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자동차흡기호스 공기와류장치 장착이 자동차정비업 해당 여부

2022도4793
판결 요약
자동차 엔진룸 내 흡기호스에 공기와류장치(무동력터보)를 삽입하는 행위가 자동차관리법상 '자동차정비업'에 해당하는지 쟁점이 된 사건입니다. 튜닝작업이라 하더라도 시행규칙 제132조 각호 작업 해당 여부를 반드시 심사해야 하며, 만약 각호 작업에 해당하지 않으면 업으로 할 경우 자동차정비업에 포함됩니다. 이 사건의 무죄 판단은 법리를 오해했다고 대법원이 판단해 환송하였습니다.
#자동차정비업 #자동차관리법 #튜닝작업 #흡기호스 #공기와류장치
질의 응답
1. 자동차 엔진룸 흡기호스에 공기와류장치를 넣는 작업을 업으로 하면 등록한 자동차정비업에 해당하나요?
답변
네, 해당 작업이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32조 각호 작업에 해당하지 않으면 업으로 할 경우 자동차정비업에 포함됩니다.
근거
대법원 2022도4793 판결은 튜닝작업이라도 시행규칙 제132조 해당여부를 심사해야 하며, 각호 작업이 아니면 이를 업으로 하는 것이 자동차정비업에 해당한다고 판시하였습니다.
2. 튜닝작업이더라도 자동차정비업 해당여부를 따질 때 시행규칙 제132조 작업에 속하는지 심사를 해야 하나요?
답변
네, 튜닝작업의 경우에도 반드시 시행규칙 제132조 각호 작업 해당 여부를 심사해야 하며, 그대로 업으로 할 수는 없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2도4793 판결은 튜닝작업도 시행규칙 제132조 각호의 작업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고 판시하였습니다.
3. 자동차 흡기호스에 무동력터보를 삽입하는 작업이 시행규칙 제132조 각호 작업에 해당하지 않으면, 튜닝승인대상 여부와 무관하게 자동차정비업에 포함되나요?
답변
예, 해당 작업이 제132조 각호 작업이 아니면 튜닝승인대상 여부와 상관 없이 자동차정비업입니다.
근거
대법원 2022도4793 판결은 시행규칙 제132조 각호의 작업에 해당하지 않으면 튜닝승인대상 여부와 관계없이 자동차정비업에 해당한다고 하였습니다.
4. 자동차관리법상 자동차정비업의 범위는 어떻게 결정되나요?
답변
자동차관리법상 자동차정비업은 점검·정비·튜닝작업 중 시행규칙 제132조 각호에서 제외된 나머지 작업을 업으로 하는 것을 말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2도4793 판결은 자동차정비업은 시행규칙 제132조 각호의 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작업을 업으로 하는 것이라고 판시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자동차관리법위반

 ⁠[대법원 2023. 3. 30. 선고 2022도4793 판결]

【판시사항】

 ⁠[1] 자동차관리법상 ⁠‘자동차정비업’의 의미 및 이때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32조에서 정하는 작업’의 의미
 ⁠[2] 피고인들이 관할 관청에 등록하지 아니하고 자동차 엔진룸 내 흡기호스에 공기와류장치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자동차정비업을 하여 자동차관리법 위반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위 작업이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32조 본문 각호의 작업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튜닝승인대상인 작업에 해당하는지와 무관하게 이를 업으로 하는 것은 자동차관리법상 ⁠‘자동차정비업’에 해당하므로, 이와 달리 공소사실을 무죄로 본 원심판단에 법리오해의 잘못이 있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자동차관리법 제2조 제8호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32조의 문구와 형식에 비추어 볼 때, 자동차관리법상 ⁠‘자동차정비업’은 점검작업, 정비작업 또는 튜닝작업 중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32조에서 정하는 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작업을 업으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고, 이때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32조에서 정하는 작업’이란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32조 본문 각호의 작업 중에서 튜닝승인대상인 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작업만을 의미한다고 보아야 한다.
 ⁠[2] 피고인들이 관할 관청에 등록하지 아니하고 자동차 엔진룸 내 흡기호스에 공기와류장치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자동차정비업을 하여 자동차관리법 위반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튜닝작업도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32조 본문 각호의 작업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위 작업이 자동차관리법 제2조 제11호에서 규정한 튜닝작업이라고 하여도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32조 본문 각호의 작업에 해당하는지 심사를 하여야 하고, 만약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32조 본문 각호의 작업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위 작업이 튜닝승인대상인 작업에 해당하는지와 무관하게 이를 업으로 하는 것은 자동차관리법상 ⁠‘자동차정비업’에 해당하므로, 이와 달리 공소사실을 무죄로 본 원심판단에 법리오해의 잘못이 있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자동차관리법 제2조 제8호,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55조, 제132조
[2] 자동차관리법 제2조 제8호, 제11호, 제53조 제1항, 제79조 제13호,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55조, 제132조


