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오피스텔 사실상 주거 사용 시 1세대 2주택 과세 인정

서울고등법원2024누48376
판결 요약
양도 시점을 기준으로 오피스텔의 실제 사용이 주거에 해당하면 주택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1세대 2주택 양도소득세 중과도 적법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주민등록번호로 임차인을 신고하고 사업자 등록이 없는 등 실질적 주거 사용 정황을 주요 판단 근거로 삼았습니다.
#오피스텔 #주거용 오피스텔 #1세대 2주택 #양도소득세 #실사용
질의 응답
1. 오피스텔을 주거용으로 사용하면 1세대 2주택에 포함되나요?
답변
오피스텔이 실제로 주거 목적으로 사용된 경우에는 주택으로 인정되어 1세대 2주택 양도소득세 과세에 포함됩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 2024누48376 판결은 양도 시점 오피스텔의 용도가 사실상 주거에 제공되고 있었고, 임차인 대부분이 사업자가 아니라 개인이었음을 근거로 주택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습니다.
2. 과세관청이 오피스텔을 주택으로 보아 양도소득세를 부과한 근거는 무엇인가요?
답변
오피스텔 임차인 대부분이 사업자가 아니고, 주민등록번호로 임차인을 신고하는 등 실질적으로 주거로 사용되어 주택에 해당한다고 본 점이 근거입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 2024누48376 판결은 실제 신고된 임차인이 사업자등록 없이 거주했고, 전입신고 제한 등도 종합적으로 참작하여 오피스텔을 주택으로 판단하였다고 설시하였습니다.
3. 오피스텔이 주택으로 인정되는 판단 기준은 무엇인가요?
답변
양도 시점의 실제 사용 용도가 주거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주로 임차인 정보(주민등록번호, 실제 거주 여부)가 주요 판단 기준이 됩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 2024누48376 판결은 오피스텔의 실제 주거에 제공된 정황이 법적으로 주택 인정 여부의 기준임을 명시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요지

양도시점을 기준으로 오피스텔의 실제 용도가 사실상 주거에 공하는 주택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고, 오피스텔이 주택에 해당함을 전제로 1세대 2주택으로 본 과세처분은 적법함

판결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상세내용

사 건 2024누48376 양도소득세부과처분취소

원고, 항소인 ○○

피고, 피항소인 ○○세무서장

제 1 심 판 결 서울행정법원 2024. 6. 19. 선고 2023구단68039 판결

변 론 종 결 2024. 11. 28.

판 결 선 고 2025. 2. 6.

주 문

1. 원고의 항소를 기각한다.

2. 항소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청구취지 및 항소취지

제1심판결을 취소한다. 피고가 2022. 9. 7. 원고에 대하여 한 2019년도분 양도소득세 472,951,230원의 부과처분을 취소한다.

  이 유

1. 제1심판결의 인용

원고가 이 법원에서 주장하는 사유는 제1심에서 주장한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고, 제1심에 제출된 증거를 원고의 주장과 함께 다시 살펴보더라도 제1심의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하다고 인정된다.

이에 이 법원이 이 사건에 관하여 설시할 이유는, 아래와 같이 제1심판결의 해당 부분을 고치거나 추가하는 것 이외에는 제1심판결의 이유 부분 기재와 같으므로,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 민사소송법 제420조 본문에 의하여 이를 그대로 인용한다.

[고치거나 추가하는 부분]

○ 2면 10행의 ⁠‘274,951,230원’을 ⁠‘472,951,230원’으로 고친다.

○ 3면 13행의 ⁠‘갑 제8호증’을 ⁠‘갑 제5, 8호증’으로 고친다.

○ 4면 9행의 ⁠‘임차한’을 ⁠‘임대한’으로 고친다.

○ 4면 17행의 ⁠‘뒷받침한다.’를 아래와 같이 고친다.

「뒷받침한다(정○○은 2012년 이 사건 오피스텔을 분양받아 2012. 2. 29. 임대업으로 사업자등록을 한 이래 8년 동안 신고한 부가가치세 부동산임대공급가액명세서의 임차인란에는 사업자번호가 아닌 주민등록번호가 기재되어 있고, 그 임차인들 중 사업자등록을 한 경우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 5면 상단 표 비고란에 ⁠‘2021. 5. 31.’을 ⁠‘2019. 5. 31.‘로 고친다.

○ 5면 상단 표 아래 4행 다음에 아래 부분을 추가한다.

