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허위 회계처리에 따른 자산 유출 여부와 경상연구개발비 대체의 법적 판단

서울고등법원 2022누40439
판결 요약
허위로 계상된 선급비용을 경상연구개발비로 회계상 대체했더라도, 사외유출로 단정할 수 없으며 실제로 유출 여부 입증은 세무당국에 있다. 또한 우호지분 등만으로 사실상 대표자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되었습니다.
#가공비용 #경상연구개발비 #자산 사외유출 #허위 계상 #우호지분
질의 응답
1. 허위로 계상된 경상연구개발비가 자산의 사외유출로 보나요?
답변
가공의 자산을 허위의 비용으로 대체한 회계처리만으로는 자산이 사외로 유출되었다고 볼 수 없습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2-누-40439 판결은 허위의 자산이 허위의 비용으로 대체된 회계처리가 사외유출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습니다.
2. 회사 자산을 사외유출로 간주하기 위한 입증 책임은 누구에게 있나요?
답변
사외유출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경우, 해당 사정은 법인 측에서 입증해야 합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2-누-40439 판결은 가공비용 등 사외유출로 볼 특별한 사정이 있다는 점을 법인 측이 입증해야 한다고 설시하였습니다.
3. 단순한 우호지분 또는 차명주식 진술만으로 사실상의 대표자 인정 가능한가요?
답변
우호지분 소유나 진술만으로 사실상 대표자임을 단정하기 어렵다고 보았습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2-누-40439 판결은 경영 참여 및 실질 소유 입증이 부족하면 사실상의 대표자라고 단정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습니다.
4. 허위 계상된 선급비용이 실제 사외로 유출된 사례가 있으면 누구에게 귀속되나요?
답변
만약 실제 사외유출이 인정된다면, 해당 사채업자들에게 귀속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2-누-40439 판결은 구체적으로 유출된 자금이 사채업자에게 귀속된다면 그 귀속 주체를 사채업자라 본다고 판시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요지

소외회사의 가공의 경상연구개발비로 대체하였다고 하더라도 이는 허위의 자산이 허위의 비용으로 회계상 대체된 것일 뿐, 이를 두고 자산이 사외로 유출된 것은 아니라고 할 것임. 설령 어떤 다른 사정을 더하여 위 거래 과정을 통하여 이 사건 쟁점금액이 사외로 유출되었다고 볼 여지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는 사채업자들에게 귀속되었다고 볼 수밖에 없는 것임.

판결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상세내용

사 건

2022누40439 종합소득세및지방소득세부과처분취소

원 고

문AA

피 고

○○세무서장

변 론 종 결

2023.05.12.

판 결 선 고

2023.06.20.

주 문

1. 피고의 항소를 기각한다.

2. 항소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청구취지 및 항소취지

1. 청구취지

피고가 2019. 3. 19. 원고에 대하여 한 2013년 귀속 종합소득세 2,700,243,210원(가산세 포함)의 부과처분을 취소한다.

2. 항소취지

제1심판결을 취소한다.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이 유

1. 제1심판결의 인용

 이 법원이 이 사건에 관하여 설시할 이유 중 결론을 제외한 부분은 제1심판결 제8면 제9행 이하의 ⁠‘라. 판단’ 부분을 아래와 같이 고쳐 쓰는 것 외에는 제1심판결의 이유 중 해당 부분 기재와 같으므로,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 민사소송법 제420조 본문에 따라 별지1, 2를 포함하여 이를 인용한다.

2. 이 법원이 고쳐 쓰는 부분

『라. 판단

  1) 이 사건 쟁점금액의 사외 유출 여부

   법인이 매출사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출액을 장부에 기재하지 아니하거나 가공의 비용을 장부에 계상한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매출누락액 또는 가공비용 상당의 법인의 수익은 사외로 유출된 것으로 보아야 하며, 이 경우 그 매출누락액 등의 전액이 사외로 유출된 것이 아니라고 볼 특별한 사정은 이를 주장하는 법인 측에서 입증할 필요가 있다(대법원 1999. 12. 24. 선고 98두16347 판결 등 참조).

   이 사건에서 보건대, 큐○○가 케○○○○○상과 신소재 개발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여 연구개발업무를 수행하거나, 이를 위해 케○○○○○에 연구개발비를 지급한 바 없음에도, 이 사건 선급비용 중 2013 사업연도 결산 시에 자산으로 남아 있던 이 사건 쟁점금액을 케○○○○○에 대한 경상연구개발비로 계상한 사실은 당사자 사이에 다툼이 없다. 그러나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보는 바와 같은 이유에서, 위와 같은 허위의 회계처리에도 불구하고 이 사건 쟁점금액이 사외로 유출된 것이 아니라고 볼 특별한 사정이 있다고 인정할 수 있다. 이와 다른 전제에서 이루어진 이 사건 처분은 위법하다.

