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미국 파견 내국법인 직원 근로소득 과세 여부

서면-2024-국제세원-4852  ·  2025. 03. 11.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일본법인의 자회사인 내국법인 소속 우리나라 거주자가 미국에서 제공한 근로의 대가가 미국에서 과세되는지 궁금합니다.

S요약

일본법인의 자회사인 내국법인 소속 우리나라 거주자가 미국에서 근로를 제공하고 대가를 받을 때, 한·미 조세조약 제6조와 제19조에 따라 해당 소득이 미국 원천소득으로 간주되어 미국에서 과세될 수 있음이 원칙이나, 제19조 제2항 각 요건을 모두 충족하면 미국 소득세가 과세되지 않을 수 있음을 확인합니다.
#미국근로소득 #해외파견직원 #한미조세조약 #체류183일 #고정사업장 #소득과세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서면-2024-국제세원-4852  ·  2025. 03. 11.

  • 국세청 서면-2024-국제세원-4852(2025.03.11) 및 국제세원-336(2009.06.22.) 회신에 의거
  • 한·미 조세조약 제6조 및 제19조 제1항에 따라, 근로가 미국에서 실제로 제공되면 미국에서 원천소득 발생으로 인정되어 미국에서 과세할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 다만, 제19조 제2항 각 호의 요건(183일 미만 체류 등)을 모두 충족할 경우 미국 내 과세가 면제될 수 있음이 명시되었습니다.
  • 따라서 질의법인 소속 한국 직원의 경우, 미국 내 체류 기간, 지급 주체, 고정사업장 부담 여부, 연간 소득액이 모두 조약상 면제 요건에 부합하는지 개별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 기존 유사사례(국제세원-336, 2009.06.22.)에서도 동일하게 설명된 점을 참고하라는 지침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한·미 조세조약 제6조(소득의 원천): 노무 또는 용역이 어느 체약국 내에서 수행된 범위에 한해 그 체약국 내 원천 소득으로 간주
  • 한·미 조세조약 제19조 제1항(근로소득): 피고용인 소득은 용역제공지(미국)에서 원천 발생시 미국 과세 가능
  • 한·미 조세조약 제19조 제2항: 183일 미만 체류, 한국 고용주, 미국 내 고정사업장 부존재(또는 미보수 부담), 소득 3천불 이하 모두 충족시 미국 과세 면제
사례 Q&A
1. 한국 법인 직원이 미국에서 근로 시 해당 소득 미국 과세 여부
답변
미국에서 근로가 제공되어 미국 원천소득이 발생하면 미국에서 과세될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근거
한·미 조세조약 제6조 및 제19조 제1항에서 용역 제공지 원천 과세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2. 미국 183일 미만 체류 근로자 소득 과세 면제 조건
답변
183일 미만 체류, 한국 고용주, 미국 고정사업장 보수 부담 미존재, 소득 3천불 이하를 모두 충족시 미국서 과세되지 않을 수 있음이 조약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근거
한·미 조세조약 제19조 제2항에서 4가지 조건 동시 충족시 미국 과세 면제를 규정합니다.
3. 외국법인 자회사 소속 한국 직원 미국 출장 시 세무처리 유의사항
답변
미국 체류일수, 지급 주체·미국 내 고정사업장 부담 여부·연간 소득에 따라 미국 소득세 과세 또는 면제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근거
국세청 회신과 조약 규정에 따르면 면제 요건 충족 여부를 개별적으로 확인해야 함이 강조됩니다.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요지

일본법인의 자회사인 내국법인 소속 우리나라 거주자가 일본법인과 미국기업과의 계약에 따라 미국에서 근로를 제공하고 받는 대가가 미국에서 과세되는지
여부에 대한 질의

회신

귀 질의의 경우 기존 해석사례(국제세원-336, 2009.06.22.)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국제세원-336, 2009.06.22.
우리나라 거주자가 미국에서 근로를 제공하고 지급받는 대가는「한ㆍ미 조세조약」제6조 제6항 및 제19조 제1항에 따라 미국에 원천을 둔 소득으로 취급되므로 미국에서 과세할 수 있는 것이나「같은 조약」제19조 제2항 각 호의 요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미국에서 소득세가 과세되지 않는 것입니다. 끝.

