계약의 직전임대차계약 해당 여부 해석
서면-2022-법규재산-4507[법규과-625]
요약
동일세대원이 아닌 자와 주택을 공동명의로 취득한 뒤 임대차계약을 맺고, 한 명이 상대의 지분을 매수해 단독명의가 된 경우, 당초 공동명의 임대차계약은 기존 지분에 대해서만 직전임대차계약에 해당하며, 추가 매수한 지분에 대해서는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됩니다.
#공동명의 주택
#직전임대차계약
#상생임대주택
RP거래 주식 배당금의 수입배당금 익금불산입 적용
서면-2021-법규법인-6591[법규과-623]
요약
RP거래(환매조건부매매)에서 매수인이 주식 소유기간 중 배당금을 받은 뒤 매도인에게 지급할 때, 매도인에 대해 수입배당금 익금불산입 규정이 적용됨을 명확히 했습니다.
#RP거래
#환매조건부매매
#매도인
일부 임대·일부 거주 다가구주택, 1세대 1주택 비과세 특례 불가
서면-2022-부동산-3960[부동산납세과-654]
요약
다가구주택의 일부를 임대등록하고 나머지 일부에 거주한 후 임대등록이 자동말소되어 전체를 양도할 때, 해당 주택 전체를 1세대 1주택 비과세 특례의 거주주택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가구주택
#임대등록
#부분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