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저당권·임대보증금 부담부 주택증여시 증여재산가액 평가
서면-2022-상속증여-0251[상속증여세과-223]
요약
부동산에 근저당권이나 임대보증금 등 부담이 있는 채로 증여를 받는 경우에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 따라 평가기준일 현재 재산가액과 담보 채권액 중 큰 금액으로 증여재산을 평가하여 증여세를 신고해야 하며, 부담부증여에 해당하면 양도로 보아 양도소득세도 신고해야 함을 알 수 있습니다.
#부담부증여   #근저당권   #임대보증금  
세대구분형 아파트 일부 임대 시 1세대1주택 비과세 적용
서면-2021-법규재산-0531[법규과-1367]
요약
조정대상지역 내 세대구분형 아파트의 일부를 임대하고, 나머지 일부에 1세대가 2년 이상 실제 거주할 경우, 전체 주택에 대해 1세대1주택 비과세가 적용될 수 있음을 국세청이 명확히 했습니다.
#세대구분형 아파트   #일부 임대   #1세대1주택  
순차상속 공동지분주택 보유 시 1세대 1주택 비과세 가능 여부
사전-2022-법규재산-0410[법규과-1205]
요약
조합원입주권을 소유한 1세대가 부와 모가 1/2 지분씩 공동 소유한 주택을 순차적으로 상속받은 후 신축주택을 양도할 때, 소득세법 시행령 제154조제1항을 적용하여 1세대 1주택 비과세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설명합니다.
#1세대1주택   #순차상속   #공동소유주택  
정부 100% 출연 공공기관, 조특법상 중견기업 해당여부
기준-2022-법무법인-0032[법무과-2287]
요약
정부가 100% 출연하여 설립한 내국법인은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개정 전 제4조제1항제3호에 따라 소유와 경영의 실질적 독립성을 충족한 것으로 인정됩니다.
#정부 출연   #공공기관   #조세특례제한법  
지자체 출연금 외부회계감사 기준 포함 여부-국세청 유권해석
서면-2022-법인-1073[공익중소법인지원팀-428]
요약
국세청 유권해석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받은 출연금은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43조 제3항의 '출연받은 재산가액'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지방자치단체 출연금   #공익법인   #회계감사  
신축·장기임대·분양권 동시 소유시 1세대1주택 비과세 특례
사전-2022-법규재산-0147[법규과-1326]
요약
국세청 회신에 따르면, 신축주택, 장기임대주택, 거주주택, 그리고 2021.1.1. 이후 취득한 분양권을 함께 보유한 1세대가 분양권 취득 후 3년 이내에 거주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이를 1세대1주택으로 간주해 소득세법 시행령 제154조 1항의 비과세 특례 적용이 가능함이 명확히 안내되었습니다.
#1세대1주택   #비과세   #신축주택  
100% 출자 해외법인 파견자의 거주자 및 이중거주자 판정
서면-2021-국제세원-5503[국제조세담당관-415]
요약
내국법인이 해외현지법인에 100% 출자하여 임직원을 파견하는 경우, 해당 임직원은 국내세법상 거주자로 판정됩니다.
#해외법인 파견   #100% 출자   #이중거주자  
분할신설법인의 일반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율 적용
사전-2022-법규법인-0133[법규과-1307]
요약
적격인적분할을 통해 신설된 분할신설법인은 분할법인이 조세특례제한법 제10조제1항제3호나목2)의 공제율을 적용받던 기간까지는 동일하게 일반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율을 그대로 적용받을 수 있음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적격인적분할   #분할신설법인   #일반연구인력개발비  
신규주택 취득 후 3년 내 종전주택 양도 시 1세대1주택 비과세 적용
사전-2022-법규재산-0389[법규과-1311]
요약
신규주택(B)을 취득한 날부터 3년 이내에 기존 주택(A)을 양도하면, 1세대1주택으로 인정받아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1세대1주택   #비과세   #신규주택  
KDR 임의매각 시 원천징수의무자 판단(국세청 2022-국제세원-1257)
서면-2022-국제세원-1257[국제조세담당관-413]
요약
일본법인 주식을 원주로 하여 한국에 상장된 주식예탁증서(KDR)를 비거주자 등이 증권시장이 아닌 임의매각 형태로 양도하고 국내 증권회사를 통해 양도대금을 지급받는 경우, 증권회사 등이 원천징수의무자가 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KDR   #주식예탁증권   #임의매각  
  • 알법로고
  • 로그인
저당권·임대보증금 부담부 주택증여시 증여재산가액 평가
서면-2022-상속증여-0251[상속증여세과-223]
요약
부동산에 근저당권이나 임대보증금 등 부담이 있는 채로 증여를 받는 경우에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 따라 평가기준일 현재 재산가액과 담보 채권액 중 큰 금액으로 증여재산을 평가하여 증여세를 신고해야 하며, 부담부증여에 해당하면 양도로 보아 양도소득세도 신고해야 함을 알 수 있습니다.
