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특정법인 주주 간 저가 불균등 유상감자의 증여세 적용 여부

사전-2025-법규재산-0168  ·  2025. 06. 25.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특정법인이 주주로 있는 특수관계법인이 개인주주만 저가 불균등 유상감자에 참여하여 특정법인이 이익을 분여받은 경우, 해당 특정법인의 지배주주에게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5 또는 제4조 제1항에 따라 증여세가 과세되는지요?

S요약

국세청은 특정법인이 주주로 있는 특수관계법인에서 개인주주만 저가 불균등 유상감자에 참여하여 특정법인이 이익을 분여받는 경우, 현행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5 및 제4조 제1항에 따라 증여세를 과세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는 불균등 저가 유상감자가 해당 규정상 거래유형에서 제외되어 있고, 간접적으로 얻은 이익도 과세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하였습니다.
#특정법인 #불균등 유상감자 #저가 감자 #증여세 #상속세 및 증여세법 #주주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사전-2025-법규재산-0168  ·  2025. 06. 25.

  • 국세청 사전-2025-법규재산-0168(2025.06.25.) 및 사전-2023-법규재산-0276(2023.06.08.) 회신에 근거합니다.
  • 불균등 저가 유상감자는 상증법 제45조의5(법률 제20777호로 개정되기 전)의 특정법인과의 거래 유형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해당 조항에 따라 증여세를 과세할 수 없다고 판단됩니다.
  • 쟁점거래를 통해 특정법인(B)의 지배주주가 얻은 이익 역시 상증법 제4조 제1항 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 따라서, 저가 불균등 유상감자 실시를 통해 신청인(특정법인의 지배주주)에게 증여세가 과세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 2025년 3월 14일 이후 개정된 법령(제45조의5 제1항 제3호의2)은 소급적용되지 않으며, 개정 전 거래에 대해서는 기존 해석을 적용합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조: 증여세 과세대상을 규정하며, 무상·저가·고가 양도 등 거래 유형 및 유사 경제적 실질까지 포함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5(개정 전): 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의제 거래유형을 열거. 불균등 저가 유상감자는 열거된 거래유형에 포함되어 있지 않음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34조의5: 불균등 감자 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특정 자본거래 유형, 과세대상 거래 유형 및 계산방법 규정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조의2: 수증자별로 증여세 납부의무 및 법인세와의 조세조정 규정
  • 상속세 및 증여세법(2025.3.14. 개정) 부칙: 신설된 제45조의5 제1항 제3호의2는 개정 이후 실시에 한정하여 적용
사례 Q&A
1. 특정법인이 주주인 특수관계법인에서 개인주주만 저가 유상감자에 참여해 이익을 분여받은 경우 증여세 부과 여부는?
답변
국세청 유권해석에 따르면 해당 저가 불균등 유상감자에 대해 증여세를 과세할 수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근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5(개정 전) 적용 거래유형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국세청 사전-2025-법규재산-0168 회신에서 명시함.
2. 불균등 저가 유상감자가 상증법상 증여세 과세대상 거래에 포함되는지?
답변
불균등 저가 유상감자는 개정 전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5 열거 거래에 포함되지 않아 증여세 과세대상이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근거
법률 제20777호로 개정되기 전 조문과 국세청 2025-0168 유권해석에서 불포함을 명확히 밝힘.
3. 개정 전 증여세법에서 특정법인 주주가 간접적으로 얻은 이익도 증여세가 과세될 수 있나?
답변
국세청의 회신에 따르면 간접적으로 얻은 이익도 상증법 제4조 제1항 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않아 증여세가 과세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근거
사전-2025-법규재산-0168 및 사전-2023-0276 회신에서 직접/간접 이익 모두 과세대상 아님을 명시.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요지

상증법§45의5*에 따른 ⁠‘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의제’ 적용대상으로 열거된 거래유형에 「불균등 저가 유상감자」는 포함되어 있지 않고, 쟁점거래를 통하여 특정법인(B)의 지배주주가 얻은 간접 증여이익은 같은 법§4①의 과세대상에도 해당하지 않아 쟁점거래의 결과 신청인들에게 증여세를 과세할 수 없음
* 법률 제2077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답변내용

귀 사전답변 신청의 경우, 국세청 기존 해석(사전-2023-법규재산-0276, 2023.06.08.)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끝.

※ 사전-2023-법규재산-0276, 2023.06.08.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5제1항에 따른 특정법인(B)이 주주인 내국법인(A)이 유상감자를 실시하는 경우로서 내국법인(A)의 주주 중 개인주주(특정법인의 지배주주인 갑, 을과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2조의2제1항제1호에 따른 특수관계에 있는 자)만 저가 유상감자에 참여하여 특정법인(B)이 이익을 분여 받은 경우, 특정법인(B)의 지배주주인 갑과 을에 대해서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5* 및 같은 법 제4조제1항의 규정을 적용하여 증여세를 과세할 수 없는 것입니다.
* 법률 제2077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문서번호]

사전-2025-법규재산-0168(2025.06.25.)

