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위험성평가 착수 기준과 유해 위험요인 파악 단계
고용노동부 2025. 7. 30.
요약
사업주는 사업 성립 후 1개월 이내 최초 위험성평가에 착수해야 하며, 위험성평가 실시규정 작성 등 사전준비만으로는 착수로 볼 수 없습니다.
#위험성평가
#최초 착수
#사업장 순회점검
최초 위험성평가 후 정기평가 시기의 산정 기준
고용노동부 2025. 7. 30.
요약
정기 위험성평가는 최초 평가를 실시한 다음 날로부터 1년이 되는 날까지 실시해야 하며, 최초 평가일의 기준은 대부분 유해위험요인에 대한 위험성 결정과 위험성 감소대책이 수립된 날로 본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위험성평가
#정기평가
#최초평가
세무사업 필요경비 범위: 자문료·상담료·의료비 불산입
서면-2025-소득-1027[소득세과-1566]
요약
세무사업자가 업무방해나 사생활침해 등 사건과 관련하여 지인에게 지급한 자문료, 역술인 상담료, 본인의 병원 입원비 및 치료비는 총수입금액에 대응하는 일반적으로 용인되는 통상적인 비용이 아니므로 소득세법상 필요경비에 산입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세무사업
#필요경비
#자문료
기초·광역단체의원 의정활동비 소득세 비과세 여부
서면-2025-원천-2210
요약
기초 및 광역단체의원이 의정자료 수집.연구활동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보전받기 위해 지급받는 의정활동비는 소득세 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됩니다.
#의정활동비
#소득세 비과세
#국세청 유권해석
퇴직 후 초빙교수 직무발명보상금의 소득구분
서면-2024-원천-4643
요약
교육기관 전임직 교원이 정년퇴직 후 동일 대학에서 비전임직 초빙교수로 근무하며 퇴직 전 직무발명 관련 보상금을 받는 경우, 해당 직무발명보상금은 근로소득으로 구분된다고 판단됩니다.
#직무발명보상금
#초빙교수
#전임직 교원
동거봉양 합가 시 상속주택 1세대1주택 특례 적용
사전-2025-법규재산-0610
요약
상속인(자)와 피상속인(모)이 상속 개시 당시 1세대였고, 동거봉양을 위해 다시 세대를 합쳐 2주택이 된 경우에 한해 세대 합치기 이전부터 보유하고 있던 주택을 상속주택으로 보고 1세대1주택 비과세 특례를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동거봉양
#상속주택
#1세대1주택
생활화학제품 표시광고 문구 사용 제한 관련 유권해석
환경부 2025. 7. 28.
요약
환경부는 생활화학제품의 제조.수입 시 '안심', '유해물질 없음' 등 특정 문구의 표시광고를 관련 법령에 따라 제한하고 있다고 안내하였습니다.
#생활화학제품
#표시광고
#광고문구
포획 생태계교란 생물(배스) 처리 절차와 폐기물 규정
환경부 2025. 7. 28.
요약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된 배스를 포획한 경우에는 해당 개체를 다시 방출.방생하거나 이식.유기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배스 처리
#생태계교란 생물
#포획 생물 처리
생태자연도 등급 변경 시 개발사업 적용 시점
환경부 2025. 7. 28.
요약
환경영향평가협의회 심의 완료 후 사업부지 생태.자연도 등급이 변경된 경우, 고시일 이전에 환경영향평가서(준비서 포함)가 제출되었다면 종전 고시의 생태.자연도 등급이 적용된다고 판단됩니다.
#생태자연도
#환경영향평가
#등급 변경
환경표지 인증제도 및 대상제품 선정 기준 안내
환경부 2025. 7. 28.
요약
환경표지 인증제도는 동일 용도의 제품 중 환경성이 우수한 제품에 임의인증을 부여하는 제도입니다.
#환경표지
#인증제도
#환경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