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공공건설임대주택 분양전환 후 장기보유특별공제 적용

사전-2024-법규재산-0434  ·  2024. 07. 04.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공공건설임대주택을 분양전환 받아 3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도 임차기간을 포함하여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S요약

국세청 유권해석에 따르면 공공건설임대주택을 분양전환 후 3년 미만 보유한 경우에는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적용받을 수 없다고 판단됩니다. 보유기간 산정은 자산의 취득일부터 양도일까지로 하며, 1세대 1주택자가 임차기간이 길더라도 분양전환 후 보유기간이 3년이 되지 않으면 공제가 불가합니다.
#공공건설임대주택 #분양전환 #장기보유특별공제 #3년 요건 #양도소득세 #소득세법 제95조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사전-2024-법규재산-0434  ·  2024. 07. 04.

  • 국세청 사전-2024-법규재산-0434 회신(2024-07-04)에 따른 유권해석입니다.
  • 공공주택 특별법에 따른 공공건설임대주택의 경우, 분양전환일이 실제 취득일에 해당하며, 이 날짜부터 보유기간을 산정합니다.
  • 장기보유특별공제의 적용 여부는 보유기간이 3년 이상인 경우에만 가능하다고 소득세법에서 정하고 있습니다.
  • 임차기간이 5년 이상이라 하더라도, 분양전환 후 취득일부터 양도일까지의 기간이 3년 미만이면 장기보유특별공제를 받을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 따라서, A아파트를 ‘22. 8. 19. 분양전환으로 취득 후 ‘24. 8. 20.에 양도하는 경우, 보유기간이 3년 미만이므로 장기보유특별공제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회신하였습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소득세법 제95조 제2항: 장기보유 특별공제는 보유기간이 3년 이상인 자산에 한해 적용
  • 소득세법 제95조 제4항: 자산의 보유기간 산정 기준은 자산의 취득일부터 양도일까지임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9조의4: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1세대 1주택에 대한 장기보유특별공제 요건과 공제율 정의
사례 Q&A
1. 공공건설임대주택 분양전환 시 장기보유특별공제 기준은?
답변
분양전환일을 기준으로 보유기간을 산정하며, 3년이 경과해야 장기보유특별공제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근거
소득세법 제95조 제2항, 제4항에서 취득일부터 양도일까지를 보유기간으로 규정합니다.
2. 임차기간이 5년 넘는 공공건설임대주택을 분양받은 경우, 임차기간도 장기보유특별공제 계산에 들어가나요?
답변
임차기간은 보유기간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분양전환 후 취득일부터 양도일까지만 적용됩니다.
근거
국세청 사전-2024-법규재산-0434 회신에 근거하여 분양전환 이전 기간은 보유기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3. 1세대 1주택자가 분양전환 받아 3년 미만 보유한 경우 장기보유특별공제 받을 수 있나요?
답변
3년 이상 보유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공제 적용이 불가합니다.
근거
소득세법 제95조 제2항 및 국세청 유권해석에 따라 3년 미만 보유 시 불가 판정이 내려졌습니다.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요지

 ⁠「소득세법」제95조 제2항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적용함에 있어 보유기간의 계산은 같은 조 제4항 규정에 의하여 당해 자산의 취득일부터 양도일까지로 하는 것이며,「공공주택 특별법」에 따른 공공건설임대주택이 분양전환 이후 보유기간이 3년 미만인 경우에는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적용받을 수 없는 것임

답변내용

「소득세법」제95조 제2항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적용함에 있어 보유기간의 계산은 같은 조 제4항 규정에 의하여 당해 자산의 취득일부터 양도일까지로 하는 것이며,「공공주택 특별법」에 따른 공공건설임대주택이 분양전환 이후 보유기간이 3년 미만인 경우에는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적용받을 수 없는 것입니다.

1. 사실관계

○ ’15년 ⁠「공공주택 특별법」에 따른 공공건설임대주택인 A아파트에서 임차하여 세대전원이 5년이상 거주

 ○ ’22. 8.19. A아파트 분양전환으로 취득

             * 소득칙§78③의 장기할부조건을 충족한 경우로 전제함

 ○ ’24. 6. 3. A아파트의 양도대금을 1,255백만원으로 계약서 작성

 ○ ’24. 8.20. A주택 양도

   

’15년

’22.8.19.

’24.8.20.

---------▴--------------------▴--------------------▴--------

A아파트 임차

A아파트 분양전환

A아파트 양도

2. 질의요지

 ○ 1세대 1주택자가 임차일부터 양도일까지의 기간 중 세대전원이 거주한 기간이 5년 이상인 공공건설임대주택을 12억원 초과하여 양도하는 경우, 적용가능한 장기보유 특별공제율은

3. 관련 법령

 ○소득세법 제95조【양도소득금액】

 ① 양도소득금액은 양도차익에서 장기보유 특별공제액을 공제한 금액으로 한다.

