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법인세법 시행령 개정에 따른 금형 내용연수 적용 기준

서면-2023-법인-3455  ·  2024. 02. 06.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2020년 1월 1일 이전에 취득하여 기준내용연수를 적용한 금형에 대해 법인세법 시행령 개정 이후 어떤 내용연수를 적용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S요약

2020년 2월 11일 법인세법 시행령 개정으로 공구의 범위에서 금형이 제외됨에 따라, 2020년 1월 1일 이후 개시하는 사업연도부터는 금형의 내용연수를 시행규칙 별표6 기준으로 적용합니다. 단, 2019년 12월 31일 이전에 기준내용연수를 적용한 금형은 종전의 기준내용연수를 계속 적용할 수 있습니다.
#법인세 #감가상각 #금형 #내용연수 #별표6 #별표5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서면-2023-법인-3455  ·  2024. 02. 06.

  • 국세청 서면-2023-법인-3455(2024-02-06) 회신에 따르면, 2020년 2월 11일 법인세법 시행령 제31조 제6항 제2호 개정에 따라 공구의 범위에서 금형이 제외되었습니다.
  • 2020년 1월 1일 이후 개시하는 사업연도부터는 법인세법 시행규칙 별표6의 내용연수 범위를 적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 다만, 2019년 12월 31일 이전 개시 사업연도에 종전 규정에 따라 기준내용연수를 적용한 금형에 대해서는 개정 시행령 시행 후에도 당초 적용하고 있던 기준내용연수(신고내용연수)를 계속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즉, 시행령 개정 전 취득 및 내용연수를 적용한 금형은 변경 없이 그대로 유지 가능하지만, 2020년 1월 1일 이후 사업연도에 신규로 적용되는 금형은 별표6 기준으로 적용해야 합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법인세법 시행령 제31조(즉시상각의 의제): 2020.2.11. 개정으로 공구의 범위에서 금형이 제외됨
  • 법인세법 시행규칙 제15조 제3항: 별표5 및 별표6을 통한 내용연수 범위 규정
  • 법인세법 시행령 제28조(내용연수와 상각률): 감가상각자산의 내용연수는 구조·자산·업종별 기준내용연수 및 선택 가능한 내용연수범위에 따라 결정
  • 부칙 대통령령 제30396호(2020.2.11. 개정): 개정 시행령은 2020년 1월 1일 이후 개시하는 사업연도부터 적용
사례 Q&A
1. 2020년 1월 1일 이전에 취득한 금형의 내용연수는 어떻게 되나요?
답변
2020년 1월 1일 이전 취득하여 기준내용연수를 적용한 금형은 기존 기준내용연수를 계속 적용할 수 있습니다.
근거
국세청 서면-2023-법인-3455 회신 및 법인세법 시행령 부칙에 따라 2019년 12월 31일 이전 사업연도에 적용한 내용연수는 개정 이후에도 유지됩니다.
2. 2020년 이후 취득한 금형의 감가상각 내용연수 기준은?
답변
2020년 1월 1일 이후 사업연도부터는 금형에 대해 법인세법 시행규칙 별표6의 업종별 내용연수 범위를 적용해야 합니다.
근거
법인세법 시행령 제31조 및 시행규칙 제15조 제3항의 별표6 규정이 적용됩니다.
3. 법인세법 시행령 개정 전후 금형의 감가상각 기준에 차이가 있나요?
답변
네, 2020년 개정 전에는 금형이 공구에 포함되어 별표5 기준 적용이 가능했으나, 개정 후에는 별표6 기준으로 변경됩니다.
근거
법인세법 시행령 제31조 개정에 따라 금형이 공구에서 제외되어 내용연수 적용 기준이 달라졌습니다.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요지

2020.2.11. 대통령령 제30396호로 「법인세법 시행령」 제31조 제6항 제2호가 개정(이하 ⁠“개정 시행령”이라 한다)됨에 따라 공구의 범위에서 금형이 제외되었으며, 금형의 내용연수를 적용함에 있어 개정 시행령이 적용되는 2020년 1월 1일 이후 개시하는 사업연도부터는 같은 법 시행규칙 제15조 제3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별표6】의 내용연수 범위를 적용하는 것임