[세목]

상증

[납세자회신번호]

법규과-1424

[제 목]

특정법인이 주주로 있는 특수관계법인의 불균등 유상감자 시 특정법인의 주주에게 상증법§45의5, §4① 적용 여부

[요 지]

상증법§45의5*에 따른 ⁠‘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의제’ 적용대상으로 열거된 거래유형에 「불균등 저가 유상감자」는 포함되어 있지 않고, 쟁점거래를 통하여 특정법인(B)의 지배주주가 얻은 간접 증여이익은 같은 법§4①의 과세대상에도 해당하지 않아 쟁점거래의 결과 신청인들에게 증여세를 과세할 수 없음
* 법률 제2077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답변내용]

귀 사전답변 신청의 경우, 국세청 기존 해석(사전-2023-법규재산-0276, 2023.06.08.)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끝.

  ※ 사전-2023-법규재산-0276, 2023.06.08.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5제1항에 따른 특정법인(B)이 주주인 내국법인(A)이 유상감자를 실시하는 경우로서 내국법인(A)의 주주 중 개인주주(특정법인의 지배주주인 갑, 을과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2조의2제1항제1호에 따른 특수관계에 있는 자)만 저가 유상감자에 참여하여 특정법인(B)이 이익을 분여 받은 경우, 특정법인(B)의 지배주주인 갑과 을에 대해서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5* 및 같은 법 제4조제1항의 규정을 적용하여 증여세를 과세할 수 없는 것입니다.

    * 법률 제2077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관련법령]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조【증여세 과세대상】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5【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의제】

1. 사실관계

○ 특수관계법인(A)의 주주구성은 개인주주 1인(甲)과 법인주주 1인(특정법인(B))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법인주주인 B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5에 따른 특정법인에 해당하며, 신청인들은 특정법인(B)의 지배주주이며 특수관계법인(A)의 개인주주인 甲과 상증령§2의2①(1)에 따른 친족관계에 해당함

○ 2024.11.12. 개인주주 甲의 주식전부를 시가보다 저가인 1주당 1,000원에 매입 소각하는 불균등 저가 유상감자를 실시할 것을 결의

 ○ 의 지분 구조>

(96.86%)

특정법인 B

(3.14%)

신청인들(96%)

甲(4%)

특수관계법인 A

 ○ 불균등 저가 유상감자 전후 지분 변동>

단위(주, %, 천원)

주주

감자전

분균등 감자

감자후

주식수

지분율

감자

주식수

감자대가

감자후

주식수

감자후

지분율

5,712,635

96.86%

5,712,635

5,712,635

-

0%

특정법인B

185,245

3.14%

-

-

185,245

100%

5,897,880

100%

5,712,635

5,712,635

185,245

100%

2. 질의내용

 ○특정법인(B)이 주주로 있는 특수관계법인(A)이 저가로 불균등 유상 감자를 실시한 경우(’25.3.14. 전 실시)로서 특수관계법인(A)의 개인주주만(특정법인의 지배주주와 특수관계에 있는 자) 저가 유상감자에 참여하여 특정법인이 이익을 분여받은 경우(이하 ⁠“쟁점거래”),

  - ⁠(질의1) 쟁점거래에 대하여 특정법인의 지배주주에게 상증법§45의5 규정이 적용되는지 여부

  - ⁠(질의2) 쟁점거래의 결과, 특정법인의 지배주주가 얻는 이익이 상증법§4①에 따른 증여세 과세대상인지 여부

3. 관련법령 및 관련사례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조【증여세 과세대상】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증여재산에 대해서는 이 법에 따라 증여세를 부과한다.

  1. 무상으로 이전받은 재산 또는 이익

  2. 현저히 낮은 대가를 주고 재산 또는 이익을 이전받음으로써 발생하는 이익이나 현저히 높은 대가를 받고 재산 또는 이익을 이전함으로써 발생하는 이익. 다만, 특수관계인이 아닌 자 간의 거래인 경우에는 거래의 관행상 정당한 사유가 없는 경우로 한정한다.

  3. 재산 취득 후 해당 재산의 가치가 증가한 경우의 그 이익. 다만, 특수관계인이 아닌 자 간의 거래인 경우에는 거래의 관행상 정당한 사유가 없는 경우로 한정한다.

