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재개발로 부수토지 증가 시 양도차익 산정방법
사전-2022-법규재산-0962[법규과-2996]
요약
재개발사업으로 추가 청산금을 납부해 주택 부수토지 면적이 증가한 경우, 그 증가된 토지분에 대한 양도차익 계산은 소득세법 시행령 제166조 제2항 제1호의 '청산금납부분 양도차익' 산식에 따라 증가된 토지의 기준시가가 전체 기준시가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곱해 산정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재개발   #부수토지   #양도차익  
동거주택 상속공제 1세대 1주택 요건과 분양권 포함 판단
재산세제과-1316[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1316]
요약
동거주택 상속공제 적용 시 1세대 1주택 요건을 판단할 때 2021년 1월 1일 이후 취득한 분양권은 주택수에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었습니다.
#동거주택 상속공제   #1세대 1주택   #분양권  
공동사업장 사업자 신축주택 자가사용시 총수입금액 산입 여부
사전-2021-법규소득-0318[법규과-2974]
요약
공동사업장의 사업자들이 신축된 주택을 자가사용 목적으로 1주택씩 소유하는 경우, 해당 주택가액이 공동사업장 총수입금액에 산입되는지 여부는 해당 주택의 필요경비 산입 및 회계처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사실판단할 사항으로 판단됩니다.
#공동사업장   #신축주택   #자가사용  
장기임대주택 등록 말소 후 새 주택 거주 비과세 특례 적용 여부
재산세제과-1308
요약
민간임대주택법에 따라 장기임대주택의 임대의무기간이 종료되어 등록이 말소된 후 새롭게 주택을 취득하고 2년 이상 거주하였더라도, 그 주택을 비과세 특례 거주주택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관련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임대주택 말소 후 취득한 주택에는 특례가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장기임대주택   #임대의무기간   #등록말소  
장기임대주택 임대료 상한 적용 시 최초 계약 기준
서면-2022-부동산-3702[부동산납세과-3153]
요약
장기임대주택의 임대보증금 또는 임대료 상한 규정(증가율 5% 이하)에서 최초 계약 기준은 2019년 2월 12일 시행령 개정일 이후 최초로 체결한 표준임대차계약이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장기임대주택   #임대료 상한   #임대보증금  
부당행위계산 시 양도일 전후 3개월 내 시가 적용방법
기준-2022-법무재산-0078[법무과-5204]
요약
부당행위계산 규정 적용 시, 양도일 또는 취득일 전후 각 3개월 이내의 기간 중 확인되는 가액을 시가로 평가합니다.
#부당행위계산   #3개월 시가   #양도소득세  
MCN을 통해 유튜브 광고 수익 수령 시 영세율 적용 가능 여부
기준-2021-법무부가-0006
요약
국내 사업자가 유튜브 콘텐츠를 통해 발생한 광고수익을 MCN 사업자를 거쳐 원화로 지급받는 경우, 해당 거래는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33조 제2항 제1호에 해당하지 않아 영세율 적용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됩니다.
#MCN   #유튜브 광고수익   #영세율  
배우자 증여 분양권 승계 시 미분양주택 과세특례 적용 여부
서면-2022-부동산-0888[부동산납세과-3132]
요약
배우자로부터 증여를 통해 분양권을 승계받아 취득한 주택에는 조세특례제한법 제98조의3(미분양주택 양도소득세 과세특례)가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배우자 증여   #분양권 승계   #미분양주택  
신규주택 전입 시 일부 세대원 미이사와 1세대1주택 비과세 요건
서면-2022-부동산-4020[부동산납세과-3134]
요약
세대의 일부 구성원이 소득세법 시행규칙 제71조 제3항 각 호에 해당하지 않는 사유로 신규주택에 이사하지 못하는 경우,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1항 제2호의 1세대1주택 비과세 특례를 적용받을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일시적 2주택   #일부 세대원   #세대전원  
외국법인에서 국내 제3자 경유 원화지급 시 영세율 적용 여부
부가가치세제과-462
요약
외국법인 등에서 국내 제3자에게 외화를 송금한 후, 사업자가 제3자로부터 원화로 지급받는 경우에는 부가가치세 영세율이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영세율   #외국법인   #부가가치세  
  • 알법로고
  • 로그인
재개발로 부수토지 증가 시 양도차익 산정방법
사전-2022-법규재산-0962[법규과-2996]
요약
재개발사업으로 추가 청산금을 납부해 주택 부수토지 면적이 증가한 경우, 그 증가된 토지분에 대한 양도차익 계산은 소득세법 시행령 제166조 제2항 제1호의 '청산금납부분 양도차익' 산식에 따라 증가된 토지의 기준시가가 전체 기준시가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곱해 산정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재개발   #부수토지   #양도차익  
동거주택 상속공제 1세대 1주택 요건과 분양권 포함 판단
재산세제과-1316[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1316]
요약
동거주택 상속공제 적용 시 1세대 1주택 요건을 판단할 때 2021년 1월 1일 이후 취득한 분양권은 주택수에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었습니다.
