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업승계 증여세 과세특례 공동대표이사 취임 요건
서면-2017-상속증여-3066[상속증여세과-427]
요약
가업승계에 대한 증여세 과세특례는 수증자가 증여세 과세표준 신고기한까지 가업에 종사하고, 증여일부터 5년 이내 공동대표이사에 취임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가업승계
#증여세 과세특례
#공동대표이사
용역 제공 대가의 소득구분: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판단
서면-2019-소득-1558[소득세과-714]
요약
본 유권해석은 고용관계 유무에 따라 용역 제공 대가의 소득구분이 달라짐을 설명합니다.
#플래카드 설치
#건설현장 용역
#소득구분
비영리법인 미술관 공통손금 안분계산 기준
서면-2019-법인-0320[법인세과-1189]
요약
비영리내국법인이 미술관 등 고유목적사업과 수익사업(입장료, 기념품 판매)에서 발생한 공통손금은 원칙적으로 수입금액 또는 매출액 기준으로 안분계산하나, 해당 기준이 불합리할 경우 작업시간.사용시간.사용면적 등 국세청장이 정한 기준에 따라 안분계산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비영리법인
#미술관
#공통손금
민법상 조합 해산 시 PEF 지분 처분소득의 과세 구분
서면-2018-자본거래-1419[자본거래관리과-212]
요약
민법상 조합이 해산하며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PEF) 지분을 처분하여 조합원에게 지급한 소득은 양도소득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민법상 조합
#PEF 지분
#해산
재평가적립금의 처분 가능 여부 및 배당 제한
법인세제과-752[법인세제과-752]
요약
기획재정부의 유권해석에 따르면 재평가적립금은 「자산재평가법」 제28조 제2항의 예외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한 처분이 불가하며, 따라서 이를 배당의 재원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재평가적립금
#배당 재원
#처분 제한
외국법인 상표권 양도소득의 국내원천소득 해당 여부
기준-2019-법령해석국조-0319[법령해석과-1254]
요약
외국법인이 국외에 등록된 상표권을 내국법인에게 양도하여 발생하는 소득은「법인세법」제93조 제8호에 따라 국내원천소득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외국법인
#상표권 양도
#국내원천소득
성실공익법인의 주식배당 취득과 증여세 과세여부
재산세제과-588
요약
성실공익법인이 주식배당으로 내국법인 주식을 10% 초과 보유하게 되더라도, 주식배당은 '취득'에 해당하지 않아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8조 제2항 제2호에 따른 증여세를 과세할 수 없다고 판단됩니다.
#성실공익법인
#주식배당
#지분 초과
외부수탁 연구과제 연구비의 소득구분 판단기준
서면-2019-소득-1420[소득세과-678]
요약
외부수탁 연구과제의 연구비를 연구원이 수령할 때 고용관계에 직접 관련하여 지급된다면 근로소득으로, 고용관계와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연구를 수행해 받은 경우에는 기타소득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외부수탁
#연구과제
#연구비 소득구분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 대표성 판단 유권해석
조세법령운용과-587
요약
기획재정부의 유권해석에 따르면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의 회장 또는 관리사무소장은 법인 아닌 단체의 대표자 또는 관리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
#관리사무소장
#대표자
내국법인 본점 소재지 불일치 시 납세지 지정 기준
기준-2019-법령해석법인-0338[법령해석과-1193]
요약
국세청장은 내국법인의 본점 소재지가 등기부상 주소와 실제 불일치하는 경우, 납세지 지정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법인세법 관련 규정에 따라 등기부상 본점소재지와 무관하게 법인 납세지를 별도로 지정할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내국법인
#본점 주소
#본점 소재지 불일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