   가) 앞서 본 바와 같이 이 사건 표지어음의 재원은 조○○ 등 사채업자들이 큐○○ 등에 대여한 돈이었고, 이에 따라 이 사건 표지어음이 조○○ 등 사채업자들에게 위 대여금의 담보로 제공되었으며, 금융기관으로부터 그 액면금 상당의 자기앞수표가 발행되어 위 대여금의 변제에 사용되었고, 이러한 자금거래는 큐○○의 연말 회계처리 과정에서 재무상태를 건전한 것으로 가장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렇다면 위와 같은 거래의 실체 내지 경제적 효과는, 금전소비대차계약의 명의인이나 큐○○의 회계처리가 어떠한지를 떠나서, 큐○○가 이 사건 선급비용 상당액을 차용하였다가 변제한 것에 불과하다고 볼 것이므로, 위와 같은 금전소비대차 및 표지어음의 거래 과정에서 이 사건 쟁점금액이 사외로 유출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설령 어떤 다른 사정을 더하여 위 거래 과정을 통하여 이 사건 쟁점금액이 사외로 유출되었다고 볼 여지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는 조○○ 등 사채업자들에게 귀속되었다고 볼 수밖에 없다.

   나) 이 사건 처분은 큐○○가 2013 사업연도에 케○○○○○에 선급비용의 지급으로 회계처리한 이 사건 쟁점금액을 결산 시 케○○○○○에 대한 가공의 경상연구개발비로 대체하였다는 점에 근거하고 있다. 그런데, 이 사건 쟁점금액이 선급비용의 지급으로 회계처리된 것 자체가 허위로 계상된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당사자 사이에 다툼이 없으므로(원고의 2022. 2. 24. 자 준비서면 및 피고의 2022. 8. 18. 자 항소이유서, 2022. 10. 25. 자 준비서면 등 참조), 결산 시 이를 케○○○○○에 대한 가공의 경상연구개발비로 대체하였다고 하더라도 이는 허위의 자산이 허위의 비용으로 회계상 대체된 것일 뿐, 이를 두고 자산이 사외로 유출된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다) 피고는 한 단계 거슬러 올라가, 이 사건 선급비용을 계상하면서 유○○○○○, 에○○○○○○○○ 등에 대한 단기대여금 등의 자산 계정이 감소하였다는 점에서 자산이 사외로 유출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취지로 주장하기도 하나, 갑 제8, 16, 20 내지 24호증의 기재와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면, 위와 같이 이 사건 선급비용에 대응하는 유○○○○○, 에○○○○○○○○ 등에 대한 큐○○의 단기대여금 등도 역시 가공거래로 인한 허위의 자산이라고 인정하기에 충분하다.

  2) 원고가 구 법인세법 시행령 제106조 제1항 제1호의 ⁠‘사실상의 대표자’인지 여부

   앞서 든 증거들과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면, 원고가 큐○○의 경영 전반에 걸쳐 의사결정과 집행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회계와 업무에 관한 지휘·감독권을 행사한 사실을 인정하기에는 충분하다.

   나아가 원고가 큐○○의 주식 30% 이상을 소유하고 있었는지 여부에 관하여 보건대, 피고는 을 제14호증의 기재를 근거로 원고가 김○○, 윤○○, 김○○의 명의로 합계 55,000주를 보유하고 있었다고 주장하나, 이는 원고가 경영권 분쟁 중이던 윤○○의 고소로 검찰 수사를 받는 과정에서 진술한 내용에 불과하고, 단순한 우호지분을 자신의 차명주식인 것처럼 진술하였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위 증거만으로는 원고가 큐○○의 주식 30% 이상을 소유하고 있었다고 보기 부족하다고 할 것이며, 달리 이를 뒷받침할 만한 자금 출연에 관한 금융자료 등 다른 객관적인 증거가 없다.

   그렇다면 원고가 구 법인세법 시행령 제106조 제1항 제1호에서 정한 큐○○의 ⁠‘사실상의 대표자’라고 단정할 수 없으므로, 이를 전제로 한 이 사건 처분은 이 점에 있어서도 위법하다.』

  3. 결론

   그렇다면 원고의 이 사건 청구는 이유 있으므로 이를 인용할 것인바, 제1심판결은 이와 결론이 같아 정당하다. 이에 대한 피고의 항소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기각한다.