#동거주택 상속공제   #1세대 1주택   #분양권  
공동사업장 사업자 신축주택 자가사용시 총수입금액 산입 여부
사전-2021-법규소득-0318[법규과-2974]
요약
공동사업장의 사업자들이 신축된 주택을 자가사용 목적으로 1주택씩 소유하는 경우, 해당 주택가액이 공동사업장 총수입금액에 산입되는지 여부는 해당 주택의 필요경비 산입 및 회계처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사실판단할 사항으로 판단됩니다.
#공동사업장   #신축주택   #자가사용  
장기임대주택 등록 말소 후 새 주택 거주 비과세 특례 적용 여부
재산세제과-1308
요약
민간임대주택법에 따라 장기임대주택의 임대의무기간이 종료되어 등록이 말소된 후 새롭게 주택을 취득하고 2년 이상 거주하였더라도, 그 주택을 비과세 특례 거주주택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관련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임대주택 말소 후 취득한 주택에는 특례가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장기임대주택   #임대의무기간   #등록말소  
장기임대주택 임대료 상한 적용 시 최초 계약 기준
서면-2022-부동산-3702[부동산납세과-3153]
요약
장기임대주택의 임대보증금 또는 임대료 상한 규정(증가율 5% 이하)에서 최초 계약 기준은 2019년 2월 12일 시행령 개정일 이후 최초로 체결한 표준임대차계약이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장기임대주택   #임대료 상한   #임대보증금  
부당행위계산 시 양도일 전후 3개월 내 시가 적용방법
기준-2022-법무재산-0078[법무과-5204]
요약
부당행위계산 규정 적용 시, 양도일 또는 취득일 전후 각 3개월 이내의 기간 중 확인되는 가액을 시가로 평가합니다.
#부당행위계산   #3개월 시가   #양도소득세  
MCN을 통해 유튜브 광고 수익 수령 시 영세율 적용 가능 여부
기준-2021-법무부가-0006
요약
국내 사업자가 유튜브 콘텐츠를 통해 발생한 광고수익을 MCN 사업자를 거쳐 원화로 지급받는 경우, 해당 거래는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33조 제2항 제1호에 해당하지 않아 영세율 적용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됩니다.
#MCN   #유튜브 광고수익   #영세율  
배우자 증여 분양권 승계 시 미분양주택 과세특례 적용 여부
서면-2022-부동산-0888[부동산납세과-3132]
요약
배우자로부터 증여를 통해 분양권을 승계받아 취득한 주택에는 조세특례제한법 제98조의3(미분양주택 양도소득세 과세특례)가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배우자 증여   #분양권 승계   #미분양주택  
신규주택 전입 시 일부 세대원 미이사와 1세대1주택 비과세 요건
서면-2022-부동산-4020[부동산납세과-3134]
요약
세대의 일부 구성원이 소득세법 시행규칙 제71조 제3항 각 호에 해당하지 않는 사유로 신규주택에 이사하지 못하는 경우,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1항 제2호의 1세대1주택 비과세 특례를 적용받을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일시적 2주택   #일부 세대원   #세대전원  
외국법인에서 국내 제3자 경유 원화지급 시 영세율 적용 여부
부가가치세제과-462
요약
외국법인 등에서 국내 제3자에게 외화를 송금한 후, 사업자가 제3자로부터 원화로 지급받는 경우에는 부가가치세 영세율이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영세율   #외국법인   #부가가치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