회신

2020.2.11. 대통령령 제30396호로 「법인세법 시행령」 제31조 제6항 제2호가 개정(이하 ⁠“개정 시행령”이라 한다)됨에 따라 공구의 범위에서 금형이 제외되었으며, 금형의 내용연수를 적용함에 있어 개정 시행령이 적용되는 2020년 1월 1일 이후 개시하는 사업연도부터는 같은 법 시행규칙 제15조 제3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별표6】의 내용연수 범위를 적용하는 것입니다.다만, 개정 시행령 시행 전(2019년 12월 31일 이전에 개시하는 사업연도)에 종전의 규정에 따라 기준내용연수(내용연수를 신고한 경우 신고내용연수)를 적용한 경우에는 개정 시행령 시행 이후에도 당초 적용하고 있는 기준내용연수(신고내용연수)를 적용하는 것입니다.

1. 사실관계

 ○ 주식회사 A법인(이하 ⁠‘질의 법인’)은 제조업을 영위하는 법인으로, 제품생산에 사용하는 금형을 공구범위에 포함하여【별표5】구분1에 따라 5년의 기준내용연수를 적용하여 감가상각함

 ○’20.2.11. 법인세법 시행령 제31조 제6항 제2호(이하 ⁠‘쟁점 규정’)가 개정되어 즉시상각 적용자산에서 금형이 제외됨

 ❙ 즉시상각의제 대상자산 규정, 법인령§31⑥(2) ❙

개정 전

개정 후

영화필름, 공구(금형을 포함한다), 가구, 전기기구, 가스기기, 가정용 기구ㆍ비품, 시계, 시험기기, 측정기기 및 간판

영화필름, 공구, 가구, 전기기구, 가스기기, 가정용 기구ㆍ비품, 시계, 시험기기, 측정기기 및 간판

2. 질의내용

 ○ 「법인세법」 시행령 제31조 제6항 제2호의 개정 시행일(’20.1.1.) 전에 취득하여 기준내용연수를 적용한 금형은 어떤 내용연수를 적용해야하는지

 ○(갑설)개정 전 기준내용연수 적용 ☞【별표5】적용*

   * 기존 해석례 ⁠(기재부 법인세제과-352, 2023.06.22.)

 ○(을설)개정 후 기준내용연수 적용 ☞【별표6】적용

 ❙ 기준내용연수 및 내용연수 범위표, 법인칙§15③ ❙

구 분

적용대상

내 용

비 고

【별표 5】

공구, 기구 및 비품, 건축물 등

자산종류 또는 건축물 구조별로 내용연수 규정

【별표 6】

업종별 자산

업종별로

내용연수 규정

【별표 5】의 적용을 받는 자산을 제외한 모든 감가상각자산에 대하여 적용

3. 관련법령

법인세법 제23조【감가상각비의 손금불산입】

①내국법인이 각 사업연도의 결산을 확정할 때 토지를 제외한 건물, 기계 및 장치, 특허권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유형자산 및 무형자산(이하 이 조에서 "감가상각자산"이라 한다)에 대한 감가상각비를 손비로 계상한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계산한 금액(이하 이 조에서 "상각범위액"이라 한다)의 범위에서 그 계상한 감가상각비를 해당 사업연도의 소득금액을 계산할 때 손금에 산입하고, 그 계상한 금액 중 상각범위액을 초과하는 금액은 손금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법인세법 시행령 제28조【내용연수와 상각률】

 ①감가상각자산의 내용연수와 해당 내용연수에 따른 상각률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다.

