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공유물 소수지분권자의 인도청구 인정 여부 및 퇴거·인도의 구별

대법원 2024. 6. 13. 선고 2024다213157 판결
판결 요약
민사소송에서 판결의 범위는 원고의 신청에 한정되며, 건물 ‘퇴거’와 ‘인도’는 다릅니다. 소수지분 공유자가 독점 점유한 경우, 다른 소수지분자만의 인도청구는 할 수 없습니다. 또, 채권자가 ‘퇴거’만 청구했는데 법원이 ‘인도’를 명하면 처분권주의 위반입니다.
#공유물 #소수지분권자 #인도청구 #퇴거청구 #건물인도
질의 응답
1. 공유물의 소수지분권자가 독점적으로 점유하면 다른 공유자가 인도청구 할 수 있나요?
답변
소수지분권자가 독점적으로 점유하더라도 다른 소수지분권자만의 인도청구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4. 6. 13. 선고 2024다213157 판결은 공유물의 소수지분권자 단독의 인도청구는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습니다.
2. 민사소송에서 법원이 원고가 구하지 않은 건물 ‘인도’를 명할 수 있나요?
답변
원고가 ‘퇴거’를 청구했는데, 법원이 ‘인도’를 명하면 처분권주의에 위배되어 허용되지 않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4. 6. 13. 선고 2024다213157 판결은 당사자 신청 범위 내에서만 판결해야 하며, ‘퇴거’와 ‘인도’는 구별된다고 명확히 하였습니다.
3. 건물 ‘인도’와 ‘퇴거’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답변
건물 ‘인도’는 현실적·사실적 지배를 완전히 이전하는 것이고, ‘퇴거’는 점유 해제만을 의미하여 채권자에게 점유 이전까지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4다213157 판결은 ‘인도’와 ‘퇴거’의 의미 및 집행방법이 다름을 판시하였습니다.
4. 공유물이 1/2 지분인 상황에서 한 명이 일부 공간을 전용하면 나머지 1/2 지분자가 인도소송을 낼 수 있나요?
답변
1/2 지분자를 상대로 나머지 1/2 지분자가 인도청구만으로 독점점유 해제를 구할 수 없습니다. 별도의 협의 또는 공유물분할 소송을 검토해야 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4다213157 판결은 소수지분 공유자의 단독 인도청구 불허 원칙을 확인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판시사항】

[1] 민사소송에서 법원의 심판 대상과 범위

[2] 건물의 ‘인도’와 건물에서의 ‘퇴거’의 구별 / 채권자가 소로써 채무자가 건물에서 퇴거할 것을 구하고 있는데 법원이 채무자의 건물 인도를 명한 경우, 처분권주의에 반하는지 여부(적극)

[3] 공유물의 소수지분권자가 다른 공유자와 협의 없이 공유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독점적으로 점유하는 경우, 다른 소수지분권자가 공유물의 인도를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민사소송법 제203조는 ‘처분권주의’라는 제목으로 “법원은 당사자가 신청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하여는 판결하지 못한다.”라고 정하고 있다. 민사소송에서 심판 대상은 원고의 의사에 따라 특정되고, 법원은 당사자가 신청한 사항에 대하여 신청 범위 내에서만 판단하여야 한다.

[2] 건물의 ‘인도’는 건물에 대한 현실적·사실적 지배를 완전히 이전하는 것을 의미하고, 민사집행법상 인도 청구의 집행은 집행관이 채무자로부터 물건의 점유를 빼앗아 이를 채권자에게 인도하는 방법으로 한다. 한편 건물에서의 ‘퇴거’는 건물에 대한 채무자의 점유를 해제하는 것을 의미할 뿐, 더 나아가 채권자에게 점유를 이전할 것까지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건물의 ‘인도’와 구별된다. 그러므로 채권자가 소로써 채무자가 건물에서 퇴거할 것을 구하고 있는데 법원이 채무자의 건물 인도를 명하는 것은 처분권주의에 반하여 허용되지 않는다.

[3] 공유물의 소수지분권자인 피고가 다른 공유자와 협의하지 않고 공유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독점적으로 점유하는 경우 소수지분권자인 원고가 피고를 상대로 공유물의 인도를 청구할 수는 없다.