 ② 제1항에서 "장기보유 특별공제액"이란 제94조제1항제1호에 따른 자산(제104조제3항에 따른 미등기양도자산과 같은 조 제7항 각 호에 따른 자산은 제외한다)으로서 보유기간이 3년 이상인 것 및 제94조제1항제2호가목에 따른 자산 중 조합원입주권(조합원으로부터 취득한 것은 제외한다)에 대하여 그 자산의 양도차익(조합원입주권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74조에 따른 관리처분계획 인가 및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 제29조에 따른 사업시행계획인가 전 토지분 또는 건물분의 양도차익으로 한정한다)에 다음 표 1에 따른 보유기간별 공제율을 곱하여 계산한 금액을 말한다.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1세대 1주택(이에 딸린 토지를 포함한다)에 해당하는 자산의 경우에는 그 자산의 양도차익에 다음 표 2에 따른 보유기간별 공제율을 곱하여 계산한 금액과 같은 표에 따른 거주기간별 공제율을 곱하여 계산한 금액을 합산한 것을 말한다.

     

 ④ 제2항에서 규정하는 자산의 보유기간은 그 자산의 취득일부터 양도일까지로 한다. 다만, 제97조의2제1항의 경우에는 증여한 배우자 또는 직계존비속이 해당 자산을 취득한 날부터 기산(起算)하고, 같은 조 제4항제1호에 따른 가업상속공제가 적용된 비율에 해당하는 자산의 경우에는 피상속인이 해당 자산을 취득한 날부터 기산한다.

소득세법 시행령 제159조의4 【장기보유특별공제】

법 제95조제2항 표 외의 부분 단서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1세대 1주택"이란 1세대가 양도일 현재 국내에 1주택(제155조ㆍ제155조의2ㆍ제156조의2ㆍ제156조의3 및 그 밖의 규정에 따라 1세대 1주택으로 보는 주택을 포함한다)을 보유하고 보유기간 중 거주기간이 2년 이상인 것을 말한다. 이 경우 해당 1주택이 제155조제3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 따른 공동상속주택인 경우 거주기간은 해당 주택에 거주한 공동상속인 중 그 거주기간이 가장 긴 사람이 거주한 기간으로 판단한다.

출처 : 국세청 2024. 07. 04. 사전-2024-법규재산-0434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유권해석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공공건설임대주택 분양전환 후 장기보유특별공제 적용

사전-2024-법규재산-0434  ·  2024. 07. 04.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공공건설임대주택을 분양전환 받아 3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도 임차기간을 포함하여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S요약

국세청 유권해석에 따르면 공공건설임대주택을 분양전환 후 3년 미만 보유한 경우에는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적용받을 수 없다고 판단됩니다. 보유기간 산정은 자산의 취득일부터 양도일까지로 하며, 1세대 1주택자가 임차기간이 길더라도 분양전환 후 보유기간이 3년이 되지 않으면 공제가 불가합니다.
#공공건설임대주택 #분양전환 #장기보유특별공제 #3년 요건 #양도소득세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사전-2024-법규재산-0434  ·  2024. 07. 04.

  • 국세청 사전-2024-법규재산-0434 회신(2024-07-04)에 따른 유권해석입니다.
  • 공공주택 특별법에 따른 공공건설임대주택의 경우, 분양전환일이 실제 취득일에 해당하며, 이 날짜부터 보유기간을 산정합니다.
  • 장기보유특별공제의 적용 여부는 보유기간이 3년 이상인 경우에만 가능하다고 소득세법에서 정하고 있습니다.
  • 임차기간이 5년 이상이라 하더라도, 분양전환 후 취득일부터 양도일까지의 기간이 3년 미만이면 장기보유특별공제를 받을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 따라서, A아파트를 ‘22. 8. 19. 분양전환으로 취득 후 ‘24. 8. 20.에 양도하는 경우, 보유기간이 3년 미만이므로 장기보유특별공제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회신하였습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소득세법 제95조 제2항: 장기보유 특별공제는 보유기간이 3년 이상인 자산에 한해 적용
  • 소득세법 제95조 제4항: 자산의 보유기간 산정 기준은 자산의 취득일부터 양도일까지임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9조의4: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1세대 1주택에 대한 장기보유특별공제 요건과 공제율 정의
사례 Q&A
1. 공공건설임대주택 분양전환 시 장기보유특별공제 기준은?
답변
분양전환일을 기준으로 보유기간을 산정하며, 3년이 경과해야 장기보유특별공제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근거
소득세법 제95조 제2항, 제4항에서 취득일부터 양도일까지를 보유기간으로 규정합니다.
2. 임차기간이 5년 넘는 공공건설임대주택을 분양받은 경우, 임차기간도 장기보유특별공제 계산에 들어가나요?
답변
임차기간은 보유기간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분양전환 후 취득일부터 양도일까지만 적용됩니다.
근거
국세청 사전-2024-법규재산-0434 회신에 근거하여 분양전환 이전 기간은 보유기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3. 1세대 1주택자가 분양전환 받아 3년 미만 보유한 경우 장기보유특별공제 받을 수 있나요?
답변
3년 이상 보유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공제 적용이 불가합니다.
근거
소득세법 제95조 제2항 및 국세청 유권해석에 따라 3년 미만 보유 시 불가 판정이 내려졌습니다.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요지

