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상속·증여 부동산 양도 시 취득가액 산정 기준과 양도세율 적용

서울고등법원 2024누56957
판결 요약
상속 또는 증여로 취득한 부동산을 양도할 때, 상속개시일이나 증여일 시점의 상증세법상 평가액을 실거래가액으로 봅니다. 보유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는 양도소득세율 50% 적용이 정당함을 확인하였습니다. 과세요건 해석은 조세법률주의에 따라 엄격히 이루어집니다.
#상속부동산 #증여부동산 #양도소득세 #취득가액 #상증세법
질의 응답
1. 상속 또는 증여로 취득한 부동산을 양도할 때 취득가액은 어떻게 산정하나요?
답변
상속개시일 또는 증여일 기준으로 상증세법 제60조~제66조 따라 산정한 평가액을 취득 당시 실지 거래가액으로 봅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4-누-56957 판결은 상속 또는 증여 부동산 양도시 상증세법 규정에 의한 평가가액을 취득가액으로 본다고 판시하였습니다.
2. 상속받거나 증여받은 토지, 1년 미만 보유 후 양도하면 양도소득세율은 얼마인가요?
답변
1년 미만 단기 보유 자산의 경우, 과세표준의 50% 세율이 적용됩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4-누-56957 판결은 보유기간 1년 미만이면 구 소득세법 제104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50% 세율 적용을 적법하다고 명확히 하였습니다.
3. 상속 또는 증여 후 토지 양도 시 과세표준 산정 방식에 불복할 만한 예외가 있나요?
답변
조세법규 해석은 법문대로 엄격하게 보아야 하고, 개별 사정 또는 사적 합리성만으로 예외를 인정하지 않습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4-누-56957 판결(및 2003.1.24. 2002두9537 대법원 판시)을 인용, 특별한 사정 없으면 법령 문구에 따라야 한다고 명시하였습니다.
4. 상속 또는 증여로 취득한 부동산 양도 시 양도차익 산정시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답변
취득가액은 증여·상속 당시 평가액, 양도가액은 실거래가 기준으로 하며, 보유기간 산정 역시 중요합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4-누-56957 판결은 필요경비 산정과 세율 적용의 핵심 기준으로 상속일·증여일 평가가액과 보유기간을 강조합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요지

상속 또는 증여로 취득한 부동산을 양도하는 경우, 상속개시일 또는 증여일 현재 상증세법 제60조부터 제66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적법하게 평가한 가액을 취득 당시의 실지 거래가액으로 보는 것임

판결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상세내용

[세 목]

양도

[판결유형]

국승

[사건번호]

서울고등법원-2024-누-56957(2025.1.17)

[직전소송사건번호]

서울행정법원-2023-구단-11118(2024.8.14)

[제 목]

  상속 또는 증여로 취득한 부동산을 양도하는 경우, 상속개시일 또는 증여일 현재 상증세법 제60조부터 제66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적법하게 평가한 가액을 취득 당시의 실지 거래가액으로 보는 것임.

[요 지]

  상속 또는 증여로 취득한 부동산을 양도하는 경우, 상속개시일 또는 증여일 현재 상증세법 제60조부터 제66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적법하게 평가한 가액을 취득 당시의 실지 거래가액으로 보는 것임.

[판결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관련법령]

소득세법시행령 제163조【양도자산의 필요경비】

사 건

2024누56957 양도소득세부과처분취소

원 고

JJJ

피 고

GG세무서장

판 결 선 고

2025. 1. 17.

주 문

1. 원고의 항소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청구취지 및 항소취지

제1심판결을 취소한다. 피고가 202*. 11. 1. 원고에 대하여 한 2017년 귀속 양도소득세 **,202,590원(가산세 포함)의 부과처분을 취소한다.

이 유

1. 제1심판결의 인용 이 법원의 판결 이유 중 결론을 제외한 부분은 아래와 같이 일부 내용을 고치는 것 외에는 제1심판결 이유의 해당 부분과 같으므로,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 민사소송법 제420조 본문에 의하여 별지를 포함하여 이를 인용한다.

○ 제1심판결 제3면 제2행의 ⁠“1)” 뒤에 ⁠“이 사건 토지에서 분할된 인천 J구 DD동 **-** 전 51㎡ 중 원고의 부친 JHH 소유의 2/9 지분에 대하여 201*. 7. 29. 자 공공용지 협의취득을 원인으로 하여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질 무렵 4,946,430원의 보상금이 지급되었으며,”를 추가한다.

○ 제1심판결 제3면 제5, 6, 7행의 ⁠“개별공시지가를 ... 되어야 한다.”를 ⁠“위 공공용지협의취득 사례, 매매 사례, 경매 사례에서 산출되는 **,421,233원, **,028,393원 또는 **,888,888원 중 하나로 정해야 함에도, 이를 개별공시지가로 산출한 *,473,272원으로 정한 이 사건 처분은 위법하다.”라고 고치고, 각주 1)을 삭제한다.