출처 : 서울고등법원 2023. 06. 20. 선고 서울고등법원 2022누40439 판결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판례 검색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허위 회계처리에 따른 자산 유출 여부와 경상연구개발비 대체의 법적 판단

서울고등법원 2022누40439
판결 요약
허위로 계상된 선급비용을 경상연구개발비로 회계상 대체했더라도, 사외유출로 단정할 수 없으며 실제로 유출 여부 입증은 세무당국에 있다. 또한 우호지분 등만으로 사실상 대표자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되었습니다.
#가공비용 #경상연구개발비 #자산 사외유출 #허위 계상 #우호지분
질의 응답
1. 허위로 계상된 경상연구개발비가 자산의 사외유출로 보나요?
답변
가공의 자산을 허위의 비용으로 대체한 회계처리만으로는 자산이 사외로 유출되었다고 볼 수 없습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2-누-40439 판결은 허위의 자산이 허위의 비용으로 대체된 회계처리가 사외유출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습니다.
2. 회사 자산을 사외유출로 간주하기 위한 입증 책임은 누구에게 있나요?
답변
사외유출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경우, 해당 사정은 법인 측에서 입증해야 합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2-누-40439 판결은 가공비용 등 사외유출로 볼 특별한 사정이 있다는 점을 법인 측이 입증해야 한다고 설시하였습니다.
3. 단순한 우호지분 또는 차명주식 진술만으로 사실상의 대표자 인정 가능한가요?
답변
우호지분 소유나 진술만으로 사실상 대표자임을 단정하기 어렵다고 보았습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2-누-40439 판결은 경영 참여 및 실질 소유 입증이 부족하면 사실상의 대표자라고 단정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습니다.
4. 허위 계상된 선급비용이 실제 사외로 유출된 사례가 있으면 누구에게 귀속되나요?
답변
만약 실제 사외유출이 인정된다면, 해당 사채업자들에게 귀속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2-누-40439 판결은 구체적으로 유출된 자금이 사채업자에게 귀속된다면 그 귀속 주체를 사채업자라 본다고 판시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요지

소외회사의 가공의 경상연구개발비로 대체하였다고 하더라도 이는 허위의 자산이 허위의 비용으로 회계상 대체된 것일 뿐, 이를 두고 자산이 사외로 유출된 것은 아니라고 할 것임. 설령 어떤 다른 사정을 더하여 위 거래 과정을 통하여 이 사건 쟁점금액이 사외로 유출되었다고 볼 여지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는 사채업자들에게 귀속되었다고 볼 수밖에 없는 것임.

판결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상세내용

사 건

2022누40439 종합소득세및지방소득세부과처분취소

원 고

문AA

피 고

○○세무서장

변 론 종 결

2023.05.12.

판 결 선 고

2023.06.20.

주 문

1. 피고의 항소를 기각한다.

2. 항소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청구취지 및 항소취지

1. 청구취지

피고가 2019. 3. 19. 원고에 대하여 한 2013년 귀속 종합소득세 2,700,243,210원(가산세 포함)의 부과처분을 취소한다.

2. 항소취지

제1심판결을 취소한다.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이 유

1. 제1심판결의 인용

 이 법원이 이 사건에 관하여 설시할 이유 중 결론을 제외한 부분은 제1심판결 제8면 제9행 이하의 ⁠‘라. 판단’ 부분을 아래와 같이 고쳐 쓰는 것 외에는 제1심판결의 이유 중 해당 부분 기재와 같으므로,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 민사소송법 제420조 본문에 따라 별지1, 2를 포함하여 이를 인용한다.

2. 이 법원이 고쳐 쓰는 부분

『라. 판단

  1) 이 사건 쟁점금액의 사외 유출 여부

   법인이 매출사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출액을 장부에 기재하지 아니하거나 가공의 비용을 장부에 계상한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매출누락액 또는 가공비용 상당의 법인의 수익은 사외로 유출된 것으로 보아야 하며, 이 경우 그 매출누락액 등의 전액이 사외로 유출된 것이 아니라고 볼 특별한 사정은 이를 주장하는 법인 측에서 입증할 필요가 있다(대법원 1999. 12. 24. 선고 98두16347 판결 등 참조).

   이 사건에서 보건대, 큐○○가 케○○○○○상과 신소재 개발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여 연구개발업무를 수행하거나, 이를 위해 케○○○○○에 연구개발비를 지급한 바 없음에도, 이 사건 선급비용 중 2013 사업연도 결산 시에 자산으로 남아 있던 이 사건 쟁점금액을 케○○○○○에 대한 경상연구개발비로 계상한 사실은 당사자 사이에 다툼이 없다. 그러나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보는 바와 같은 이유에서, 위와 같은 허위의 회계처리에도 불구하고 이 사건 쟁점금액이 사외로 유출된 것이 아니라고 볼 특별한 사정이 있다고 인정할 수 있다. 이와 다른 전제에서 이루어진 이 사건 처분은 위법하다.

