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부가가치세 예정신고 누락분 확정신고 반영 시 과소신고가산세 감면
기준-2021-법령해석기본-0161[법령해석과-3030]
요약
부가가치세 매출세액을 예정신고에서 누락하였으나 같은 과세기간의 확정신고에 반영하여 신고할 경우, 국세기본법 제48조제2항제1호나목에 따라 가산세액의 75%를 감면받을 수 있음이 명확히 해석되었습니다.
#부가가치세   #예정신고   #확정신고  
상속 공동소유주택 지분 법인 양도 시 주택수 제외 가능 여부
서면-2020-법령해석재산-1890[법령해석과-3043]
요약
상속을 통해 공동소유하게 된 주택의 지분 일부를 상속개시일 후 법인에 양도하여, 과세기준일 현재 소유지분율이 20% 이하이고 해당 지분의 공시가격이 3억원 이하인 경우, 종합부동산세법 시행령 제4조의2 제3항 제1호 단서 규정에 따라 주택 수에서 제외할 수 있음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상속주택   #공동소유   #지분양도  
임원 퇴직금 중도인출의 근로소득 분류와 퇴직소득 세액정산
서면-2020-법령해석소득-1919[법령해석과-3014]
요약
임원이 퇴직소득금액 산식 초과분을 근로소득으로 과세 받은 경우, 해당 금액은 퇴직소득 세액정산(소득세법 제148조)에 포함되는 퇴직소득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것으로 해석하였습니다.
#임원 퇴직금   #퇴직소득 세액정산   #근로소득 구분  
지방자치단체 담배꽁초 수거 보상비 소득구분 기준
서면-2021-소득-1953[소득세과-1227]
요약
지방자치단체가 주민에게 지급하는 담배꽁초 수거 보상비는 고용관계 여부와 활동의 지속성에 따라 근로소득, 사업소득, 기타소득 중 하나로 구분되며, 구체적 판단은 사실관계에 의해 결정됨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담배꽁초   #수거보상비   #지방자치단체  
상가임대료 인하 세액공제 기준 임대료 산정 방식
서면-2021-소득-4311[소득세과-1231]
요약
조세특례제한법 제96조의3에 따른 상가임대료 인하 세액공제는 임대료를 인하하기 직전의 임대차계약상 임대료를 기준으로 공제 적용액을 산정해야 하며, 임대차기간별 임대료가 달라도 가장 최근 계약의 임대료가 기준이 됩니다.
#상가임대료 인하   #세액공제   #임대료 산정  
주택을 근린생활시설로 용도변경 후 양도 시 장기보유특별공제 기산일
사전-2021-법령해석재산-0971[법령해석과-3044]
요약
주택을 근린생활시설로 용도변경하였다가 양도하는 경우에도 장기보유특별공제 보유기간은 건물의 최초 취득일부터 양도일까지 산정됩니다.
#주택 용도변경   #근린생활시설   #장기보유특별공제  
공동상속주택 지분 재상속 후 일반주택 양도 비과세 특례
서면-2019-법령해석재산-3032[법령해석과-3028]
요약
무주택자가 공동상속주택의 소수지분을 상속받고, 이후 나머지 지분까지 재상속받아 단독 소유하게 된 경우, 나머지 지분을 상속받은 날 현재 보유 중인 일반주택 양도시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2항이 적용되어 1세대 1주택 비과세 판단이 이루어집니다.
#공동상속주택   #지분 상속   #재상속  
내국법인 임차차량 업무전용자동차보험 가입 인정 요건
법인세제과-394
요약
내국법인이 자동차대여사업자로부터 승용차를 임차할 때, 업무전용자동차보험에 실제 가입하지 않고 계약서에 가입 예정 문구만 있는 경우에는 법인세법 시행령 기준의 가입으로 인정되지 않는다는 유권해석입니다.
#내국법인   #자동차대여   #승용차 임차  
상속주택 지분 양도 후 종부세 주택수 제외 가능 여부
조세법령운용과-756
요약
상속으로 공동소유한 주택에서 일부 지분을 상속개시일 이후 법인에 양도하여 소유지분율 20% 이하 및 공시가격 3억원 이하 요건을 충족한다면, 종부세령 단서조항을 적용하여 과세 시 주택수에서 제외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상속주택   #지분양도   #종합부동산세  
1주택+분양권 소유 혼인 시 1세대1주택 비과세 특례 적용
서면-2021-법령해석재산-2139[법령해석과-3012]
요약
2021년 1월 1일 이후 취득한 분양권과 기존 1주택을 각각 소유한 배우자가 혼인하여 1세대가 된 후, 혼인일로부터 5년 이내에 혼인 이전에 소유하던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1세대1주택 비과세 특례 적용이 가능함이 국세청 유권해석으로 확인되었습니다.