  4. 제33조부터 제39조까지, 제39조의2, 제39조의3, 제40조, 제41조의2부터 제41조의5까지, 제42조, 제42조의2 또는 제42조의3에 해당하는 경우의 그 재산 또는 이익

  5. 제44조 또는 제45조에 해당하는 경우의 그 재산 또는 이익

  6. 제4호 각 규정의 경우와 경제적 실질이 유사한 경우 등 제4호의 각 규정을 준용하여 증여재산의 가액을 계산할 수 있는 경우의 그 재산 또는 이익

 ② 제45조의2부터 제45조의5까지의 규정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재산 또는 이익을 증여받은 것으로 보아 그 재산 또는 이익에 대하여 증여세를 부과한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조의2【증여세 납부의무】

 ① 수증자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증여재산에 대하여 증여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다.

  1. 수증자가 거주자(본점이나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가 국내에 있는 비영리법인을 포함한다. 이하 이 항에서 같다)인 경우:제4조에 따라 증여세 과세대상이 되는 모든 증여재산

  2. 수증자가 비거주자(본점이나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가 외국에 있는 비영리법인을 포함한다. 이하 제6항과 제6조제2항 및 제3항에서 같다)인 경우:제4조에 따라 증여세 과세대상이 되는 국내에 있는 모든 증여재산

 ③ 제1항의 증여재산에 대하여 수증자에게 「소득세법」에 따른 소득세 또는 「법인세법」에 따른 법인세가 부과되는 경우에는 증여세를 부과하지 아니한다. 소득세 또는 법인세가 「소득세법」, 「법인세법」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비과세되거나 감면되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④ 영리법인이 증여받은 재산 또는 이익에 대하여 「법인세법」에 따른 법인세가 부과되는 경우(법인세가 「법인세법」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비과세되거나 감면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해당 법인의 주주등에 대해서는 제45조의3부터 제45조의5까지의 규정에 따른 경우를 제외하고는 증여세를 부과하지 아니한다.

□ 상속세 및 증여세법(2025.3.14. 법률 제20777호로 개정된 것) 제45조의5【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의제】

 ① 지배주주와 그 친족(이하 이 조에서 "지배주주등"이라 한다)이 직접 또는 간접으로 보유하는 주식보유비율이 100분의 30 이상인 법인(이하 이 조 및 제68조에서 "특정법인"이라 한다)이 지배주주의 특수관계인과 다음 각 호에 따른 거래를 하는 경우에는 거래한 날을 증여일로 하여 그 특정법인의 이익에 특정법인의 지배주주등이 직접 또는 간접으로 보유하는 주식보유비율을 곱하여 계산한 금액을 그 특정법인의 지배주주등이 증여받은 것으로 본다.

  1. 재산 또는 용역을 무상으로 제공받는 것

  2. 재산 또는 용역을 통상적인 거래 관행에 비추어 볼 때 현저히 낮은 대가로 양도ㆍ제공받는 것

  3. 재산 또는 용역을 통상적인 거래 관행에 비추어 볼 때 현저히 높은 대가로 양도ㆍ제공하는 것

  3의2. 불균등 감자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본거래를 통하여 이익을 분여 받는 것

  4. 그 밖에 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거래와 유사한 거래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② 제1항에 따른 증여세액이 지배주주등이 직접 증여받은 경우의 증여세 상당액에서 특정법인이 부담한 법인세 상당액을 차감한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액은 없는 것으로 본다.

 ③ 제1항에 따른 지배주주의 판정방법, 증여일의 판단, 특정법인의 이익의 계산, 현저히 낮은 대가와 현저히 높은 대가의 범위, 제2항에 따른 초과액의 계산 및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부 칙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 의제에 관한 적용례) 제45조의5제1항제3호의2의 개정규정은 이 법 시행 이후 같은 개정규정에 따른 거래를 하는 경우부터 적용한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2025.3.14. 법률 제2077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5조의5【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의제】

 ① 지배주주와 그 친족(이하 이 조에서 ⁠“지배주주등”이라 한다)이 직접 또는 간접으로 보유하는 주식보유비율이 100분의 30 이상인 법인(이하 이 조 및 제68조에서 ⁠“특정법인”이라 한다)이 지배주주의 특수관계인과 다음 각 호에 따른 거래를 하는 경우에는 거래한 날을 증여일로 하여 그 특정법인의 이익에 특정법인의 지배주주등의 주식보유비율을 곱하여 계산한 금액을 그 특정법인의 지배주주등이 증여받은 것으로 본다.

  1. 재산 또는 용역을 무상으로 제공받는 것

  2. 재산 또는 용역을 통상적인 거래 관행에 비추어 볼 때 현저히 낮은 대가로 양도․제공받는 것

  3. 재산 또는 용역을 통상적인 거래 관행에 비추어 볼 때 현저히 높은 대가로 양도․제공하는 것

  4. 그 밖에 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거래와 유사한 거래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② ~ ③ 생략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34조의5【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의제】

 ① 생략

 ② 법 제45조의5제1항제3호의2에서 "불균등 감자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본거래"란 같은 항 각 호 외의 부분에 따른 특정법인(이하 이 조에서 "특정법인"이라 한다)과 지배주주의 특수관계인 사이에 이루어지거나 지배주주의 특수관계인 사이에 이루어지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본거래를 말한다.