【참조조문】

[1] 민사소송법 제203조 [2] 민법 제213조제214조민사집행법 제258조 제1항민사소송법 제203조 [3] 민법 제211조제213조제214조제263조제265조

【참조판례】

[1] 대법원 2020. 1. 30. 선고 2015다49422 판결(공2020상, 521)
[2][3] 대법원 2020. 5. 21. 선고 2018다287522 전원합의체 판결(공2020하, 1198)

【전 문】

【원고, 피상고인】 원고

【피고, 상고인】 피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센텀 담당변호사 류정하)

【원심판결】 부산지법 2024. 1. 12. 선고 2022나52324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의 피고 패소 부분 중 원심판결 별지 목록 제3항 기재 부동산 중 3층의 인도 및 위 3층 인도완료일까지의 차임 상당 부당이득금 지급을 명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부산지방법원에 환송한다. 나머지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제1, 2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

가. 처분권주의 위반 여부

1) 민사소송법 제203조는 ‘처분권주의’라는 제목으로 “법원은 당사자가 신청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하여는 판결하지 못한다.”라고 정하고 있다. 민사소송에서 심판 대상은 원고의 의사에 따라 특정되고, 법원은 당사자가 신청한 사항에 대하여 신청 범위 내에서만 판단하여야 한다(대법원 2020. 1. 30. 선고 2015다49422 판결 참조).

건물의 ‘인도’는 건물에 대한 현실적·사실적 지배를 완전히 이전하는 것을 의미하고, 민사집행법상 인도 청구의 집행은 집행관이 채무자로부터 물건의 점유를 빼앗아 이를 채권자에게 인도하는 방법으로 한다(대법원 2020. 5. 21. 선고 2018다287522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한편 건물에서의 ‘퇴거’는 건물에 대한 채무자의 점유를 해제하는 것을 의미할 뿐, 더 나아가 채권자에게 그 점유를 이전할 것까지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건물의 ‘인도’와 구별된다. 그러므로 채권자가 소로써 채무자가 건물에서 퇴거할 것을 구하고 있는데 법원이 채무자의 건물 인도를 명하는 것은 처분권주의에 반하여 허용되지 않는다.

2) 원고는 피고를 상대로 원심판결 별지 목록 제3항 기재 부동산(이하 ‘이 사건 건물’이라 한다) 중 3층에 관하여, 퇴거 및 2023. 6. 1.부터 퇴거완료일까지의 차임 상당 부당이득금 지급을 구하였다. 그럼에도 원심은 피고에 대하여 이 사건 건물 중 3층의 인도 및 2023. 6. 1.부터 인도완료일까지의 차임 상당 부당이득금 지급을 명하였다. 원심의 판단에는 원고가 신청하지 않은 사항에 대하여 판결함으로써 처분권주의를 위반한 잘못이 있다.

나. 이 사건 건물 중 3층에 대한 인도청구권 인정 여부

원심과 같이 원고의 청구를 이 사건 건물 중 3층의 인도 및 인도완료일까지의 부당이득금 지급을 구하는 것으로 선해하여도 원심판결을 받아들이기 어렵다.

공유물의 소수지분권자인 피고가 다른 공유자와 협의하지 않고 공유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독점적으로 점유하는 경우 소수지분권자인 원고가 피고를 상대로 공유물의 인도를 청구할 수는 없다(위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원심판결 이유와 기록에 의하면 원고와 피고는 이 사건 건물을 1/2의 지분 비율로 공유하고 있다. 그렇다면 피고가 이 사건 건물 중 3층을 독점적으로 점유하고 있다고 하여도 소수지분권자인 원고는 피고를 상대로 그 인도를 청구할 수 없다. 그럼에도 원심은 이 사건 건물 중 3층의 인도 및 인도완료일까지의 부당이득금 지급을 명하였다. 원심의 판단에는 공유물 인도청구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있다.

2. 제3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로 피고는 원고에게 원심판결 별지 목록 제1항 기재 부동산 및 이 사건 건물 중 지상 1, 2층을 독점적으로 사용한 것에 대한 부당이득 반환으로 판시 금액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이유 설시에 일부 적절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나 위 금액의 지급을 명한 원심의 판단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공유물에 관한 공유자의 사용수익 권능과 부당이득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원심판결의 피고 패소 부분 중 원심판결 이 사건 건물 중 3층의 인도 및 위 3층 인도완료일까지의 차임 상당 부당이득금 지급을 명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며, 나머지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동원(재판장) 김상환 권영준(주심) 신숙희


(출처 : 대법원 2024. 6. 13. 선고 2024다213157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

출처 : 대법원 선고 대법원 2024. 6. 13. 선고 2024다213157 판결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

