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임대주택 임대기간 1개월 미만 계산 특례 요건
서면-2022-법규재산-2784[법규과-2376]
요약
상생임대주택 1세대1주택 특례 적용 시, 직전 임대차계약 임대기간이 1년 5개월 19일과 같이 1개월 미만 기간이 존재하면 이를 1개월로 간주해 1년 6개월로 산정하는 것이 타당함을 국세청이 명확히 밝혔습니다.
#상생임대주택
#임대기간 산정
#세법 특례
BBCHP계약 선급리스료의 통합투자세액공제 적용 시기
서면-2022-법규법인-1529[법규과-2360]
요약
내국법인이 조세특례제한법 제24조에 따라 BBCHP 계약(금융리스)에 의해 취득하는 자산은 통합투자세액공제 대상이 될 수 있으며, 해당 계약 체결 전에 지급된 선급리스료는 계약 실행일(임차기간 개시일)이 속한 사업연도에 공제가 적용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BBCHP
#국적취득조건부 나용선
#선급리스료
단기임대에서 장기임대 재등록 시 양도세 중과배제 가능 여부
서면-2021-법규재산-6391[법규과-2359]
요약
단기민간임대주택이 임대의무기간 외의 요건 충족 후 자동말소되고, 2020.8.18. 이후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으로 재등록한 경우 임대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양도하더라도 소득세법 시행령 제167조의3 제1항 제2호 각목 외 부분 단서에 따라 양도소득세 중과세율 배제 적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단기민간임대주택
#장기임대주택
#자동말소
공동상속주택 양도 시 거주기간 산정 및 장특공제 적용
사전-2021-법규재산-1088[법규과-2362]
요약
공동상속주택을 양도할 때 상속지분이 가장 큰 상속인의 거주기간만을 장기보유 특별공제 등 거주기간 기준으로 삼으며, 만약 최다지분자가 2명 이상인 경우에는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3항 각 호의 순서에 따라 특정인을 판단합니다.
#공동상속주택
#최다지분자
#장기보유특별공제
장기임대주택 자진말소 후 거주주택 양도 시 보유기간 기산일
서면-2021-법규재산-6834[법규과-2375]
요약
거주주택과 장기임대주택을 2채 이상 보유한 1세대가 장기임대주택 중 1채를 자진말소하고 양도한 후 거주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거주주택의 보유기간은 해당 주택의 취득일부터 기산하는 것이 맞다고 판단됩니다.
#장기임대주택
#자진말소
#거주주택
혼인합가 특례 2주택 중 먼저 양도시 B주택 보유기간 산정
사전-2021-법규재산-1567[법규과-2357]
요약
혼인합가 특례로 2021.1.1. 현재 2주택(A.B)을 보유한 1세대가 혼인 후 5년 이내에 보유기간 2년 미만인 A주택을 먼저 양도하고 B주택을 양도할 경우, B주택의 1세대1주택 비과세 판정상 보유기간은 B주택 취득일부터 기산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혼인합가
#2주택
#1세대1주택
일용근로자 식사대 비과세 적용 여부 해석
기준-2022-법무소득-0102[법무과-3995]
요약
국세청은 식사 기타 음식물을 제공받지 않는 일용근로자가 월 10만원 이하로 지급받는 식사대는 소득세 비과세 대상에 해당한다고 해석하였습니다.
#일용근로자
#식사대
#비과세
적격합병 시 결손금 승계 범위에 관한 유권해석
법인세제과-285
요약
적격합병의 경우, 합병법인은 피합병법인의 합병등기일 현재 법인세법 제13조제1항제1호의 결손금에 해당하지 않는 결손금은 승계할 수 없음을 명확히 안내하였습니다.
#적격합병
#결손금 승계
#법인세
상속세 감정가액 시가 산정: 평가기간 내외 가액 평균 인정 가능성
서면-2021-법규재산-5540[법규과-2344]
요약
상속세 시가 산정 시 평가기준일 전 2년~전 6개월 사이(평가기간 밖)의 감정가액 2개와 평가기준일 전후 6개월(평가기간 내)의 감정가액 1개가 존재하는 경우, 평가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3개 감정가액의 평균액을 시가로 인정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합니다.
#상속세 감정가액
#평가심의위원회
#시가 산정
조합원입주권 변환 후 신규입주권 취득 시 비과세 특례 적용
재산세제과-962
요약
종전주택이 조합원입주권으로 변환되고, 그 입주권이 주택 완공 전에 다른 신규조합원입주권을 취득한 경우에도 소득세법 시행령 제156조의2 제4항의 규정이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조합원입주권
#소득세법 시행령
#비과세 특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