  1. 주식등을 시가보다 높거나 낮게 평가하여 불공정한 비율로 합병(분할합병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하는 거래. 다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4에 따라 합병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2. 법인이 자본금(출자액을 포함한다. 이하 이 항에서 같다)을 증가시키기 위해 새로운 주식등을 시가보다 높거나 낮은 가액으로 발행하는 거래

  3. 법인이 자본금을 감소시키기 위해 주식등을 소각할 때 주주등의 소유주식등의 비율에 의하지 않거나 일부 주주등의 주식등을 시가보다 높거나 낮은 가액으로 소각하는 거래

  4. 현물출자에 의해 주식등을 시가보다 높거나 낮은 가액으로 인수하는 거래

  5. 전환사채등을 시가보다 높거나 낮은 가액으로 인수ㆍ취득ㆍ양도하거나 전환사채등에 의해 주식으로 전환ㆍ교환 또는 주식의 인수를 할 때 그 전환사채등에 의해 교부받았거나 교부받을 주식의 가액이 전환가액등보다 높거나 낮은 거래

  6. 법인이 이익이나 잉여금에 대한 배당등을 할 때 일부 주주등이 본인이 지급받을 배당등의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기하거나 본인이 보유한 주식등에 비례하여 균등하지 않은 조건으로 배당등을 받는 거래

  7. 주식의 포괄적 교환 또는 이전으로 인해 소유지분이나 그 가액이 변동되는 거래

  8. 그 밖에 제1호부터 제7호까지의 거래에 준하는 거래

 ③ 삭제

 ④ 법 제45조의5제1항에서 "특정법인의 이익"이란 제1호의 금액에서 제2호의 금액을 뺀 금액을 말한다.

  1.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른 금액

  가. 재산을 증여하거나 해당 법인의 채무를 면제ㆍ인수 또는 변제하는 경우: 증여재산가액 또는 그 면제ㆍ인수 또는 변제로 인하여 해당 법인이 얻는 이익에 상당하는 금액

  나. 법 제45조의5제1항제3호의2에 따른 자본거래의 경우: 제2항 각 호의 거래 유형에 따라 법 제38조, 제39조, 제39조의2, 제39조의3, 제40조, 제41조의2, 제42조의2, 이 영 제28조제3항부터 제7항까지, 제29조제2항, 제29조의2, 제29조의3, 제30조제1항ㆍ제2항ㆍ제5항, 제31조의2제2항 및 제32조의2를 준용하여 계산한 이익에 상당하는 금액

  다. 가목 및 나목 외의 경우: 제7항에 따른 시가와 대가와의 차액에 상당하는 금액

  2. 가목의 금액에 나목의 비율을 곱하여 계산한 금액

  가. 특정법인의 「법인세법」 제55조제1항에 따른 산출세액(같은 법 제55조의2에 따른 토지등 양도소득에 대한 법인세액은 제외한다)에서 법인세액의 공제ㆍ감면액을 뺀 금액

  나. 제1호에 따른 이익이 특정법인의 「법인세법」 제14조에 따른 각 사업연도의 소득금액에서 차지하는 비율(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로 한다)

 ⑤ 법 제45조의5제1항을 적용할 때 특정법인의 주주등이 증여받은 것으로 보는 경우는 같은 항에 따른 증여의제이익이 1억원 이상인 경우로 한정한다.

 ⑥ 법 제45조의5제1항제4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1. 해당 법인의 채무를 면제․인수 또는 변제하는 것. 다만, 해당 법인이 해산(합병 또는 분할에 의한 해산은 제외한다) 중인 경우로서 주주등에게 분배할 잔여재산이 없는 경우는 제외한다.

  2. 시가보다 낮은 가액으로 해당 법인에 현물출자하는 것

 ⑦ 법 제45조의5제1항제2호 및 제3호에서 ⁠“현저히 낮은 대가” 및 ⁠“현저히 높은 대가”란 각각 해당 재산 및 용역의 시가와 대가(제6항제2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출자한 재산에 대하여 교부받은 주식등의 액면가액의 합계액을 말한다)와의 차액이 시가의 100분의 30 이상이거나 그 차액이 3원 이상인 경우의 해당 가액을 말한다. 이 경우 금전을 대부하거나 대부받는 경우에는 법 제41조의4를 준용하여 계산한 이익으로 한다.