  2.제1호 외의 감가상각자산(제24조 제1항 제2호 바목부터 자목까지의 규정에 따른 무형자산은 제외한다): 구조 또는 자산별ㆍ업종별로 기준내용연수에 그 기준내용연수의 100분의 25를 가감하여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내용연수범위(이하 "내용연수범위"라 한다) 안에서 법인이 선택하여 납세지 관할 세무서장에게 신고한 내용연수(이하 "신고내용연수"라 한다)와 그에 따른 상각률. 다만, 제3항 각 호의 신고기한 내에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준내용연수와 그에 따른 상각률로 한다.

 ④법인이 제1항제2호 및 제6항에 따라 자산별・업종별로 적용한 신고내용연수 또는 기준내용연수는 그 후의 사업연도에 있어서도 계속하여 그 내용연수를 적용하여야한다.

법인세법 시행령 제31조【즉시상각의 의제】

   * 대통령령 제30396호(2020.2.11.)로 개정되기 전의 것

 ④ 취득가액이 거래단위별로 100만원 이하인 감가상각자산(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산은 제외한다)에 대해서는 그 사업에 사용한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손비로 계상한 것에 한정하여 손금에 산입한다.

  1. 그 고유업무의 성질상 대량으로 보유하는 자산

  2. 그 사업의 개시 또는 확장을 위하여 취득한 자산

 ⑥제4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자산에 대해서는 이를 그 사업에 사용한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손비로 계상한 것에 한정하여 손금에 산입한다.

  2.영화필름, 공구(금형을 포함한다), 가구, 전기기구, 가스기기, 가정용 기구ㆍ비품, 시계, 시험기기, 측정기기 및 간판

법인세법 시행령 제31조【즉시상각의 의제】

   * 대통령령 제30396호(2020.2.11.)로 개정된 것

 ⑥ 제4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자산에 대해서는 이를 그 사업에 사용한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손비로 계상한 것에 한정하여 손금에 산입한다.

  2.영화필름, 공구, 가구, 전기기구, 가스기기, 가정용 기구ㆍ비품, 시계, 시험기기, 측정기기 및 간판

 ※부칙 ⁠[대통령령 제30396호, 2020.2.11. 개정]
제2조 ⁠(일반적 적용례) 이 영은 2020년 1월 1일 이후 개시하는 사업연도분부터 적용한다.

법인세법 시행령 제28조【내용연수와 상각률】

 ①감가상각자산의 내용연수와 해당 내용연수에 따른 상각률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다.

  2.제1호 외의 감가상각자산(제24조 제1항 제2호 바목부터 자목까지의 규정에 따른 무형자산은 제외한다): 구조 또는 자산별ㆍ업종별로 기준내용연수에 그 기준내용연수의 100분의 25를 가감하여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내용연수범위(이하 "내용연수범위"라 한다) 안에서 법인이 선택하여 납세지 관할 세무서장에게 신고한 내용연수(이하 "신고내용연수"라 한다)와 그에 따른 상각률. 다만, 제3항 각 호의 신고기한 내에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준내용연수와 그에 따른 상각률로 한다.

법인세법 시행규칙 제15조【내용연수와 상각률】

 ③영 제28조 제1항 제2호에서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내용연수범위"란 별표5 및 별표6에 규정된 내용연수범위를 말한다.

법인세법 시행규칙 [별표5]

건축물 등의 기준내용연수 및 내용연수범위표(제15조제3항 관련)

구분

기준내용연수 및 내용 연수범위(하한-상한)

구조 또는 자산명

1

5년

(4년~6년)

차량 및 운반구[운수업, 임대업(부동산 제외)에 사용되는 차량 및 운반구를 제외], 공구, 기구 및 비품

2

12년

(9년~15년)

선박 및 항공기[어업, 운수업, 임대업(부동산 제외)에 사용되는 선박 및 항공기를 제외한다]

3

20년

(15년~25년)

연와조, 블록조, 콘크리트조, 토조, 토벽조, 목조, 목골모르타르조, 기타 조의 모든 건물(부속설비를 포함)과 구축물

4

40년

(30년~50년)