   가) 앞서 본 바와 같이 이 사건 표지어음의 재원은 조○○ 등 사채업자들이 큐○○ 등에 대여한 돈이었고, 이에 따라 이 사건 표지어음이 조○○ 등 사채업자들에게 위 대여금의 담보로 제공되었으며, 금융기관으로부터 그 액면금 상당의 자기앞수표가 발행되어 위 대여금의 변제에 사용되었고, 이러한 자금거래는 큐○○의 연말 회계처리 과정에서 재무상태를 건전한 것으로 가장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렇다면 위와 같은 거래의 실체 내지 경제적 효과는, 금전소비대차계약의 명의인이나 큐○○의 회계처리가 어떠한지를 떠나서, 큐○○가 이 사건 선급비용 상당액을 차용하였다가 변제한 것에 불과하다고 볼 것이므로, 위와 같은 금전소비대차 및 표지어음의 거래 과정에서 이 사건 쟁점금액이 사외로 유출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설령 어떤 다른 사정을 더하여 위 거래 과정을 통하여 이 사건 쟁점금액이 사외로 유출되었다고 볼 여지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는 조○○ 등 사채업자들에게 귀속되었다고 볼 수밖에 없다.

   나) 이 사건 처분은 큐○○가 2013 사업연도에 케○○○○○에 선급비용의 지급으로 회계처리한 이 사건 쟁점금액을 결산 시 케○○○○○에 대한 가공의 경상연구개발비로 대체하였다는 점에 근거하고 있다. 그런데, 이 사건 쟁점금액이 선급비용의 지급으로 회계처리된 것 자체가 허위로 계상된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당사자 사이에 다툼이 없으므로(원고의 2022. 2. 24. 자 준비서면 및 피고의 2022. 8. 18. 자 항소이유서, 2022. 10. 25. 자 준비서면 등 참조), 결산 시 이를 케○○○○○에 대한 가공의 경상연구개발비로 대체하였다고 하더라도 이는 허위의 자산이 허위의 비용으로 회계상 대체된 것일 뿐, 이를 두고 자산이 사외로 유출된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다) 피고는 한 단계 거슬러 올라가, 이 사건 선급비용을 계상하면서 유○○○○○, 에○○○○○○○○ 등에 대한 단기대여금 등의 자산 계정이 감소하였다는 점에서 자산이 사외로 유출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취지로 주장하기도 하나, 갑 제8, 16, 20 내지 24호증의 기재와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면, 위와 같이 이 사건 선급비용에 대응하는 유○○○○○, 에○○○○○○○○ 등에 대한 큐○○의 단기대여금 등도 역시 가공거래로 인한 허위의 자산이라고 인정하기에 충분하다.

  2) 원고가 구 법인세법 시행령 제106조 제1항 제1호의 ⁠‘사실상의 대표자’인지 여부

   앞서 든 증거들과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면, 원고가 큐○○의 경영 전반에 걸쳐 의사결정과 집행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회계와 업무에 관한 지휘·감독권을 행사한 사실을 인정하기에는 충분하다.

   나아가 원고가 큐○○의 주식 30% 이상을 소유하고 있었는지 여부에 관하여 보건대, 피고는 을 제14호증의 기재를 근거로 원고가 김○○, 윤○○, 김○○의 명의로 합계 55,000주를 보유하고 있었다고 주장하나, 이는 원고가 경영권 분쟁 중이던 윤○○의 고소로 검찰 수사를 받는 과정에서 진술한 내용에 불과하고, 단순한 우호지분을 자신의 차명주식인 것처럼 진술하였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위 증거만으로는 원고가 큐○○의 주식 30% 이상을 소유하고 있었다고 보기 부족하다고 할 것이며, 달리 이를 뒷받침할 만한 자금 출연에 관한 금융자료 등 다른 객관적인 증거가 없다.

   그렇다면 원고가 구 법인세법 시행령 제106조 제1항 제1호에서 정한 큐○○의 ⁠‘사실상의 대표자’라고 단정할 수 없으므로, 이를 전제로 한 이 사건 처분은 이 점에 있어서도 위법하다.』

  3. 결론

   그렇다면 원고의 이 사건 청구는 이유 있으므로 이를 인용할 것인바, 제1심판결은 이와 결론이 같아 정당하다. 이에 대한 피고의 항소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기각한다.

출처 : 서울고등법원 2023. 06. 20. 선고 서울고등법원 2022누40439 판결 | 국세법령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