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업용 건물 전유부분 상속 시 기준시가 미고시 보충평가
사전-2022-법규재산-0848[법규과-235]
요약
상업용 건물에 속한 전유부분이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61조 제1항 제3호 적용 대상임에도 해당 기준시가가 고시되지 않은 경우, 같은 조 제1호(토지) 및 제2호(건물)에서 정하는 보충적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상속재산을 평가하도록 안내하였습니다.
#상업용 건물 상속
#기준시가 미고시
#전유부분 평가
임대주택 증여 후 임대인 변경 시 상생임대차 인정 여부
서면-2022-법규재산-3407[법규과-236]
요약
부모로부터 임대주택을 증여받은 뒤 임대인의 명의를 수증자인 자녀로 변경하여 체결한 임대차계약은 해당 주택의 취득으로 임대인의 지위가 승계된 경우의 임대차계약에 해당하므로,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의3상 ‘직전 임대차계약’으로 볼 수 없다는 점이 유권해석의 요지입니다.
#상생임대주택
#임대주택 증여
#임대인 변경
법인 아닌 단체 주식 사업 종료 시 주식 배분의 과세 여부
금융세제과-46
요약
법인 아닌 단체가 구성원 간 주식공동구매사업을 진행하고 단체 명의로 취득한 주식을, 사업 종료를 이유로 출자지분 비율에 따라 구성원에게 배분할 때, 이는 소득세법상 양도에 해당하지 않아 양도소득세 과세대상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됩니다.
#법인 아닌 단체
#주식 공동구매
#사업 종료
상생임대주택 특례 임대차계약 기준시가 적용 및 묵시적 갱신 인정 여부
서면-2022-부동산-3860[부동산납세과-198]
요약
국세청은 개정 전 체결한 임대차계약에는 상생임대주택 특례의 기준시가 요건을 적용하지 않는다고 해석하였으며, 묵시적 갱신 등 신규 계약 없이 임대가 연장된 경우에도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의3의 임대기간으로 인정된다고 밝혔습니다.
#상생임대주택
#기준시가
#임대차계약
NFT거래 플랫폼 수수료의 원천징수 기타소득 해당 여부
서면-2022-법규소득-2671[법규과-216]
요약
NFT 거래 플랫폼이 거래 수수료의 일부를 개인발행인에게 지급하는 경우, 이 수수료는 원천징수대상 기타소득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NFT
#거래플랫폼
#거래수수료
자동차용 폐배터리 재활용폐자원 해당 여부 국세청 유권해석
기준-2023-법무부가-0005
요약
국세청은 자동차용 폐배터리가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110조 제4항에서 규정하는 재활용폐자원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해석하였습니다.
#자동차용 폐배터리
#재활용폐자원
#부가가치세
재개발사업 취소 후 재인가시 대체주택 특례 적용 기준
사전-2022-법규재산-1043[법규과-212]
요약
재개발사업의 당초 사업시행인가가 취소되고 새로이 사업시행인가가 고시된 경우에도, 소득세법 시행령 제156조의2 제5항에서 규정한 대체주택 특례의 적용 여부는 최초 사업시행인가일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회신되었습니다.
#재개발사업
#사업시행인가
#대체주택 특례
NFT 거래수수료 개인발행인 지급 시 원천징수 여부
소득세제과-69[법규과-216]
요약
NFT 거래 플랫폼 운영사업자가 거래수수료 중 일부를 개인발행인에게 지급하는 경우, 해당 금액은 원천징수대상 기타소득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NFT
#거래 플랫폼
#개인발행인
농어촌주택과 분양권 보유 시 1세대1주택 비과세 적용
서면-2022-부동산-4530[부동산납세과-156]
요약
1세대가 종전주택을 소유한 상태에서 조세특례제한법 제99조의4에 따른 농어촌주택과 분양권을 취득한 경우, 소득세법 시행령 제156조의3의 요건을 충족해 종전주택을 양도하면 1세대 1주택으로 간주되어 같은 영 제154조제1항이 적용됨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농어촌주택
#1세대1주택
#소득세법 시행령
국외투자기구의 설립국 거주자 해당 여부 판단 기준
국제조세제도과-32
요약
국외투자기구가 법인세법 제93조의2제1항제1호 가목에 따른 설립국의 거주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국외투자기구가 설립국에 납부한 세액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며, 조세조약, 현지법령, 기타 사실관계를 모두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함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국외투자기구
#거주자 판단
#설립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