철골ㆍ철근콘크리트조, 철근콘크리트조, 석조, 연와석조, 철골조의 모든 건물(부속설비를 포함)과 구축물

법인세법 시행규칙 [별표6] ⁠(일부 업종만 기재)

업종별자산의 기준내용연수 및 내용연수 범위표(제15조제3항 관련)

구분

기준내용연수 및 내용연수범위

(하한~상한)

적용대상자산(다음에 규정된 한국표준

산업분류상 해당업종에 사용되는 자산)

대분류

중분류

1

4년

(3년~5년)

제조업

15. 가죽, 가방 및 신발제조업. 다만, 원피가공 및 가죽제조업(1511)은 구분 4(6년∼10년)를 적용한다.

2

5년

(4년~6년)

제조업

18. 인쇄 및 기록매체복제업

21.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3

6년

(5년~7년)

제조업

26.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다만, 마그네틱 및 광학 매체 제조업(2660)은 구분 4(6년∼10년)를 적용하고, 전자코일, 변성기 및 기타 전자유도자 제조업(26294) 및 유선 통신장비 제조업(26410) 중 중앙통제실 송신용 침입 및 화재경보 시스템 제조는 구분 5(8년~12년)를 적용한다.

4

8년

(6년~10년)

제조업

14.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다만, 편조의복 제조업(143) 및 편조의복 액세서리 제조업(1441)은 구분 5(8년~12년)를 적용한다.

3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5

10년

(8년~12년)

제조업

11. 음료 제조업

22.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6

12년

(9년~15년)

제조업

30.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7

14년

(11년~17년)

제조업

19.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다만, 코크스 및 연탄 제조업(1910) 중 연탄, 갈탄ㆍ토탄의 응집 유ㆍ무연탄 및 기타 유ㆍ무연탄 제조는 구분 2(4년~6년)를 적용한다.

비고

 1. 이 표는 별표3이나 별표5의 적용을 받는 자산을 제외한 모든 감가상각자산에 대하여 적용한다.

출처 : 국세청 2024. 02. 06. 서면-2023-법인-3455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유권해석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법인세법 시행령 개정에 따른 금형 내용연수 적용 기준

서면-2023-법인-3455  ·  2024. 02. 06.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2020년 1월 1일 이전에 취득하여 기준내용연수를 적용한 금형에 대해 법인세법 시행령 개정 이후 어떤 내용연수를 적용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S요약

2020년 2월 11일 법인세법 시행령 개정으로 공구의 범위에서 금형이 제외됨에 따라, 2020년 1월 1일 이후 개시하는 사업연도부터는 금형의 내용연수를 시행규칙 별표6 기준으로 적용합니다. 단, 2019년 12월 31일 이전에 기준내용연수를 적용한 금형은 종전의 기준내용연수를 계속 적용할 수 있습니다.
#법인세 #감가상각 #금형 #내용연수 #별표6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서면-2023-법인-3455  ·  2024. 02. 06.