○ 제1심판결 제3면 제12, 13행 사이에 아래 내용을 추가한다.

『3) 부모의 증여와 공유물분할 등 이 사건 쟁점 토지의 취득과 처분 경위에 비추어 볼 때, 원고가 부동산 양도차익을 노리고 단기간 투기행위를 한 것이 아니므로, 이 사건 쟁점 토지에 대한 양도소득세 산정 시 보유 기간이 1년 미만이라는 이유만으로 양도세율 50%를 적용한 이 사건 처분은 위법하다.』

○ 제1심판결 제4면 제6행의 ⁠“**,028,572원” 앞에 ⁠“**,421,233원,”을 추가한다.

○ 제1심판결 제4면 마지막 행의 ⁠“원고가 제시한” 다음에 ⁠“위 201*. 7. 29. 자 공공용지 협의취득 사례나“를 추가한다.

○ 제1심판결 제5면 제16, 17행 사이에 아래 내용을 추가한다.

『또한, 앞서 본 바와 같이 원고가 201*. 11. 7. 이 사건 쟁점 토지에 관하여 201*. 9. 5. 증여를 원인으로 지분이전등기를 마친 다음, 아직 그 보유기간이 1년에 달하지 아니한 201*. 8. 25. 이 사건 쟁점 토지를 공유물분할을 위한 경매를 원인으로 양도한 이상, 이 사건 쟁점 토지가 1년 미만의 단기 보유자산이라고 보아 구 소득세법 제104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과세표준의 100분의 50을 세율로 적용한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하다고 볼 것이고, 나아가 조세법률주의의 원칙상 과세요건이거나 비과세요건 또는 조세감면요건을 막론하고 조세법규의 해석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법문대로 해석하여야 하고, 합리적 이유 없이 확장해석하거나 유추해석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 점(대법원 2003. 1. 24. 선고 2002두9537 판결 등 참조) 등에 비추어 볼 때, 원고가 주장하는 이 사건 쟁점 토지의 취득 및 처분 경위 등을 들어 앞서와 달리 볼 여지는 없다.』

2. 결론

그렇다면 원고의 이 사건 청구는 이유 없어 이를 기각할 것인바, 제1심판결은 이와

결론이 같아 정당하다. 이에 대한 원고의 항소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기각한다.

                            

출처 : 서울고등법원 2025. 01. 17. 선고 서울고등법원 2024누56957 판결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판례 검색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상속·증여 부동산 양도 시 취득가액 산정 기준과 양도세율 적용

서울고등법원 2024누56957
판결 요약
상속 또는 증여로 취득한 부동산을 양도할 때, 상속개시일이나 증여일 시점의 상증세법상 평가액을 실거래가액으로 봅니다. 보유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는 양도소득세율 50% 적용이 정당함을 확인하였습니다. 과세요건 해석은 조세법률주의에 따라 엄격히 이루어집니다.
#상속부동산 #증여부동산 #양도소득세 #취득가액 #상증세법
질의 응답
1. 상속 또는 증여로 취득한 부동산을 양도할 때 취득가액은 어떻게 산정하나요?
답변
상속개시일 또는 증여일 기준으로 상증세법 제60조~제66조 따라 산정한 평가액을 취득 당시 실지 거래가액으로 봅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4-누-56957 판결은 상속 또는 증여 부동산 양도시 상증세법 규정에 의한 평가가액을 취득가액으로 본다고 판시하였습니다.
2. 상속받거나 증여받은 토지, 1년 미만 보유 후 양도하면 양도소득세율은 얼마인가요?
답변
1년 미만 단기 보유 자산의 경우, 과세표준의 50% 세율이 적용됩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4-누-56957 판결은 보유기간 1년 미만이면 구 소득세법 제104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50% 세율 적용을 적법하다고 명확히 하였습니다.
3. 상속 또는 증여 후 토지 양도 시 과세표준 산정 방식에 불복할 만한 예외가 있나요?
답변
조세법규 해석은 법문대로 엄격하게 보아야 하고, 개별 사정 또는 사적 합리성만으로 예외를 인정하지 않습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4-누-56957 판결(및 2003.1.24. 2002두9537 대법원 판시)을 인용, 특별한 사정 없으면 법령 문구에 따라야 한다고 명시하였습니다.
4. 상속 또는 증여로 취득한 부동산 양도 시 양도차익 산정시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답변
취득가액은 증여·상속 당시 평가액, 양도가액은 실거래가 기준으로 하며, 보유기간 산정 역시 중요합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4-누-56957 판결은 필요경비 산정과 세율 적용의 핵심 기준으로 상속일·증여일 평가가액과 보유기간을 강조합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요지

상속 또는 증여로 취득한 부동산을 양도하는 경우, 상속개시일 또는 증여일 현재 상증세법 제60조부터 제66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적법하게 평가한 가액을 취득 당시의 실지 거래가액으로 보는 것임

판결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상세내용

[세 목]

양도

[판결유형]

국승

[사건번호]

서울고등법원-2024-누-56957(2025.1.17)

[직전소송사건번호]

서울행정법원-2023-구단-11118(2024.8.14)

[제 목]

  상속 또는 증여로 취득한 부동산을 양도하는 경우, 상속개시일 또는 증여일 현재 상증세법 제60조부터 제66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적법하게 평가한 가액을 취득 당시의 실지 거래가액으로 보는 것임.