#부담부증여   #근저당권   #임대보증금  
세대구분형 아파트 일부 임대 시 1세대1주택 비과세 적용
서면-2021-법규재산-0531[법규과-1367]
요약
조정대상지역 내 세대구분형 아파트의 일부를 임대하고, 나머지 일부에 1세대가 2년 이상 실제 거주할 경우, 전체 주택에 대해 1세대1주택 비과세가 적용될 수 있음을 국세청이 명확히 했습니다.
#세대구분형 아파트   #일부 임대   #1세대1주택  
순차상속 공동지분주택 보유 시 1세대 1주택 비과세 가능 여부
사전-2022-법규재산-0410[법규과-1205]
요약
조합원입주권을 소유한 1세대가 부와 모가 1/2 지분씩 공동 소유한 주택을 순차적으로 상속받은 후 신축주택을 양도할 때, 소득세법 시행령 제154조제1항을 적용하여 1세대 1주택 비과세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설명합니다.
#1세대1주택   #순차상속   #공동소유주택  
정부 100% 출연 공공기관, 조특법상 중견기업 해당여부
기준-2022-법무법인-0032[법무과-2287]
요약
정부가 100% 출연하여 설립한 내국법인은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개정 전 제4조제1항제3호에 따라 소유와 경영의 실질적 독립성을 충족한 것으로 인정됩니다.
#정부 출연   #공공기관   #조세특례제한법  
지자체 출연금 외부회계감사 기준 포함 여부-국세청 유권해석
서면-2022-법인-1073[공익중소법인지원팀-428]
요약
국세청 유권해석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받은 출연금은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43조 제3항의 '출연받은 재산가액'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지방자치단체 출연금   #공익법인   #회계감사  
신축·장기임대·분양권 동시 소유시 1세대1주택 비과세 특례
사전-2022-법규재산-0147[법규과-1326]
요약
국세청 회신에 따르면, 신축주택, 장기임대주택, 거주주택, 그리고 2021.1.1. 이후 취득한 분양권을 함께 보유한 1세대가 분양권 취득 후 3년 이내에 거주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이를 1세대1주택으로 간주해 소득세법 시행령 제154조 1항의 비과세 특례 적용이 가능함이 명확히 안내되었습니다.
#1세대1주택   #비과세   #신축주택  
100% 출자 해외법인 파견자의 거주자 및 이중거주자 판정
서면-2021-국제세원-5503[국제조세담당관-415]
요약
내국법인이 해외현지법인에 100% 출자하여 임직원을 파견하는 경우, 해당 임직원은 국내세법상 거주자로 판정됩니다.
#해외법인 파견   #100% 출자   #이중거주자  
분할신설법인의 일반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율 적용
사전-2022-법규법인-0133[법규과-1307]
요약
적격인적분할을 통해 신설된 분할신설법인은 분할법인이 조세특례제한법 제10조제1항제3호나목2)의 공제율을 적용받던 기간까지는 동일하게 일반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율을 그대로 적용받을 수 있음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적격인적분할   #분할신설법인   #일반연구인력개발비  
신규주택 취득 후 3년 내 종전주택 양도 시 1세대1주택 비과세 적용
사전-2022-법규재산-0389[법규과-1311]
요약
신규주택(B)을 취득한 날부터 3년 이내에 기존 주택(A)을 양도하면, 1세대1주택으로 인정받아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1세대1주택   #비과세   #신규주택  
KDR 임의매각 시 원천징수의무자 판단(국세청 2022-국제세원-1257)
서면-2022-국제세원-1257[국제조세담당관-413]
요약
일본법인 주식을 원주로 하여 한국에 상장된 주식예탁증서(KDR)를 비거주자 등이 증권시장이 아닌 임의매각 형태로 양도하고 국내 증권회사를 통해 양도대금을 지급받는 경우, 증권회사 등이 원천징수의무자가 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KDR   #주식예탁증권   #임의매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