【전문】

【피 고 인】

피고인 1 외 1인

【상 고 인】

검사

【변 호 인】

법무법인 조율 담당변호사 정동근 외 1인

【원심판결】

대전지법 2022. 4. 13. 선고 2021노1976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대전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이 사건 공소사실의 요지
자동차정비업 등 자동차관리사업을 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관할 관청에 등록하여야 한다.
피고인들은 2018. 8. 11.경부터 2020. 1. 8.경까지 관할 관청에 등록하지 아니하고 아산시에 있는 ⁠‘○○○○ 충남지사’에서 매월 20대가량의 자동차 엔진룸 내 흡기호스에 알루미늄 또는 카본 재질로 된 길이 7cm의 공기와류장치인 ⁠‘무동력터보’ 제품(이하 ⁠‘이 사건 제품’이라 한다)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자동차정비업을 하였다.
 
2.  원심의 판단
원심은, 피고인들이 공소사실과 같이 이 사건 제품을 자동차 엔진룸 내 흡기호스에 장착한 행위(이하 ⁠‘이 사건 작업’이라 한다)가 자동차관리법 제2조 제11호에서 규정하는 튜닝작업에 해당하고, 이는 점검작업이나 정비작업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이하 ⁠‘시행규칙’이라 한다) 제132조 본문 각호의 작업에 해당하는지 나아가 따질 필요가 없이 위 각호의 작업은 아니라고 판단한 다음, 이 사건 작업이 시행규칙 제55조에 의한 튜닝승인대상이 되는 작업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결국 같은 법 제2조 제8호, 시행규칙 제132조 단서에 따라 이 사건 작업을 업으로 하는 것은 자동차정비업에서 제외된다고 보아, 피고인들에 대한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하였다.
 
3.  대법원의 판단
그러나 원심의 판단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수긍하기 어렵다.
 
가.  자동차관리법 제2조 제8호는, "자동차정비업이란 자동차(이륜자동차는 제외한다)의 점검작업, 정비작업 또는 튜닝작업을 업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다만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작업은 제외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시행규칙 제132조 본문은 "법 제2조 제8호 단서에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것’이라 함은 다음 각호의 작업을 말한다."라고 규정하면서, ⁠‘오일의 보충·교환 및 세차’(제1호), ⁠‘에어크리너엘리먼트 및 휠터류의 교환’(제2호), ⁠‘배터리·전기배선·전구교환(전조등 및 속도표시등을 제외한다) 기타 전기장치(고전원전기장치는 제외한다)의 점검·정비’(제3호), ⁠‘냉각장치(워터펌프는 제외한다)의 점검·정비’(제4호), ⁠‘타이어(휠얼라인먼트는 제외한다)의 점검·정비’(제5호), ⁠‘판금·도장 또는 용접이 수반되지 않는 차내설비 및 차체의 점검·정비. 다만 범퍼·본넷트·문짝·휀다 및 트렁크리드의 교환을 제외한다.’(제6호)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 단서는 ⁠‘제55조의 규정에 의한 튜닝승인대상이 되는 작업을 제외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관리법 및 시행규칙 규정의 문구와 형식에 비추어 볼 때, 자동차관리법상 ⁠‘자동차정비업’은 점검작업, 정비작업 또는 튜닝작업 중 시행규칙 제132조에서 정하는 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작업을 업으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고, 이때 ⁠‘시행규칙 제132조에서 정하는 작업’이란 시행규칙 제132조 본문 각호의 작업 중에서 튜닝승인대상인 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작업만을 의미한다고 보아야 한다.
 