1. 사실관계

질의법인은 산업용 기계장비 도매업을 영위하는 법인으로 일본 oo(주)의 외투(100%)법인임

 ○일본 모법인이 미국기업과 기계장치 설치용역 계약에 따라 한국 자회사인 질의법인 소속 한국 직원이 미국에 출장 예정

 ○질의법인 소속 한국 직원은 미국에서 183일 미만 거주하며 근로를 제공하며 그 대가는 질의법인이 직원의 한국계좌로 지급할 예정

  -이때 질의법인 소속 한국 직원이 미국에서 제공한 근로의 대가를 미국에서 발생한 소득을 보아 미국에서 과세되는지에 대해 질의

2. 질의내용

일본법인의 자회사인 내국법인 소속 우리나라 거주자가 일본법인과 미국기업과의 계약에 따라 미국에서 근로를 제공하고 받는 대가가 미국에서 과세되는지 여부에 대한 질의

3. 관련법령

○한·미 조세조약 제6조【소득의 원천】

  (6) 피고용인으로서 또는 독립적 자격으로서 노무 또는 개인적 용역의 수행에 대하여 또는 타인의 개인적 용역을 제공한 것에 대하여 개인이 받는 소득과 법인의 피고용인 또는 기타의 자의 개인적 용역을 제공한 것에 대하여 법인이 받는 소득은 그러한 용역이 어느 체약국 내에서 수행되는 범위에 한하여 동 체약국 내에 원천을 둔 소득으로 취급된다. 어느 체약국의 거주자에 의하여 국제운수에 운행되는 선박 또는 항공기에 탑승하여 수행하는 개인적 용역으로부터 받는 소득은 그 용역이 동 선박 또는 항공기의 정규 승무원조의 일원으로 제공되는 경우에 동 체약국내에 원천을 둔 소득으로 취급된다. 본 항의 목적상 노무 또는 개인적 용역으로부터 받는 소득은 그러한 용역에 대하여 지급되는 연금(제23조(민간 퇴직임금 및 보험임금) ⁠(3)항에 규정된 것)을 포함한다. 본 항의 전기 제 규정에도 불구하고 제22조(정부기능)에 규정된 보수 및 제24조(사회보장 지급금)에 규정된 지급금은 어느 체약국 또는 그 지방공공단체의 공적 자금에 의하여 지급되는 경우에만 동 체약국내에 원천을 둔 소득으로 취급된다.

 ○한·미 조세조약 제19조【근로소득】

  (1) 법인의 직원으로서 제공한 용역에 대한 보수를 포함하여, 피고용인으로서 제공한 노무 또는 적용역으로부터 일방 체약국의 거주자인 개인에 의하여 발생되는 임금, 급여 및 이와 유사한 보수는 일방 체약국에 의하여 과세될 수 있다. 하기(2)항에 규정된 경우를 제외하고 타방 체약국내의 원천으로부터 발생되는 보수는 동 타방 체약국에 의해서도 과세될 수 있다.

  (2) 일방 체약국의 거주자인 개인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기(1)항에 규정된 보수는 다음의 경우에 타방 체약국에 의해서도 과세로부터 면제된다.

    (a) 동 개인이 과세연도중 총 183일 미만의 단일기간 또는 기간 동안 동 타방 체약국내에 체재하는 경우

    (b) 동 개인이 동 일방 체약국의 거주자 또는 동 일방 체약국내에 보유하고 있는 고정사업장의 피고용인인 경우

    (c) 고용주가 동 타방 체약국내에 두고 있는 고정사업장이 동 보수를 부담하지 아니하는 경우, 및

    (d) 동 소득이 미화 3,000불 또는 이에 상당하는 원화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경우

  (3) 상기 ⁠(2)항에 불구하고 일방 체약국의 거주자가 국제운수상 운행하는 선박 또는 항공기에 탑승하는 피고용인으로서 노무 또는 인적용역의 제공으로부터 동 개인이 취득하는 보수는, 동 개인이 동 선박 또는 항공기의 정규승무원조의 일원인 경우에, 동 타방 체약국에 의한 과세로부터 면제된다.