  • 국세청 서면-2023-법인-3455(2024-02-06) 회신에 따르면, 2020년 2월 11일 법인세법 시행령 제31조 제6항 제2호 개정에 따라 공구의 범위에서 금형이 제외되었습니다.
  • 2020년 1월 1일 이후 개시하는 사업연도부터는 법인세법 시행규칙 별표6의 내용연수 범위를 적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 다만, 2019년 12월 31일 이전 개시 사업연도에 종전 규정에 따라 기준내용연수를 적용한 금형에 대해서는 개정 시행령 시행 후에도 당초 적용하고 있던 기준내용연수(신고내용연수)를 계속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즉, 시행령 개정 전 취득 및 내용연수를 적용한 금형은 변경 없이 그대로 유지 가능하지만, 2020년 1월 1일 이후 사업연도에 신규로 적용되는 금형은 별표6 기준으로 적용해야 합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법인세법 시행령 제31조(즉시상각의 의제): 2020.2.11. 개정으로 공구의 범위에서 금형이 제외됨
  • 법인세법 시행규칙 제15조 제3항: 별표5 및 별표6을 통한 내용연수 범위 규정
  • 법인세법 시행령 제28조(내용연수와 상각률): 감가상각자산의 내용연수는 구조·자산·업종별 기준내용연수 및 선택 가능한 내용연수범위에 따라 결정
  • 부칙 대통령령 제30396호(2020.2.11. 개정): 개정 시행령은 2020년 1월 1일 이후 개시하는 사업연도부터 적용
사례 Q&A
1. 2020년 1월 1일 이전에 취득한 금형의 내용연수는 어떻게 되나요?
답변
2020년 1월 1일 이전 취득하여 기준내용연수를 적용한 금형은 기존 기준내용연수를 계속 적용할 수 있습니다.
근거
국세청 서면-2023-법인-3455 회신 및 법인세법 시행령 부칙에 따라 2019년 12월 31일 이전 사업연도에 적용한 내용연수는 개정 이후에도 유지됩니다.
2. 2020년 이후 취득한 금형의 감가상각 내용연수 기준은?
답변
2020년 1월 1일 이후 사업연도부터는 금형에 대해 법인세법 시행규칙 별표6의 업종별 내용연수 범위를 적용해야 합니다.
근거
법인세법 시행령 제31조 및 시행규칙 제15조 제3항의 별표6 규정이 적용됩니다.
3. 법인세법 시행령 개정 전후 금형의 감가상각 기준에 차이가 있나요?
답변
네, 2020년 개정 전에는 금형이 공구에 포함되어 별표5 기준 적용이 가능했으나, 개정 후에는 별표6 기준으로 변경됩니다.
근거
법인세법 시행령 제31조 개정에 따라 금형이 공구에서 제외되어 내용연수 적용 기준이 달라졌습니다.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요지

2020.2.11. 대통령령 제30396호로 「법인세법 시행령」 제31조 제6항 제2호가 개정(이하 ⁠“개정 시행령”이라 한다)됨에 따라 공구의 범위에서 금형이 제외되었으며, 금형의 내용연수를 적용함에 있어 개정 시행령이 적용되는 2020년 1월 1일 이후 개시하는 사업연도부터는 같은 법 시행규칙 제15조 제3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별표6】의 내용연수 범위를 적용하는 것임

회신

2020.2.11. 대통령령 제30396호로 「법인세법 시행령」 제31조 제6항 제2호가 개정(이하 ⁠“개정 시행령”이라 한다)됨에 따라 공구의 범위에서 금형이 제외되었으며, 금형의 내용연수를 적용함에 있어 개정 시행령이 적용되는 2020년 1월 1일 이후 개시하는 사업연도부터는 같은 법 시행규칙 제15조 제3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별표6】의 내용연수 범위를 적용하는 것입니다.다만, 개정 시행령 시행 전(2019년 12월 31일 이전에 개시하는 사업연도)에 종전의 규정에 따라 기준내용연수(내용연수를 신고한 경우 신고내용연수)를 적용한 경우에는 개정 시행령 시행 이후에도 당초 적용하고 있는 기준내용연수(신고내용연수)를 적용하는 것입니다.

1. 사실관계

 ○ 주식회사 A법인(이하 ⁠‘질의 법인’)은 제조업을 영위하는 법인으로, 제품생산에 사용하는 금형을 공구범위에 포함하여【별표5】구분1에 따라 5년의 기준내용연수를 적용하여 감가상각함

 ○’20.2.11. 법인세법 시행령 제31조 제6항 제2호(이하 ⁠‘쟁점 규정’)가 개정되어 즉시상각 적용자산에서 금형이 제외됨

 ❙ 즉시상각의제 대상자산 규정, 법인령§31⑥(2) ❙

개정 전

개정 후

영화필름, 공구(금형을 포함한다), 가구, 전기기구, 가스기기, 가정용 기구ㆍ비품, 시계, 시험기기, 측정기기 및 간판

영화필름, 공구, 가구, 전기기구, 가스기기, 가정용 기구ㆍ비품, 시계, 시험기기, 측정기기 및 간판

2. 질의내용

 ○ 「법인세법」 시행령 제31조 제6항 제2호의 개정 시행일(’20.1.1.) 전에 취득하여 기준내용연수를 적용한 금형은 어떤 내용연수를 적용해야하는지

 ○(갑설)개정 전 기준내용연수 적용 ☞【별표5】적용*

   * 기존 해석례 ⁠(기재부 법인세제과-352, 2023.06.22.)

