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고용노동부, 2025. 7. 15.]
고용노동부(고용정책실 고용지원정책관 미래고용분석과)
국민신문고에서 수집한 데이터입니다.
산업별 고용 변화를 세부적으로 파악하고 싶은데 어떤 통계를 보면 되나요?
산업별 고용 변화를 세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고용노동부가 매월 발표하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을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경제활동인구조사(통계청)와 사업체노동력조사(고용노동부)도 산업별 통계를 제공하나,
경제활동인구조사는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므로 산업분류가 상대적으로 포괄적이며,
사업체노동력조사는 사업체를 대상으로 하는 표본조사로 산업을 세세하게 나누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반면,
고용행정통계는 전수 기반의 행정자료를 활용하기 때문에 대분류부터 소분류까지의(https://eis.work24.go.kr 기준) 산업별 고용변화를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용보험 가입자(피보험자), 취득자 및 상실자, 구직급여 신청자 및 지급자 등 다양한 특성에 따른 고용증감 현황도 함께 제공됩니다.
다만,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 기준이므로 고용보험 미가입자는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해당 통계는 고용노동부 누리집(https://moel.go.kr) > 뉴스소식 > 보도자료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고용정책 기본법 제15조(고용ㆍ직업 정보의 수집ㆍ관리)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고용노동부, 2025. 7. 15.]
고용노동부(고용정책실 고용지원정책관 미래고용분석과)
국민신문고에서 수집한 데이터입니다.
산업별 고용 변화를 세부적으로 파악하고 싶은데 어떤 통계를 보면 되나요?
산업별 고용 변화를 세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고용노동부가 매월 발표하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을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경제활동인구조사(통계청)와 사업체노동력조사(고용노동부)도 산업별 통계를 제공하나,
경제활동인구조사는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므로 산업분류가 상대적으로 포괄적이며,
사업체노동력조사는 사업체를 대상으로 하는 표본조사로 산업을 세세하게 나누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반면,
고용행정통계는 전수 기반의 행정자료를 활용하기 때문에 대분류부터 소분류까지의(https://eis.work24.go.kr 기준) 산업별 고용변화를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용보험 가입자(피보험자), 취득자 및 상실자, 구직급여 신청자 및 지급자 등 다양한 특성에 따른 고용증감 현황도 함께 제공됩니다.
다만,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 기준이므로 고용보험 미가입자는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해당 통계는 고용노동부 누리집(https://moel.go.kr) > 뉴스소식 > 보도자료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고용정책 기본법 제15조(고용ㆍ직업 정보의 수집ㆍ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