판례 검색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공유물 소수지분권자의 인도청구 인정 여부 및 퇴거·인도의 구별

대법원 2024. 6. 13. 선고 2024다213157 판결
판결 요약
민사소송에서 판결의 범위는 원고의 신청에 한정되며, 건물 ‘퇴거’와 ‘인도’는 다릅니다. 소수지분 공유자가 독점 점유한 경우, 다른 소수지분자만의 인도청구는 할 수 없습니다. 또, 채권자가 ‘퇴거’만 청구했는데 법원이 ‘인도’를 명하면 처분권주의 위반입니다.
#공유물 #소수지분권자 #인도청구 #퇴거청구 #건물인도
질의 응답
1. 공유물의 소수지분권자가 독점적으로 점유하면 다른 공유자가 인도청구 할 수 있나요?
답변
소수지분권자가 독점적으로 점유하더라도 다른 소수지분권자만의 인도청구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4. 6. 13. 선고 2024다213157 판결은 공유물의 소수지분권자 단독의 인도청구는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습니다.
2. 민사소송에서 법원이 원고가 구하지 않은 건물 ‘인도’를 명할 수 있나요?
답변
원고가 ‘퇴거’를 청구했는데, 법원이 ‘인도’를 명하면 처분권주의에 위배되어 허용되지 않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4. 6. 13. 선고 2024다213157 판결은 당사자 신청 범위 내에서만 판결해야 하며, ‘퇴거’와 ‘인도’는 구별된다고 명확히 하였습니다.
3. 건물 ‘인도’와 ‘퇴거’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답변
건물 ‘인도’는 현실적·사실적 지배를 완전히 이전하는 것이고, ‘퇴거’는 점유 해제만을 의미하여 채권자에게 점유 이전까지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4다213157 판결은 ‘인도’와 ‘퇴거’의 의미 및 집행방법이 다름을 판시하였습니다.
4. 공유물이 1/2 지분인 상황에서 한 명이 일부 공간을 전용하면 나머지 1/2 지분자가 인도소송을 낼 수 있나요?
답변
1/2 지분자를 상대로 나머지 1/2 지분자가 인도청구만으로 독점점유 해제를 구할 수 없습니다. 별도의 협의 또는 공유물분할 소송을 검토해야 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4다213157 판결은 소수지분 공유자의 단독 인도청구 불허 원칙을 확인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판시사항】

[1] 민사소송에서 법원의 심판 대상과 범위

[2] 건물의 ‘인도’와 건물에서의 ‘퇴거’의 구별 / 채권자가 소로써 채무자가 건물에서 퇴거할 것을 구하고 있는데 법원이 채무자의 건물 인도를 명한 경우, 처분권주의에 반하는지 여부(적극)

[3] 공유물의 소수지분권자가 다른 공유자와 협의 없이 공유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독점적으로 점유하는 경우, 다른 소수지분권자가 공유물의 인도를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민사소송법 제203조는 ‘처분권주의’라는 제목으로 “법원은 당사자가 신청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하여는 판결하지 못한다.”라고 정하고 있다. 민사소송에서 심판 대상은 원고의 의사에 따라 특정되고, 법원은 당사자가 신청한 사항에 대하여 신청 범위 내에서만 판단하여야 한다.

[2] 건물의 ‘인도’는 건물에 대한 현실적·사실적 지배를 완전히 이전하는 것을 의미하고, 민사집행법상 인도 청구의 집행은 집행관이 채무자로부터 물건의 점유를 빼앗아 이를 채권자에게 인도하는 방법으로 한다. 한편 건물에서의 ‘퇴거’는 건물에 대한 채무자의 점유를 해제하는 것을 의미할 뿐, 더 나아가 채권자에게 점유를 이전할 것까지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건물의 ‘인도’와 구별된다. 그러므로 채권자가 소로써 채무자가 건물에서 퇴거할 것을 구하고 있는데 법원이 채무자의 건물 인도를 명하는 것은 처분권주의에 반하여 허용되지 않는다.

[3] 공유물의 소수지분권자인 피고가 다른 공유자와 협의하지 않고 공유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독점적으로 점유하는 경우 소수지분권자인 원고가 피고를 상대로 공유물의 인도를 청구할 수는 없다.