나.  원심은 이 사건 작업이 자동차관리법 제2조 제11호에서 규정한 튜닝작업에 해당하고, 이는 점검작업이나 정비작업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시행규칙 제132조 본문 각호의 작업에 해당하는지 나아가 따질 필요가 없다고 하면서 이 사건 작업이 시행규칙 제132조 본문 각호의 작업은 아니라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튜닝작업도 시행규칙 제132조 본문 각호의 작업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이 사건 작업이 자동차관리법 제2조 제11호에서 규정한 튜닝작업이라고 하여도 시행규칙 제132조 본문 각호의 작업에 해당하는지 심사를 하여야 한다. 그리고 시행규칙 제132조 본문 각호의 작업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이 사건 작업은 튜닝승인대상인 작업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이를 업으로 하는 것은 자동차관리법상 ⁠‘자동차정비업’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한다.
 
다.  그럼에도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로 피고인들에 대한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하였으니, 이러한 원심의 판단에는 자동차관리법 제2조 제8호에서 규정한 ⁠‘자동차정비업’의 범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이를 지적하는 검사의 상고이유 주장은 이유 있다.
 
4.  결론
그러므로 검사의 나머지 상고이유에 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동원(재판장) 조재연(주심) 민유숙 천대엽

출처 : 대법원 2023. 03. 30. 선고 2022도4793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

판례 검색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자동차흡기호스 공기와류장치 장착이 자동차정비업 해당 여부

2022도4793
판결 요약
자동차 엔진룸 내 흡기호스에 공기와류장치(무동력터보)를 삽입하는 행위가 자동차관리법상 '자동차정비업'에 해당하는지 쟁점이 된 사건입니다. 튜닝작업이라 하더라도 시행규칙 제132조 각호 작업 해당 여부를 반드시 심사해야 하며, 만약 각호 작업에 해당하지 않으면 업으로 할 경우 자동차정비업에 포함됩니다. 이 사건의 무죄 판단은 법리를 오해했다고 대법원이 판단해 환송하였습니다.
#자동차정비업 #자동차관리법 #튜닝작업 #흡기호스 #공기와류장치
질의 응답
1. 자동차 엔진룸 흡기호스에 공기와류장치를 넣는 작업을 업으로 하면 등록한 자동차정비업에 해당하나요?
답변
네, 해당 작업이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32조 각호 작업에 해당하지 않으면 업으로 할 경우 자동차정비업에 포함됩니다.
근거
대법원 2022도4793 판결은 튜닝작업이라도 시행규칙 제132조 해당여부를 심사해야 하며, 각호 작업이 아니면 이를 업으로 하는 것이 자동차정비업에 해당한다고 판시하였습니다.
2. 튜닝작업이더라도 자동차정비업 해당여부를 따질 때 시행규칙 제132조 작업에 속하는지 심사를 해야 하나요?
답변
네, 튜닝작업의 경우에도 반드시 시행규칙 제132조 각호 작업 해당 여부를 심사해야 하며, 그대로 업으로 할 수는 없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2도4793 판결은 튜닝작업도 시행규칙 제132조 각호의 작업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고 판시하였습니다.
3. 자동차 흡기호스에 무동력터보를 삽입하는 작업이 시행규칙 제132조 각호 작업에 해당하지 않으면, 튜닝승인대상 여부와 무관하게 자동차정비업에 포함되나요?
답변
예, 해당 작업이 제132조 각호 작업이 아니면 튜닝승인대상 여부와 상관 없이 자동차정비업입니다.
근거
대법원 2022도4793 판결은 시행규칙 제132조 각호의 작업에 해당하지 않으면 튜닝승인대상 여부와 관계없이 자동차정비업에 해당한다고 하였습니다.
4. 자동차관리법상 자동차정비업의 범위는 어떻게 결정되나요?
답변
자동차관리법상 자동차정비업은 점검·정비·튜닝작업 중 시행규칙 제132조 각호에서 제외된 나머지 작업을 업으로 하는 것을 말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2도4793 판결은 자동차정비업은 시행규칙 제132조 각호의 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작업을 업으로 하는 것이라고 판시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자동차관리법위반