출처 : 국세청 2025. 03. 11. 서면-2024-국제세원-4852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유권해석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미국 파견 내국법인 직원 근로소득 과세 여부

서면-2024-국제세원-4852  ·  2025. 03. 11.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일본법인의 자회사인 내국법인 소속 우리나라 거주자가 미국에서 제공한 근로의 대가가 미국에서 과세되는지 궁금합니다.

S요약

일본법인의 자회사인 내국법인 소속 우리나라 거주자가 미국에서 근로를 제공하고 대가를 받을 때, 한·미 조세조약 제6조와 제19조에 따라 해당 소득이 미국 원천소득으로 간주되어 미국에서 과세될 수 있음이 원칙이나, 제19조 제2항 각 요건을 모두 충족하면 미국 소득세가 과세되지 않을 수 있음을 확인합니다.
#미국근로소득 #해외파견직원 #한미조세조약 #체류183일 #고정사업장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서면-2024-국제세원-4852  ·  2025. 03. 11.

  • 국세청 서면-2024-국제세원-4852(2025.03.11) 및 국제세원-336(2009.06.22.) 회신에 의거
  • 한·미 조세조약 제6조 및 제19조 제1항에 따라, 근로가 미국에서 실제로 제공되면 미국에서 원천소득 발생으로 인정되어 미국에서 과세할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 다만, 제19조 제2항 각 호의 요건(183일 미만 체류 등)을 모두 충족할 경우 미국 내 과세가 면제될 수 있음이 명시되었습니다.
  • 따라서 질의법인 소속 한국 직원의 경우, 미국 내 체류 기간, 지급 주체, 고정사업장 부담 여부, 연간 소득액이 모두 조약상 면제 요건에 부합하는지 개별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 기존 유사사례(국제세원-336, 2009.06.22.)에서도 동일하게 설명된 점을 참고하라는 지침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한·미 조세조약 제6조(소득의 원천): 노무 또는 용역이 어느 체약국 내에서 수행된 범위에 한해 그 체약국 내 원천 소득으로 간주
  • 한·미 조세조약 제19조 제1항(근로소득): 피고용인 소득은 용역제공지(미국)에서 원천 발생시 미국 과세 가능
  • 한·미 조세조약 제19조 제2항: 183일 미만 체류, 한국 고용주, 미국 내 고정사업장 부존재(또는 미보수 부담), 소득 3천불 이하 모두 충족시 미국 과세 면제
사례 Q&A
1. 한국 법인 직원이 미국에서 근로 시 해당 소득 미국 과세 여부
답변
미국에서 근로가 제공되어 미국 원천소득이 발생하면 미국에서 과세될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근거
한·미 조세조약 제6조 및 제19조 제1항에서 용역 제공지 원천 과세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2. 미국 183일 미만 체류 근로자 소득 과세 면제 조건
답변
183일 미만 체류, 한국 고용주, 미국 고정사업장 보수 부담 미존재, 소득 3천불 이하를 모두 충족시 미국서 과세되지 않을 수 있음이 조약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근거
한·미 조세조약 제19조 제2항에서 4가지 조건 동시 충족시 미국 과세 면제를 규정합니다.
3. 외국법인 자회사 소속 한국 직원 미국 출장 시 세무처리 유의사항
답변
미국 체류일수, 지급 주체·미국 내 고정사업장 부담 여부·연간 소득에 따라 미국 소득세 과세 또는 면제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근거
국세청 회신과 조약 규정에 따르면 면제 요건 충족 여부를 개별적으로 확인해야 함이 강조됩니다.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요지

일본법인의 자회사인 내국법인 소속 우리나라 거주자가 일본법인과 미국기업과의 계약에 따라 미국에서 근로를 제공하고 받는 대가가 미국에서 과세되는지
여부에 대한 질의

회신

귀 질의의 경우 기존 해석사례(국제세원-336, 2009.06.22.)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국제세원-336, 2009.06.22.
우리나라 거주자가 미국에서 근로를 제공하고 지급받는 대가는「한ㆍ미 조세조약」제6조 제6항 및 제19조 제1항에 따라 미국에 원천을 둔 소득으로 취급되므로 미국에서 과세할 수 있는 것이나「같은 조약」제19조 제2항 각 호의 요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미국에서 소득세가 과세되지 않는 것입니다. 끝.