#1세대1주택   #비과세특례   #분양권  
  • 알법로고
  • 로그인
부가가치세 예정신고 누락분 확정신고 반영 시 과소신고가산세 감면
기준-2021-법령해석기본-0161[법령해석과-3030]
요약
부가가치세 매출세액을 예정신고에서 누락하였으나 같은 과세기간의 확정신고에 반영하여 신고할 경우, 국세기본법 제48조제2항제1호나목에 따라 가산세액의 75%를 감면받을 수 있음이 명확히 해석되었습니다.
#부가가치세   #예정신고   #확정신고  
상속 공동소유주택 지분 법인 양도 시 주택수 제외 가능 여부
서면-2020-법령해석재산-1890[법령해석과-3043]
요약
상속을 통해 공동소유하게 된 주택의 지분 일부를 상속개시일 후 법인에 양도하여, 과세기준일 현재 소유지분율이 20% 이하이고 해당 지분의 공시가격이 3억원 이하인 경우, 종합부동산세법 시행령 제4조의2 제3항 제1호 단서 규정에 따라 주택 수에서 제외할 수 있음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상속주택   #공동소유   #지분양도  
임원 퇴직금 중도인출의 근로소득 분류와 퇴직소득 세액정산
서면-2020-법령해석소득-1919[법령해석과-3014]
요약
임원이 퇴직소득금액 산식 초과분을 근로소득으로 과세 받은 경우, 해당 금액은 퇴직소득 세액정산(소득세법 제148조)에 포함되는 퇴직소득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것으로 해석하였습니다.
#임원 퇴직금   #퇴직소득 세액정산   #근로소득 구분  
지방자치단체 담배꽁초 수거 보상비 소득구분 기준
서면-2021-소득-1953[소득세과-1227]
요약
지방자치단체가 주민에게 지급하는 담배꽁초 수거 보상비는 고용관계 여부와 활동의 지속성에 따라 근로소득, 사업소득, 기타소득 중 하나로 구분되며, 구체적 판단은 사실관계에 의해 결정됨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담배꽁초   #수거보상비   #지방자치단체  
상가임대료 인하 세액공제 기준 임대료 산정 방식
서면-2021-소득-4311[소득세과-1231]
요약
조세특례제한법 제96조의3에 따른 상가임대료 인하 세액공제는 임대료를 인하하기 직전의 임대차계약상 임대료를 기준으로 공제 적용액을 산정해야 하며, 임대차기간별 임대료가 달라도 가장 최근 계약의 임대료가 기준이 됩니다.
#상가임대료 인하   #세액공제   #임대료 산정  
주택을 근린생활시설로 용도변경 후 양도 시 장기보유특별공제 기산일
사전-2021-법령해석재산-0971[법령해석과-3044]
요약
주택을 근린생활시설로 용도변경하였다가 양도하는 경우에도 장기보유특별공제 보유기간은 건물의 최초 취득일부터 양도일까지 산정됩니다.
#주택 용도변경   #근린생활시설   #장기보유특별공제  
공동상속주택 지분 재상속 후 일반주택 양도 비과세 특례
서면-2019-법령해석재산-3032[법령해석과-3028]
요약
무주택자가 공동상속주택의 소수지분을 상속받고, 이후 나머지 지분까지 재상속받아 단독 소유하게 된 경우, 나머지 지분을 상속받은 날 현재 보유 중인 일반주택 양도시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2항이 적용되어 1세대 1주택 비과세 판단이 이루어집니다.
#공동상속주택   #지분 상속   #재상속  
내국법인 임차차량 업무전용자동차보험 가입 인정 요건
법인세제과-394
요약
내국법인이 자동차대여사업자로부터 승용차를 임차할 때, 업무전용자동차보험에 실제 가입하지 않고 계약서에 가입 예정 문구만 있는 경우에는 법인세법 시행령 기준의 가입으로 인정되지 않는다는 유권해석입니다.
#내국법인   #자동차대여   #승용차 임차  
상속주택 지분 양도 후 종부세 주택수 제외 가능 여부
조세법령운용과-756
요약
상속으로 공동소유한 주택에서 일부 지분을 상속개시일 이후 법인에 양도하여 소유지분율 20% 이하 및 공시가격 3억원 이하 요건을 충족한다면, 종부세령 단서조항을 적용하여 과세 시 주택수에서 제외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상속주택   #지분양도   #종합부동산세  
1주택+분양권 소유 혼인 시 1세대1주택 비과세 특례 적용
서면-2021-법령해석재산-2139[법령해석과-3012]
요약
2021년 1월 1일 이후 취득한 분양권과 기존 1주택을 각각 소유한 배우자가 혼인하여 1세대가 된 후, 혼인일로부터 5년 이내에 혼인 이전에 소유하던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1세대1주택 비과세 특례 적용이 가능함이 국세청 유권해석으로 확인되었습니다.
#1세대1주택   #비과세특례   #분양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