 ⑧ ~ ⑨ 생략

출처 : 국세청 2025. 06. 25. 사전-2025-법규재산-0168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유권해석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특정법인 주주 간 저가 불균등 유상감자의 증여세 적용 여부

사전-2025-법규재산-0168  ·  2025. 06. 25.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특정법인이 주주로 있는 특수관계법인이 개인주주만 저가 불균등 유상감자에 참여하여 특정법인이 이익을 분여받은 경우, 해당 특정법인의 지배주주에게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5 또는 제4조 제1항에 따라 증여세가 과세되는지요?

S요약

국세청은 특정법인이 주주로 있는 특수관계법인에서 개인주주만 저가 불균등 유상감자에 참여하여 특정법인이 이익을 분여받는 경우, 현행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5 및 제4조 제1항에 따라 증여세를 과세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는 불균등 저가 유상감자가 해당 규정상 거래유형에서 제외되어 있고, 간접적으로 얻은 이익도 과세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하였습니다.
#특정법인 #불균등 유상감자 #저가 감자 #증여세 #상속세 및 증여세법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사전-2025-법규재산-0168  ·  2025. 06. 25.

  • 국세청 사전-2025-법규재산-0168(2025.06.25.) 및 사전-2023-법규재산-0276(2023.06.08.) 회신에 근거합니다.
  • 불균등 저가 유상감자는 상증법 제45조의5(법률 제20777호로 개정되기 전)의 특정법인과의 거래 유형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해당 조항에 따라 증여세를 과세할 수 없다고 판단됩니다.
  • 쟁점거래를 통해 특정법인(B)의 지배주주가 얻은 이익 역시 상증법 제4조 제1항 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 따라서, 저가 불균등 유상감자 실시를 통해 신청인(특정법인의 지배주주)에게 증여세가 과세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 2025년 3월 14일 이후 개정된 법령(제45조의5 제1항 제3호의2)은 소급적용되지 않으며, 개정 전 거래에 대해서는 기존 해석을 적용합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조: 증여세 과세대상을 규정하며, 무상·저가·고가 양도 등 거래 유형 및 유사 경제적 실질까지 포함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5(개정 전): 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의제 거래유형을 열거. 불균등 저가 유상감자는 열거된 거래유형에 포함되어 있지 않음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34조의5: 불균등 감자 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특정 자본거래 유형, 과세대상 거래 유형 및 계산방법 규정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조의2: 수증자별로 증여세 납부의무 및 법인세와의 조세조정 규정
  • 상속세 및 증여세법(2025.3.14. 개정) 부칙: 신설된 제45조의5 제1항 제3호의2는 개정 이후 실시에 한정하여 적용
사례 Q&A
1. 특정법인이 주주인 특수관계법인에서 개인주주만 저가 유상감자에 참여해 이익을 분여받은 경우 증여세 부과 여부는?
답변
국세청 유권해석에 따르면 해당 저가 불균등 유상감자에 대해 증여세를 과세할 수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근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5(개정 전) 적용 거래유형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국세청 사전-2025-법규재산-0168 회신에서 명시함.
2. 불균등 저가 유상감자가 상증법상 증여세 과세대상 거래에 포함되는지?
답변
불균등 저가 유상감자는 개정 전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5 열거 거래에 포함되지 않아 증여세 과세대상이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근거
법률 제20777호로 개정되기 전 조문과 국세청 2025-0168 유권해석에서 불포함을 명확히 밝힘.
3. 개정 전 증여세법에서 특정법인 주주가 간접적으로 얻은 이익도 증여세가 과세될 수 있나?
답변
국세청의 회신에 따르면 간접적으로 얻은 이익도 상증법 제4조 제1항 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않아 증여세가 과세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근거
사전-2025-법규재산-0168 및 사전-2023-0276 회신에서 직접/간접 이익 모두 과세대상 아님을 명시.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요지

상증법§45의5*에 따른 ⁠‘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의제’ 적용대상으로 열거된 거래유형에 「불균등 저가 유상감자」는 포함되어 있지 않고, 쟁점거래를 통하여 특정법인(B)의 지배주주가 얻은 간접 증여이익은 같은 법§4①의 과세대상에도 해당하지 않아 쟁점거래의 결과 신청인들에게 증여세를 과세할 수 없음
* 법률 제2077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답변내용

귀 사전답변 신청의 경우, 국세청 기존 해석(사전-2023-법규재산-0276, 2023.06.08.)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끝.

※ 사전-2023-법규재산-0276, 2023.06.08.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5제1항에 따른 특정법인(B)이 주주인 내국법인(A)이 유상감자를 실시하는 경우로서 내국법인(A)의 주주 중 개인주주(특정법인의 지배주주인 갑, 을과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2조의2제1항제1호에 따른 특수관계에 있는 자)만 저가 유상감자에 참여하여 특정법인(B)이 이익을 분여 받은 경우, 특정법인(B)의 지배주주인 갑과 을에 대해서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5* 및 같은 법 제4조제1항의 규정을 적용하여 증여세를 과세할 수 없는 것입니다.
* 법률 제2077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문서번호]

사전-2025-법규재산-0168(2025.06.25.)