[요 지]

  상속 또는 증여로 취득한 부동산을 양도하는 경우, 상속개시일 또는 증여일 현재 상증세법 제60조부터 제66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적법하게 평가한 가액을 취득 당시의 실지 거래가액으로 보는 것임.

[판결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관련법령]

소득세법시행령 제163조【양도자산의 필요경비】

사 건

2024누56957 양도소득세부과처분취소

원 고

JJJ

피 고

GG세무서장

판 결 선 고

2025. 1. 17.

주 문

1. 원고의 항소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청구취지 및 항소취지

제1심판결을 취소한다. 피고가 202*. 11. 1. 원고에 대하여 한 2017년 귀속 양도소득세 **,202,590원(가산세 포함)의 부과처분을 취소한다.

이 유

1. 제1심판결의 인용 이 법원의 판결 이유 중 결론을 제외한 부분은 아래와 같이 일부 내용을 고치는 것 외에는 제1심판결 이유의 해당 부분과 같으므로,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 민사소송법 제420조 본문에 의하여 별지를 포함하여 이를 인용한다.

○ 제1심판결 제3면 제2행의 ⁠“1)” 뒤에 ⁠“이 사건 토지에서 분할된 인천 J구 DD동 **-** 전 51㎡ 중 원고의 부친 JHH 소유의 2/9 지분에 대하여 201*. 7. 29. 자 공공용지 협의취득을 원인으로 하여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질 무렵 4,946,430원의 보상금이 지급되었으며,”를 추가한다.

○ 제1심판결 제3면 제5, 6, 7행의 ⁠“개별공시지가를 ... 되어야 한다.”를 ⁠“위 공공용지협의취득 사례, 매매 사례, 경매 사례에서 산출되는 **,421,233원, **,028,393원 또는 **,888,888원 중 하나로 정해야 함에도, 이를 개별공시지가로 산출한 *,473,272원으로 정한 이 사건 처분은 위법하다.”라고 고치고, 각주 1)을 삭제한다.

○ 제1심판결 제3면 제12, 13행 사이에 아래 내용을 추가한다.

『3) 부모의 증여와 공유물분할 등 이 사건 쟁점 토지의 취득과 처분 경위에 비추어 볼 때, 원고가 부동산 양도차익을 노리고 단기간 투기행위를 한 것이 아니므로, 이 사건 쟁점 토지에 대한 양도소득세 산정 시 보유 기간이 1년 미만이라는 이유만으로 양도세율 50%를 적용한 이 사건 처분은 위법하다.』

○ 제1심판결 제4면 제6행의 ⁠“**,028,572원” 앞에 ⁠“**,421,233원,”을 추가한다.

○ 제1심판결 제4면 마지막 행의 ⁠“원고가 제시한” 다음에 ⁠“위 201*. 7. 29. 자 공공용지 협의취득 사례나“를 추가한다.

○ 제1심판결 제5면 제16, 17행 사이에 아래 내용을 추가한다.

『또한, 앞서 본 바와 같이 원고가 201*. 11. 7. 이 사건 쟁점 토지에 관하여 201*. 9. 5. 증여를 원인으로 지분이전등기를 마친 다음, 아직 그 보유기간이 1년에 달하지 아니한 201*. 8. 25. 이 사건 쟁점 토지를 공유물분할을 위한 경매를 원인으로 양도한 이상, 이 사건 쟁점 토지가 1년 미만의 단기 보유자산이라고 보아 구 소득세법 제104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과세표준의 100분의 50을 세율로 적용한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하다고 볼 것이고, 나아가 조세법률주의의 원칙상 과세요건이거나 비과세요건 또는 조세감면요건을 막론하고 조세법규의 해석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법문대로 해석하여야 하고, 합리적 이유 없이 확장해석하거나 유추해석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 점(대법원 2003. 1. 24. 선고 2002두9537 판결 등 참조) 등에 비추어 볼 때, 원고가 주장하는 이 사건 쟁점 토지의 취득 및 처분 경위 등을 들어 앞서와 달리 볼 여지는 없다.』

2. 결론

그렇다면 원고의 이 사건 청구는 이유 없어 이를 기각할 것인바, 제1심판결은 이와

결론이 같아 정당하다. 이에 대한 원고의 항소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기각한다.

                            

출처 : 서울고등법원 2025. 01. 17. 선고 서울고등법원 2024누56957 판결 | 국세법령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