 ⁠[대법원 2023. 3. 30. 선고 2022도4793 판결]

【판시사항】

 ⁠[1] 자동차관리법상 ⁠‘자동차정비업’의 의미 및 이때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32조에서 정하는 작업’의 의미
 ⁠[2] 피고인들이 관할 관청에 등록하지 아니하고 자동차 엔진룸 내 흡기호스에 공기와류장치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자동차정비업을 하여 자동차관리법 위반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위 작업이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32조 본문 각호의 작업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튜닝승인대상인 작업에 해당하는지와 무관하게 이를 업으로 하는 것은 자동차관리법상 ⁠‘자동차정비업’에 해당하므로, 이와 달리 공소사실을 무죄로 본 원심판단에 법리오해의 잘못이 있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자동차관리법 제2조 제8호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32조의 문구와 형식에 비추어 볼 때, 자동차관리법상 ⁠‘자동차정비업’은 점검작업, 정비작업 또는 튜닝작업 중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32조에서 정하는 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작업을 업으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고, 이때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32조에서 정하는 작업’이란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32조 본문 각호의 작업 중에서 튜닝승인대상인 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작업만을 의미한다고 보아야 한다.
 ⁠[2] 피고인들이 관할 관청에 등록하지 아니하고 자동차 엔진룸 내 흡기호스에 공기와류장치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자동차정비업을 하여 자동차관리법 위반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튜닝작업도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32조 본문 각호의 작업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위 작업이 자동차관리법 제2조 제11호에서 규정한 튜닝작업이라고 하여도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32조 본문 각호의 작업에 해당하는지 심사를 하여야 하고, 만약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32조 본문 각호의 작업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위 작업이 튜닝승인대상인 작업에 해당하는지와 무관하게 이를 업으로 하는 것은 자동차관리법상 ⁠‘자동차정비업’에 해당하므로, 이와 달리 공소사실을 무죄로 본 원심판단에 법리오해의 잘못이 있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자동차관리법 제2조 제8호,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55조, 제132조
[2] 자동차관리법 제2조 제8호, 제11호, 제53조 제1항, 제79조 제13호,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55조, 제132조


【전문】

【피 고 인】

피고인 1 외 1인

【상 고 인】

검사

【변 호 인】

법무법인 조율 담당변호사 정동근 외 1인

【원심판결】

대전지법 2022. 4. 13. 선고 2021노1976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대전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이 사건 공소사실의 요지
자동차정비업 등 자동차관리사업을 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관할 관청에 등록하여야 한다.
피고인들은 2018. 8. 11.경부터 2020. 1. 8.경까지 관할 관청에 등록하지 아니하고 아산시에 있는 ⁠‘○○○○ 충남지사’에서 매월 20대가량의 자동차 엔진룸 내 흡기호스에 알루미늄 또는 카본 재질로 된 길이 7cm의 공기와류장치인 ⁠‘무동력터보’ 제품(이하 ⁠‘이 사건 제품’이라 한다)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자동차정비업을 하였다.
 