[세목]

상증

[납세자회신번호]

법규과-1424

[제 목]

특정법인이 주주로 있는 특수관계법인의 불균등 유상감자 시 특정법인의 주주에게 상증법§45의5, §4① 적용 여부

[요 지]

상증법§45의5*에 따른 ⁠‘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의제’ 적용대상으로 열거된 거래유형에 「불균등 저가 유상감자」는 포함되어 있지 않고, 쟁점거래를 통하여 특정법인(B)의 지배주주가 얻은 간접 증여이익은 같은 법§4①의 과세대상에도 해당하지 않아 쟁점거래의 결과 신청인들에게 증여세를 과세할 수 없음
* 법률 제2077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답변내용]

귀 사전답변 신청의 경우, 국세청 기존 해석(사전-2023-법규재산-0276, 2023.06.08.)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끝.

  ※ 사전-2023-법규재산-0276, 2023.06.08.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5제1항에 따른 특정법인(B)이 주주인 내국법인(A)이 유상감자를 실시하는 경우로서 내국법인(A)의 주주 중 개인주주(특정법인의 지배주주인 갑, 을과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2조의2제1항제1호에 따른 특수관계에 있는 자)만 저가 유상감자에 참여하여 특정법인(B)이 이익을 분여 받은 경우, 특정법인(B)의 지배주주인 갑과 을에 대해서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5* 및 같은 법 제4조제1항의 규정을 적용하여 증여세를 과세할 수 없는 것입니다.

    * 법률 제2077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관련법령]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조【증여세 과세대상】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5【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의제】

1. 사실관계

○ 특수관계법인(A)의 주주구성은 개인주주 1인(甲)과 법인주주 1인(특정법인(B))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법인주주인 B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5에 따른 특정법인에 해당하며, 신청인들은 특정법인(B)의 지배주주이며 특수관계법인(A)의 개인주주인 甲과 상증령§2의2①(1)에 따른 친족관계에 해당함

○ 2024.11.12. 개인주주 甲의 주식전부를 시가보다 저가인 1주당 1,000원에 매입 소각하는 불균등 저가 유상감자를 실시할 것을 결의

 ○ 의 지분 구조>

(96.86%)

특정법인 B

(3.14%)

신청인들(96%)

甲(4%)

특수관계법인 A

 ○ 불균등 저가 유상감자 전후 지분 변동>

단위(주, %, 천원)

주주

감자전

분균등 감자

감자후

주식수

지분율

감자

주식수

감자대가

감자후

주식수

감자후

지분율

5,712,635

96.86%

5,712,635

5,712,635

-

0%

특정법인B

185,245

3.14%

-

-

185,245

100%

5,897,880

100%

5,712,635

5,712,635

185,245

100%

2. 질의내용

 ○특정법인(B)이 주주로 있는 특수관계법인(A)이 저가로 불균등 유상 감자를 실시한 경우(’25.3.14. 전 실시)로서 특수관계법인(A)의 개인주주만(특정법인의 지배주주와 특수관계에 있는 자) 저가 유상감자에 참여하여 특정법인이 이익을 분여받은 경우(이하 ⁠“쟁점거래”),

  - ⁠(질의1) 쟁점거래에 대하여 특정법인의 지배주주에게 상증법§45의5 규정이 적용되는지 여부

  - ⁠(질의2) 쟁점거래의 결과, 특정법인의 지배주주가 얻는 이익이 상증법§4①에 따른 증여세 과세대상인지 여부

3. 관련법령 및 관련사례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조【증여세 과세대상】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증여재산에 대해서는 이 법에 따라 증여세를 부과한다.

  1. 무상으로 이전받은 재산 또는 이익

  2. 현저히 낮은 대가를 주고 재산 또는 이익을 이전받음으로써 발생하는 이익이나 현저히 높은 대가를 받고 재산 또는 이익을 이전함으로써 발생하는 이익. 다만, 특수관계인이 아닌 자 간의 거래인 경우에는 거래의 관행상 정당한 사유가 없는 경우로 한정한다.

  3. 재산 취득 후 해당 재산의 가치가 증가한 경우의 그 이익. 다만, 특수관계인이 아닌 자 간의 거래인 경우에는 거래의 관행상 정당한 사유가 없는 경우로 한정한다.