 ⁠「소득세법」제95조 제2항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적용함에 있어 보유기간의 계산은 같은 조 제4항 규정에 의하여 당해 자산의 취득일부터 양도일까지로 하는 것이며,「공공주택 특별법」에 따른 공공건설임대주택이 분양전환 이후 보유기간이 3년 미만인 경우에는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적용받을 수 없는 것임

답변내용

「소득세법」제95조 제2항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적용함에 있어 보유기간의 계산은 같은 조 제4항 규정에 의하여 당해 자산의 취득일부터 양도일까지로 하는 것이며,「공공주택 특별법」에 따른 공공건설임대주택이 분양전환 이후 보유기간이 3년 미만인 경우에는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적용받을 수 없는 것입니다.

1. 사실관계

○ ’15년 ⁠「공공주택 특별법」에 따른 공공건설임대주택인 A아파트에서 임차하여 세대전원이 5년이상 거주

 ○ ’22. 8.19. A아파트 분양전환으로 취득

             * 소득칙§78③의 장기할부조건을 충족한 경우로 전제함

 ○ ’24. 6. 3. A아파트의 양도대금을 1,255백만원으로 계약서 작성

 ○ ’24. 8.20. A주택 양도

   

’15년

’22.8.19.

’24.8.20.

---------▴--------------------▴--------------------▴--------

A아파트 임차

A아파트 분양전환

A아파트 양도

2. 질의요지

 ○ 1세대 1주택자가 임차일부터 양도일까지의 기간 중 세대전원이 거주한 기간이 5년 이상인 공공건설임대주택을 12억원 초과하여 양도하는 경우, 적용가능한 장기보유 특별공제율은

3. 관련 법령

 ○소득세법 제95조【양도소득금액】

 ① 양도소득금액은 양도차익에서 장기보유 특별공제액을 공제한 금액으로 한다.

 ② 제1항에서 "장기보유 특별공제액"이란 제94조제1항제1호에 따른 자산(제104조제3항에 따른 미등기양도자산과 같은 조 제7항 각 호에 따른 자산은 제외한다)으로서 보유기간이 3년 이상인 것 및 제94조제1항제2호가목에 따른 자산 중 조합원입주권(조합원으로부터 취득한 것은 제외한다)에 대하여 그 자산의 양도차익(조합원입주권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74조에 따른 관리처분계획 인가 및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 제29조에 따른 사업시행계획인가 전 토지분 또는 건물분의 양도차익으로 한정한다)에 다음 표 1에 따른 보유기간별 공제율을 곱하여 계산한 금액을 말한다.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1세대 1주택(이에 딸린 토지를 포함한다)에 해당하는 자산의 경우에는 그 자산의 양도차익에 다음 표 2에 따른 보유기간별 공제율을 곱하여 계산한 금액과 같은 표에 따른 거주기간별 공제율을 곱하여 계산한 금액을 합산한 것을 말한다.

     

 ④ 제2항에서 규정하는 자산의 보유기간은 그 자산의 취득일부터 양도일까지로 한다. 다만, 제97조의2제1항의 경우에는 증여한 배우자 또는 직계존비속이 해당 자산을 취득한 날부터 기산(起算)하고, 같은 조 제4항제1호에 따른 가업상속공제가 적용된 비율에 해당하는 자산의 경우에는 피상속인이 해당 자산을 취득한 날부터 기산한다.

소득세법 시행령 제159조의4 【장기보유특별공제】

법 제95조제2항 표 외의 부분 단서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1세대 1주택"이란 1세대가 양도일 현재 국내에 1주택(제155조ㆍ제155조의2ㆍ제156조의2ㆍ제156조의3 및 그 밖의 규정에 따라 1세대 1주택으로 보는 주택을 포함한다)을 보유하고 보유기간 중 거주기간이 2년 이상인 것을 말한다. 이 경우 해당 1주택이 제155조제3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 따른 공동상속주택인 경우 거주기간은 해당 주택에 거주한 공동상속인 중 그 거주기간이 가장 긴 사람이 거주한 기간으로 판단한다.

출처 : 국세청 2024. 07. 04. 사전-2024-법규재산-0434 | 국세법령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