2.  원심의 판단
원심은, 피고인들이 공소사실과 같이 이 사건 제품을 자동차 엔진룸 내 흡기호스에 장착한 행위(이하 ⁠‘이 사건 작업’이라 한다)가 자동차관리법 제2조 제11호에서 규정하는 튜닝작업에 해당하고, 이는 점검작업이나 정비작업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이하 ⁠‘시행규칙’이라 한다) 제132조 본문 각호의 작업에 해당하는지 나아가 따질 필요가 없이 위 각호의 작업은 아니라고 판단한 다음, 이 사건 작업이 시행규칙 제55조에 의한 튜닝승인대상이 되는 작업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결국 같은 법 제2조 제8호, 시행규칙 제132조 단서에 따라 이 사건 작업을 업으로 하는 것은 자동차정비업에서 제외된다고 보아, 피고인들에 대한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하였다.
 
3.  대법원의 판단
그러나 원심의 판단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수긍하기 어렵다.
 
가.  자동차관리법 제2조 제8호는, "자동차정비업이란 자동차(이륜자동차는 제외한다)의 점검작업, 정비작업 또는 튜닝작업을 업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다만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작업은 제외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시행규칙 제132조 본문은 "법 제2조 제8호 단서에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것’이라 함은 다음 각호의 작업을 말한다."라고 규정하면서, ⁠‘오일의 보충·교환 및 세차’(제1호), ⁠‘에어크리너엘리먼트 및 휠터류의 교환’(제2호), ⁠‘배터리·전기배선·전구교환(전조등 및 속도표시등을 제외한다) 기타 전기장치(고전원전기장치는 제외한다)의 점검·정비’(제3호), ⁠‘냉각장치(워터펌프는 제외한다)의 점검·정비’(제4호), ⁠‘타이어(휠얼라인먼트는 제외한다)의 점검·정비’(제5호), ⁠‘판금·도장 또는 용접이 수반되지 않는 차내설비 및 차체의 점검·정비. 다만 범퍼·본넷트·문짝·휀다 및 트렁크리드의 교환을 제외한다.’(제6호)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 단서는 ⁠‘제55조의 규정에 의한 튜닝승인대상이 되는 작업을 제외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관리법 및 시행규칙 규정의 문구와 형식에 비추어 볼 때, 자동차관리법상 ⁠‘자동차정비업’은 점검작업, 정비작업 또는 튜닝작업 중 시행규칙 제132조에서 정하는 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작업을 업으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고, 이때 ⁠‘시행규칙 제132조에서 정하는 작업’이란 시행규칙 제132조 본문 각호의 작업 중에서 튜닝승인대상인 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작업만을 의미한다고 보아야 한다.
 
나.  원심은 이 사건 작업이 자동차관리법 제2조 제11호에서 규정한 튜닝작업에 해당하고, 이는 점검작업이나 정비작업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시행규칙 제132조 본문 각호의 작업에 해당하는지 나아가 따질 필요가 없다고 하면서 이 사건 작업이 시행규칙 제132조 본문 각호의 작업은 아니라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튜닝작업도 시행규칙 제132조 본문 각호의 작업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이 사건 작업이 자동차관리법 제2조 제11호에서 규정한 튜닝작업이라고 하여도 시행규칙 제132조 본문 각호의 작업에 해당하는지 심사를 하여야 한다. 그리고 시행규칙 제132조 본문 각호의 작업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이 사건 작업은 튜닝승인대상인 작업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이를 업으로 하는 것은 자동차관리법상 ⁠‘자동차정비업’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한다.
 
다.  그럼에도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로 피고인들에 대한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하였으니, 이러한 원심의 판단에는 자동차관리법 제2조 제8호에서 규정한 ⁠‘자동차정비업’의 범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이를 지적하는 검사의 상고이유 주장은 이유 있다.
 
4.  결론
그러므로 검사의 나머지 상고이유에 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동원(재판장) 조재연(주심) 민유숙 천대엽

출처 : 대법원 2023. 03. 30. 선고 2022도4793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