  4. 제33조부터 제39조까지, 제39조의2, 제39조의3, 제40조, 제41조의2부터 제41조의5까지, 제42조, 제42조의2 또는 제42조의3에 해당하는 경우의 그 재산 또는 이익

  5. 제44조 또는 제45조에 해당하는 경우의 그 재산 또는 이익

  6. 제4호 각 규정의 경우와 경제적 실질이 유사한 경우 등 제4호의 각 규정을 준용하여 증여재산의 가액을 계산할 수 있는 경우의 그 재산 또는 이익

 ② 제45조의2부터 제45조의5까지의 규정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재산 또는 이익을 증여받은 것으로 보아 그 재산 또는 이익에 대하여 증여세를 부과한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조의2【증여세 납부의무】

 ① 수증자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증여재산에 대하여 증여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다.

  1. 수증자가 거주자(본점이나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가 국내에 있는 비영리법인을 포함한다. 이하 이 항에서 같다)인 경우:제4조에 따라 증여세 과세대상이 되는 모든 증여재산

  2. 수증자가 비거주자(본점이나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가 외국에 있는 비영리법인을 포함한다. 이하 제6항과 제6조제2항 및 제3항에서 같다)인 경우:제4조에 따라 증여세 과세대상이 되는 국내에 있는 모든 증여재산

 ③ 제1항의 증여재산에 대하여 수증자에게 「소득세법」에 따른 소득세 또는 「법인세법」에 따른 법인세가 부과되는 경우에는 증여세를 부과하지 아니한다. 소득세 또는 법인세가 「소득세법」, 「법인세법」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비과세되거나 감면되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④ 영리법인이 증여받은 재산 또는 이익에 대하여 「법인세법」에 따른 법인세가 부과되는 경우(법인세가 「법인세법」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비과세되거나 감면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해당 법인의 주주등에 대해서는 제45조의3부터 제45조의5까지의 규정에 따른 경우를 제외하고는 증여세를 부과하지 아니한다.

□ 상속세 및 증여세법(2025.3.14. 법률 제20777호로 개정된 것) 제45조의5【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의제】

 ① 지배주주와 그 친족(이하 이 조에서 "지배주주등"이라 한다)이 직접 또는 간접으로 보유하는 주식보유비율이 100분의 30 이상인 법인(이하 이 조 및 제68조에서 "특정법인"이라 한다)이 지배주주의 특수관계인과 다음 각 호에 따른 거래를 하는 경우에는 거래한 날을 증여일로 하여 그 특정법인의 이익에 특정법인의 지배주주등이 직접 또는 간접으로 보유하는 주식보유비율을 곱하여 계산한 금액을 그 특정법인의 지배주주등이 증여받은 것으로 본다.

  1. 재산 또는 용역을 무상으로 제공받는 것

  2. 재산 또는 용역을 통상적인 거래 관행에 비추어 볼 때 현저히 낮은 대가로 양도ㆍ제공받는 것

  3. 재산 또는 용역을 통상적인 거래 관행에 비추어 볼 때 현저히 높은 대가로 양도ㆍ제공하는 것

  3의2. 불균등 감자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본거래를 통하여 이익을 분여 받는 것

  4. 그 밖에 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거래와 유사한 거래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② 제1항에 따른 증여세액이 지배주주등이 직접 증여받은 경우의 증여세 상당액에서 특정법인이 부담한 법인세 상당액을 차감한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액은 없는 것으로 본다.

 ③ 제1항에 따른 지배주주의 판정방법, 증여일의 판단, 특정법인의 이익의 계산, 현저히 낮은 대가와 현저히 높은 대가의 범위, 제2항에 따른 초과액의 계산 및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부 칙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 의제에 관한 적용례) 제45조의5제1항제3호의2의 개정규정은 이 법 시행 이후 같은 개정규정에 따른 거래를 하는 경우부터 적용한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2025.3.14. 법률 제2077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5조의5【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의제】

 ① 지배주주와 그 친족(이하 이 조에서 ⁠“지배주주등”이라 한다)이 직접 또는 간접으로 보유하는 주식보유비율이 100분의 30 이상인 법인(이하 이 조 및 제68조에서 ⁠“특정법인”이라 한다)이 지배주주의 특수관계인과 다음 각 호에 따른 거래를 하는 경우에는 거래한 날을 증여일로 하여 그 특정법인의 이익에 특정법인의 지배주주등의 주식보유비율을 곱하여 계산한 금액을 그 특정법인의 지배주주등이 증여받은 것으로 본다.

  1. 재산 또는 용역을 무상으로 제공받는 것

  2. 재산 또는 용역을 통상적인 거래 관행에 비추어 볼 때 현저히 낮은 대가로 양도․제공받는 것

  3. 재산 또는 용역을 통상적인 거래 관행에 비추어 볼 때 현저히 높은 대가로 양도․제공하는 것

  4. 그 밖에 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거래와 유사한 거래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② ~ ③ 생략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34조의5【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의제】

 ① 생략

 ② 법 제45조의5제1항제3호의2에서 "불균등 감자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본거래"란 같은 항 각 호 외의 부분에 따른 특정법인(이하 이 조에서 "특정법인"이라 한다)과 지배주주의 특수관계인 사이에 이루어지거나 지배주주의 특수관계인 사이에 이루어지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본거래를 말한다.