 ○(을설)개정 후 기준내용연수 적용 ☞【별표6】적용

 ❙ 기준내용연수 및 내용연수 범위표, 법인칙§15③ ❙

구 분

적용대상

내 용

비 고

【별표 5】

공구, 기구 및 비품, 건축물 등

자산종류 또는 건축물 구조별로 내용연수 규정

【별표 6】

업종별 자산

업종별로

내용연수 규정

【별표 5】의 적용을 받는 자산을 제외한 모든 감가상각자산에 대하여 적용

3. 관련법령

법인세법 제23조【감가상각비의 손금불산입】

①내국법인이 각 사업연도의 결산을 확정할 때 토지를 제외한 건물, 기계 및 장치, 특허권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유형자산 및 무형자산(이하 이 조에서 "감가상각자산"이라 한다)에 대한 감가상각비를 손비로 계상한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계산한 금액(이하 이 조에서 "상각범위액"이라 한다)의 범위에서 그 계상한 감가상각비를 해당 사업연도의 소득금액을 계산할 때 손금에 산입하고, 그 계상한 금액 중 상각범위액을 초과하는 금액은 손금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법인세법 시행령 제28조【내용연수와 상각률】

 ①감가상각자산의 내용연수와 해당 내용연수에 따른 상각률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다.

  2.제1호 외의 감가상각자산(제24조 제1항 제2호 바목부터 자목까지의 규정에 따른 무형자산은 제외한다): 구조 또는 자산별ㆍ업종별로 기준내용연수에 그 기준내용연수의 100분의 25를 가감하여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내용연수범위(이하 "내용연수범위"라 한다) 안에서 법인이 선택하여 납세지 관할 세무서장에게 신고한 내용연수(이하 "신고내용연수"라 한다)와 그에 따른 상각률. 다만, 제3항 각 호의 신고기한 내에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준내용연수와 그에 따른 상각률로 한다.

 ④법인이 제1항제2호 및 제6항에 따라 자산별・업종별로 적용한 신고내용연수 또는 기준내용연수는 그 후의 사업연도에 있어서도 계속하여 그 내용연수를 적용하여야한다.

법인세법 시행령 제31조【즉시상각의 의제】

   * 대통령령 제30396호(2020.2.11.)로 개정되기 전의 것

 ④ 취득가액이 거래단위별로 100만원 이하인 감가상각자산(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산은 제외한다)에 대해서는 그 사업에 사용한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손비로 계상한 것에 한정하여 손금에 산입한다.

  1. 그 고유업무의 성질상 대량으로 보유하는 자산

  2. 그 사업의 개시 또는 확장을 위하여 취득한 자산

 ⑥제4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자산에 대해서는 이를 그 사업에 사용한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손비로 계상한 것에 한정하여 손금에 산입한다.

  2.영화필름, 공구(금형을 포함한다), 가구, 전기기구, 가스기기, 가정용 기구ㆍ비품, 시계, 시험기기, 측정기기 및 간판

법인세법 시행령 제31조【즉시상각의 의제】

   * 대통령령 제30396호(2020.2.11.)로 개정된 것

 ⑥ 제4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자산에 대해서는 이를 그 사업에 사용한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손비로 계상한 것에 한정하여 손금에 산입한다.

  2.영화필름, 공구, 가구, 전기기구, 가스기기, 가정용 기구ㆍ비품, 시계, 시험기기, 측정기기 및 간판

 ※부칙 ⁠[대통령령 제30396호, 2020.2.11. 개정]
제2조 ⁠(일반적 적용례) 이 영은 2020년 1월 1일 이후 개시하는 사업연도분부터 적용한다.