【참조조문】

[1] 민사소송법 제203조 [2] 민법 제213조제214조민사집행법 제258조 제1항민사소송법 제203조 [3] 민법 제211조제213조제214조제263조제265조

【참조판례】

[1] 대법원 2020. 1. 30. 선고 2015다49422 판결(공2020상, 521)
[2][3] 대법원 2020. 5. 21. 선고 2018다287522 전원합의체 판결(공2020하, 1198)

【전 문】

【원고, 피상고인】 원고

【피고, 상고인】 피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센텀 담당변호사 류정하)

【원심판결】 부산지법 2024. 1. 12. 선고 2022나52324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의 피고 패소 부분 중 원심판결 별지 목록 제3항 기재 부동산 중 3층의 인도 및 위 3층 인도완료일까지의 차임 상당 부당이득금 지급을 명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부산지방법원에 환송한다. 나머지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제1, 2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

가. 처분권주의 위반 여부

1) 민사소송법 제203조는 ‘처분권주의’라는 제목으로 “법원은 당사자가 신청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하여는 판결하지 못한다.”라고 정하고 있다. 민사소송에서 심판 대상은 원고의 의사에 따라 특정되고, 법원은 당사자가 신청한 사항에 대하여 신청 범위 내에서만 판단하여야 한다(대법원 2020. 1. 30. 선고 2015다49422 판결 참조).

건물의 ‘인도’는 건물에 대한 현실적·사실적 지배를 완전히 이전하는 것을 의미하고, 민사집행법상 인도 청구의 집행은 집행관이 채무자로부터 물건의 점유를 빼앗아 이를 채권자에게 인도하는 방법으로 한다(대법원 2020. 5. 21. 선고 2018다287522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한편 건물에서의 ‘퇴거’는 건물에 대한 채무자의 점유를 해제하는 것을 의미할 뿐, 더 나아가 채권자에게 그 점유를 이전할 것까지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건물의 ‘인도’와 구별된다. 그러므로 채권자가 소로써 채무자가 건물에서 퇴거할 것을 구하고 있는데 법원이 채무자의 건물 인도를 명하는 것은 처분권주의에 반하여 허용되지 않는다.

2) 원고는 피고를 상대로 원심판결 별지 목록 제3항 기재 부동산(이하 ‘이 사건 건물’이라 한다) 중 3층에 관하여, 퇴거 및 2023. 6. 1.부터 퇴거완료일까지의 차임 상당 부당이득금 지급을 구하였다. 그럼에도 원심은 피고에 대하여 이 사건 건물 중 3층의 인도 및 2023. 6. 1.부터 인도완료일까지의 차임 상당 부당이득금 지급을 명하였다. 원심의 판단에는 원고가 신청하지 않은 사항에 대하여 판결함으로써 처분권주의를 위반한 잘못이 있다.

나. 이 사건 건물 중 3층에 대한 인도청구권 인정 여부

원심과 같이 원고의 청구를 이 사건 건물 중 3층의 인도 및 인도완료일까지의 부당이득금 지급을 구하는 것으로 선해하여도 원심판결을 받아들이기 어렵다.

공유물의 소수지분권자인 피고가 다른 공유자와 협의하지 않고 공유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독점적으로 점유하는 경우 소수지분권자인 원고가 피고를 상대로 공유물의 인도를 청구할 수는 없다(위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원심판결 이유와 기록에 의하면 원고와 피고는 이 사건 건물을 1/2의 지분 비율로 공유하고 있다. 그렇다면 피고가 이 사건 건물 중 3층을 독점적으로 점유하고 있다고 하여도 소수지분권자인 원고는 피고를 상대로 그 인도를 청구할 수 없다. 그럼에도 원심은 이 사건 건물 중 3층의 인도 및 인도완료일까지의 부당이득금 지급을 명하였다. 원심의 판단에는 공유물 인도청구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있다.

2. 제3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로 피고는 원고에게 원심판결 별지 목록 제1항 기재 부동산 및 이 사건 건물 중 지상 1, 2층을 독점적으로 사용한 것에 대한 부당이득 반환으로 판시 금액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이유 설시에 일부 적절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나 위 금액의 지급을 명한 원심의 판단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공유물에 관한 공유자의 사용수익 권능과 부당이득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원심판결의 피고 패소 부분 중 원심판결 이 사건 건물 중 3층의 인도 및 위 3층 인도완료일까지의 차임 상당 부당이득금 지급을 명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며, 나머지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동원(재판장) 김상환 권영준(주심) 신숙희


(출처 : 대법원 2024. 6. 13. 선고 2024다213157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

출처 : 대법원 선고 대법원 2024. 6. 13. 선고 2024다213157 판결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