  1. 주식등을 시가보다 높거나 낮게 평가하여 불공정한 비율로 합병(분할합병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하는 거래. 다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4에 따라 합병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2. 법인이 자본금(출자액을 포함한다. 이하 이 항에서 같다)을 증가시키기 위해 새로운 주식등을 시가보다 높거나 낮은 가액으로 발행하는 거래

  3. 법인이 자본금을 감소시키기 위해 주식등을 소각할 때 주주등의 소유주식등의 비율에 의하지 않거나 일부 주주등의 주식등을 시가보다 높거나 낮은 가액으로 소각하는 거래

  4. 현물출자에 의해 주식등을 시가보다 높거나 낮은 가액으로 인수하는 거래

  5. 전환사채등을 시가보다 높거나 낮은 가액으로 인수ㆍ취득ㆍ양도하거나 전환사채등에 의해 주식으로 전환ㆍ교환 또는 주식의 인수를 할 때 그 전환사채등에 의해 교부받았거나 교부받을 주식의 가액이 전환가액등보다 높거나 낮은 거래

  6. 법인이 이익이나 잉여금에 대한 배당등을 할 때 일부 주주등이 본인이 지급받을 배당등의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기하거나 본인이 보유한 주식등에 비례하여 균등하지 않은 조건으로 배당등을 받는 거래

  7. 주식의 포괄적 교환 또는 이전으로 인해 소유지분이나 그 가액이 변동되는 거래

  8. 그 밖에 제1호부터 제7호까지의 거래에 준하는 거래

 ③ 삭제

 ④ 법 제45조의5제1항에서 "특정법인의 이익"이란 제1호의 금액에서 제2호의 금액을 뺀 금액을 말한다.

  1.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른 금액

  가. 재산을 증여하거나 해당 법인의 채무를 면제ㆍ인수 또는 변제하는 경우: 증여재산가액 또는 그 면제ㆍ인수 또는 변제로 인하여 해당 법인이 얻는 이익에 상당하는 금액

  나. 법 제45조의5제1항제3호의2에 따른 자본거래의 경우: 제2항 각 호의 거래 유형에 따라 법 제38조, 제39조, 제39조의2, 제39조의3, 제40조, 제41조의2, 제42조의2, 이 영 제28조제3항부터 제7항까지, 제29조제2항, 제29조의2, 제29조의3, 제30조제1항ㆍ제2항ㆍ제5항, 제31조의2제2항 및 제32조의2를 준용하여 계산한 이익에 상당하는 금액

  다. 가목 및 나목 외의 경우: 제7항에 따른 시가와 대가와의 차액에 상당하는 금액

  2. 가목의 금액에 나목의 비율을 곱하여 계산한 금액

  가. 특정법인의 「법인세법」 제55조제1항에 따른 산출세액(같은 법 제55조의2에 따른 토지등 양도소득에 대한 법인세액은 제외한다)에서 법인세액의 공제ㆍ감면액을 뺀 금액

  나. 제1호에 따른 이익이 특정법인의 「법인세법」 제14조에 따른 각 사업연도의 소득금액에서 차지하는 비율(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로 한다)

 ⑤ 법 제45조의5제1항을 적용할 때 특정법인의 주주등이 증여받은 것으로 보는 경우는 같은 항에 따른 증여의제이익이 1억원 이상인 경우로 한정한다.

 ⑥ 법 제45조의5제1항제4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1. 해당 법인의 채무를 면제․인수 또는 변제하는 것. 다만, 해당 법인이 해산(합병 또는 분할에 의한 해산은 제외한다) 중인 경우로서 주주등에게 분배할 잔여재산이 없는 경우는 제외한다.

  2. 시가보다 낮은 가액으로 해당 법인에 현물출자하는 것

 ⑦ 법 제45조의5제1항제2호 및 제3호에서 ⁠“현저히 낮은 대가” 및 ⁠“현저히 높은 대가”란 각각 해당 재산 및 용역의 시가와 대가(제6항제2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출자한 재산에 대하여 교부받은 주식등의 액면가액의 합계액을 말한다)와의 차액이 시가의 100분의 30 이상이거나 그 차액이 3원 이상인 경우의 해당 가액을 말한다. 이 경우 금전을 대부하거나 대부받는 경우에는 법 제41조의4를 준용하여 계산한 이익으로 한다.

 ⑧ ~ ⑨ 생략

출처 : 국세청 2025. 06. 25. 사전-2025-법규재산-0168 | 국세법령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