법인세법 시행령 제28조【내용연수와 상각률】

 ①감가상각자산의 내용연수와 해당 내용연수에 따른 상각률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다.

  2.제1호 외의 감가상각자산(제24조 제1항 제2호 바목부터 자목까지의 규정에 따른 무형자산은 제외한다): 구조 또는 자산별ㆍ업종별로 기준내용연수에 그 기준내용연수의 100분의 25를 가감하여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내용연수범위(이하 "내용연수범위"라 한다) 안에서 법인이 선택하여 납세지 관할 세무서장에게 신고한 내용연수(이하 "신고내용연수"라 한다)와 그에 따른 상각률. 다만, 제3항 각 호의 신고기한 내에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준내용연수와 그에 따른 상각률로 한다.

법인세법 시행규칙 제15조【내용연수와 상각률】

 ③영 제28조 제1항 제2호에서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내용연수범위"란 별표5 및 별표6에 규정된 내용연수범위를 말한다.

법인세법 시행규칙 [별표5]

건축물 등의 기준내용연수 및 내용연수범위표(제15조제3항 관련)

구분

기준내용연수 및 내용 연수범위(하한-상한)

구조 또는 자산명

1

5년

(4년~6년)

차량 및 운반구[운수업, 임대업(부동산 제외)에 사용되는 차량 및 운반구를 제외], 공구, 기구 및 비품

2

12년

(9년~15년)

선박 및 항공기[어업, 운수업, 임대업(부동산 제외)에 사용되는 선박 및 항공기를 제외한다]

3

20년

(15년~25년)

연와조, 블록조, 콘크리트조, 토조, 토벽조, 목조, 목골모르타르조, 기타 조의 모든 건물(부속설비를 포함)과 구축물

4

40년

(30년~50년)

철골ㆍ철근콘크리트조, 철근콘크리트조, 석조, 연와석조, 철골조의 모든 건물(부속설비를 포함)과 구축물

법인세법 시행규칙 [별표6] ⁠(일부 업종만 기재)

업종별자산의 기준내용연수 및 내용연수 범위표(제15조제3항 관련)

구분

기준내용연수 및 내용연수범위

(하한~상한)

적용대상자산(다음에 규정된 한국표준

산업분류상 해당업종에 사용되는 자산)

대분류

중분류

1

4년

(3년~5년)

제조업

15. 가죽, 가방 및 신발제조업. 다만, 원피가공 및 가죽제조업(1511)은 구분 4(6년∼10년)를 적용한다.

2

5년

(4년~6년)

제조업

18. 인쇄 및 기록매체복제업

21.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3

6년

(5년~7년)

제조업

26.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다만, 마그네틱 및 광학 매체 제조업(2660)은 구분 4(6년∼10년)를 적용하고, 전자코일, 변성기 및 기타 전자유도자 제조업(26294) 및 유선 통신장비 제조업(26410) 중 중앙통제실 송신용 침입 및 화재경보 시스템 제조는 구분 5(8년~12년)를 적용한다.

4

8년

(6년~10년)

제조업

14.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다만, 편조의복 제조업(143) 및 편조의복 액세서리 제조업(1441)은 구분 5(8년~12년)를 적용한다.

3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5

10년

(8년~12년)

제조업

11. 음료 제조업

22.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6

12년

(9년~15년)

제조업

30.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7

14년

(11년~17년)

제조업

19.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다만, 코크스 및 연탄 제조업(1910) 중 연탄, 갈탄ㆍ토탄의 응집 유ㆍ무연탄 및 기타 유ㆍ무연탄 제조는 구분 2(4년~6년)를 적용한다.

비고

 1. 이 표는 별표3이나 별표5의 적용을 받는 자산을 제외한 모든 감가상각자산에 대하여 적용한다.

출처 : 국세청 2024. 02. 06. 서면-2023-법인-3455 | 국세법령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