「한편 고○○은 과세예고통지 전 ○○세무서 공무원과의 통화에서 ⁠‘임대인이 전입신고를 못하게 해 어쩔 수 없이 주소지를 경상북도 ○○시 ○○면으로 등록하고 전세권을 설정한 것이며, 본인은 근로소득자’라고 진술하기도 하였다.」

2. 결론

그렇다면 원고의 청구는 이유 없어 이를 기각하여야 한다. 제1심판결은 이와 결론을 같이하여 정당하므로 원고의 항소는 이유 없어 이를 기각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출처 : 서울고등법원 2025. 02. 06. 선고 서울고등법원2024누48376 판결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판례 검색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오피스텔 사실상 주거 사용 시 1세대 2주택 과세 인정

서울고등법원2024누48376
판결 요약
양도 시점을 기준으로 오피스텔의 실제 사용이 주거에 해당하면 주택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1세대 2주택 양도소득세 중과도 적법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주민등록번호로 임차인을 신고하고 사업자 등록이 없는 등 실질적 주거 사용 정황을 주요 판단 근거로 삼았습니다.
#오피스텔 #주거용 오피스텔 #1세대 2주택 #양도소득세 #실사용
질의 응답
1. 오피스텔을 주거용으로 사용하면 1세대 2주택에 포함되나요?
답변
오피스텔이 실제로 주거 목적으로 사용된 경우에는 주택으로 인정되어 1세대 2주택 양도소득세 과세에 포함됩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 2024누48376 판결은 양도 시점 오피스텔의 용도가 사실상 주거에 제공되고 있었고, 임차인 대부분이 사업자가 아니라 개인이었음을 근거로 주택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습니다.
2. 과세관청이 오피스텔을 주택으로 보아 양도소득세를 부과한 근거는 무엇인가요?
답변
오피스텔 임차인 대부분이 사업자가 아니고, 주민등록번호로 임차인을 신고하는 등 실질적으로 주거로 사용되어 주택에 해당한다고 본 점이 근거입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 2024누48376 판결은 실제 신고된 임차인이 사업자등록 없이 거주했고, 전입신고 제한 등도 종합적으로 참작하여 오피스텔을 주택으로 판단하였다고 설시하였습니다.
3. 오피스텔이 주택으로 인정되는 판단 기준은 무엇인가요?
답변
양도 시점의 실제 사용 용도가 주거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주로 임차인 정보(주민등록번호, 실제 거주 여부)가 주요 판단 기준이 됩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 2024누48376 판결은 오피스텔의 실제 주거에 제공된 정황이 법적으로 주택 인정 여부의 기준임을 명시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요지

양도시점을 기준으로 오피스텔의 실제 용도가 사실상 주거에 공하는 주택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고, 오피스텔이 주택에 해당함을 전제로 1세대 2주택으로 본 과세처분은 적법함

판결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상세내용

사 건 2024누48376 양도소득세부과처분취소

원고, 항소인 ○○

피고, 피항소인 ○○세무서장

제 1 심 판 결 서울행정법원 2024. 6. 19. 선고 2023구단68039 판결

변 론 종 결 2024. 11. 28.

판 결 선 고 2025. 2. 6.

주 문

1. 원고의 항소를 기각한다.

2. 항소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청구취지 및 항소취지

제1심판결을 취소한다. 피고가 2022. 9. 7. 원고에 대하여 한 2019년도분 양도소득세 472,951,230원의 부과처분을 취소한다.

  이 유

1. 제1심판결의 인용

원고가 이 법원에서 주장하는 사유는 제1심에서 주장한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고, 제1심에 제출된 증거를 원고의 주장과 함께 다시 살펴보더라도 제1심의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하다고 인정된다.

이에 이 법원이 이 사건에 관하여 설시할 이유는, 아래와 같이 제1심판결의 해당 부분을 고치거나 추가하는 것 이외에는 제1심판결의 이유 부분 기재와 같으므로,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 민사소송법 제420조 본문에 의하여 이를 그대로 인용한다.

[고치거나 추가하는 부분]

○ 2면 10행의 ⁠‘274,951,230원’을 ⁠‘472,951,230원’으로 고친다.

○ 3면 13행의 ⁠‘갑 제8호증’을 ⁠‘갑 제5, 8호증’으로 고친다.

○ 4면 9행의 ⁠‘임차한’을 ⁠‘임대한’으로 고친다.

○ 4면 17행의 ⁠‘뒷받침한다.’를 아래와 같이 고친다.

「뒷받침한다(정○○은 2012년 이 사건 오피스텔을 분양받아 2012. 2. 29. 임대업으로 사업자등록을 한 이래 8년 동안 신고한 부가가치세 부동산임대공급가액명세서의 임차인란에는 사업자번호가 아닌 주민등록번호가 기재되어 있고, 그 임차인들 중 사업자등록을 한 경우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 5면 상단 표 비고란에 ⁠‘2021. 5. 31.’을 ⁠‘2019. 5. 31.‘로 고친다.

○ 5면 상단 표 아래 4행 다음에 아래 부분을 추가한다.

「한편 고○○은 과세예고통지 전 ○○세무서 공무원과의 통화에서 ⁠‘임대인이 전입신고를 못하게 해 어쩔 수 없이 주소지를 경상북도 ○○시 ○○면으로 등록하고 전세권을 설정한 것이며, 본인은 근로소득자’라고 진술하기도 하였다.」

2. 결론

그렇다면 원고의 청구는 이유 없어 이를 기각하여야 한다. 제1심판결은 이와 결론을 같이하여 정당하므로 원고의 항소는 이유 없어 이를 기각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출처 : 서울고등법원 2025. 02. 06. 선고 서울고등법원2024누48376 판결 | 국세법령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