1. 사실관계

질의법인은 산업용 기계장비 도매업을 영위하는 법인으로 일본 oo(주)의 외투(100%)법인임

 ○일본 모법인이 미국기업과 기계장치 설치용역 계약에 따라 한국 자회사인 질의법인 소속 한국 직원이 미국에 출장 예정

 ○질의법인 소속 한국 직원은 미국에서 183일 미만 거주하며 근로를 제공하며 그 대가는 질의법인이 직원의 한국계좌로 지급할 예정

  -이때 질의법인 소속 한국 직원이 미국에서 제공한 근로의 대가를 미국에서 발생한 소득을 보아 미국에서 과세되는지에 대해 질의

2. 질의내용

일본법인의 자회사인 내국법인 소속 우리나라 거주자가 일본법인과 미국기업과의 계약에 따라 미국에서 근로를 제공하고 받는 대가가 미국에서 과세되는지 여부에 대한 질의

3. 관련법령

○한·미 조세조약 제6조【소득의 원천】

  (6) 피고용인으로서 또는 독립적 자격으로서 노무 또는 개인적 용역의 수행에 대하여 또는 타인의 개인적 용역을 제공한 것에 대하여 개인이 받는 소득과 법인의 피고용인 또는 기타의 자의 개인적 용역을 제공한 것에 대하여 법인이 받는 소득은 그러한 용역이 어느 체약국 내에서 수행되는 범위에 한하여 동 체약국 내에 원천을 둔 소득으로 취급된다. 어느 체약국의 거주자에 의하여 국제운수에 운행되는 선박 또는 항공기에 탑승하여 수행하는 개인적 용역으로부터 받는 소득은 그 용역이 동 선박 또는 항공기의 정규 승무원조의 일원으로 제공되는 경우에 동 체약국내에 원천을 둔 소득으로 취급된다. 본 항의 목적상 노무 또는 개인적 용역으로부터 받는 소득은 그러한 용역에 대하여 지급되는 연금(제23조(민간 퇴직임금 및 보험임금) ⁠(3)항에 규정된 것)을 포함한다. 본 항의 전기 제 규정에도 불구하고 제22조(정부기능)에 규정된 보수 및 제24조(사회보장 지급금)에 규정된 지급금은 어느 체약국 또는 그 지방공공단체의 공적 자금에 의하여 지급되는 경우에만 동 체약국내에 원천을 둔 소득으로 취급된다.

 ○한·미 조세조약 제19조【근로소득】

  (1) 법인의 직원으로서 제공한 용역에 대한 보수를 포함하여, 피고용인으로서 제공한 노무 또는 적용역으로부터 일방 체약국의 거주자인 개인에 의하여 발생되는 임금, 급여 및 이와 유사한 보수는 일방 체약국에 의하여 과세될 수 있다. 하기(2)항에 규정된 경우를 제외하고 타방 체약국내의 원천으로부터 발생되는 보수는 동 타방 체약국에 의해서도 과세될 수 있다.

  (2) 일방 체약국의 거주자인 개인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기(1)항에 규정된 보수는 다음의 경우에 타방 체약국에 의해서도 과세로부터 면제된다.

    (a) 동 개인이 과세연도중 총 183일 미만의 단일기간 또는 기간 동안 동 타방 체약국내에 체재하는 경우

    (b) 동 개인이 동 일방 체약국의 거주자 또는 동 일방 체약국내에 보유하고 있는 고정사업장의 피고용인인 경우

    (c) 고용주가 동 타방 체약국내에 두고 있는 고정사업장이 동 보수를 부담하지 아니하는 경우, 및

    (d) 동 소득이 미화 3,000불 또는 이에 상당하는 원화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경우

  (3) 상기 ⁠(2)항에 불구하고 일방 체약국의 거주자가 국제운수상 운행하는 선박 또는 항공기에 탑승하는 피고용인으로서 노무 또는 인적용역의 제공으로부터 동 개인이 취득하는 보수는, 동 개인이 동 선박 또는 항공기의 정규승무원조의 일원인 경우에, 동 타방 체약국에 의한 과세로부터 면제된다.

출처 : 국세청 2025. 03. 11. 서면-2024-국제세원-4852 | 국세법령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