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외국인투자 조세감면 기준 및 투자금 직접 사용 여부 판단

대법원 2023두35272
판결 요약
외국인투자기업이 투자금을 직접 시설설치에 사용하지 않아도 법인세 감면기준을 충족하면 조세특례 제한법상의 감면을 인정할 수 있음을 판단했습니다. 법원은 감면신청 기한을 준수하고 감면기준 전부를 충족했다면, 감면 거부처분은 위법하다고 보았습니다.
#외국인투자 #법인세감면 #조세감면기준 #시설설치비용 #직접사용
질의 응답
1. 외국인투자기업이 투자금을 직접 시설설치비용으로 사용하지 않아도 법인세 감면이 가능한가요?
답변
네, 외국인투자금을 직접 시설설치비로 사용하지 않았더라도 조세감면기준을 모두 충족하면 법인세 감면이 가능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3두35272 판결은 외국인투자기업이 사내 유보금으로 먼저 시설을 설치한 뒤 외국인투자가 이루어진 경우도 법인세 감면대상이 됨을 판시하였습니다.
2. 외국인투자 감면신청 기한을 준수하면 법인세 감면이 인정되나요?
답변
감면신청 기한을 준수했고 조세감면 기준을 모두 갖추었다면 법인세 감면이 인정될 수 있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3두35272 판결은 원고가 감면신청 기한을 지키고 감면기준을 전부 충족하였다면 감면 거부처분이 위법하다고 하였습니다.
3. 외국인투자 조세감면 기준 충족 여부는 어떤 점이 중요하게 작용하나요?
답변
외국인투자액의 집행 시기, 시설투자 실질, 감면신청 기한 준수 등이 조세감면 기준 충족 여부 판단에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3두35272 판결에서 시설 설치 후 투자 이루어진 경우도 감면대상이 되고, 관련 감면신청 기한 등 실질을 판단함을 명시했습니다.
4. 법인세 감면 관련 감면대상세액 산정에서 구분경리 규정 위반을 이유로 감면을 부정할 수 있나요?
답변
구분경리 규정 위반만으로 감면대상세액 산정이 잘못되었다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3두35272 판결은 증자분사업 구분경리나 산식 규정 위반 주장만으로 감면대상세액 산정에 법리를 오해했다고 볼 수 없다고 판시했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요지

외국인투자금을 직접 시설설치비용으로 사용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이 사건 감면조항에서 정한 조세감면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볼 수 없음

판결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상세내용

사 건

2023두35272 법인세 등 부과처분 취소청구

원 고

○○ 주식회사

피 고

AA세무서장

변 론 종 결

판 결 선 고

2023.6.29.

주 문

1. 상고를 기각한다.

2.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다음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에서)를 판단한다.

원심은 판시와 같이 외국인투자기업이 사내 유보금으로 외국인투자지역 안에서 새로 제조업 시설을 먼저 설치한 후 그에 상응하는 외국인투자가 이루어진 경우도 구 조세특례제한법(2014. 12. 23. 법률 제1285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조특법’이라 한다) 제121조의2 제1항 제2호 및 같은 법 시행령(2015. 2. 3. 대통령령 제2607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16조의2 제3항 제1호 ⁠(가)목에서 정한 외국인투자에 대한 법인세 감면대상에 해당하는데, 원고에게 구 조특법 제121조의5 제1항에서 정한 감면세액의 추징사유가 발생하였다고 인정하기 어렵고, 원고가 증자분에 대한 감면신청 기한도 준수하는 등 외국인투자에 대한 법인세 감면기준을 전부 충족하였다는 이유로, 이와 다른 전제에서 이루어진 이 사건 처분이 위법하다고 판단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이러한 원심의 판단에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않은 채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외국인투자에 대한 법인세 감면기준과 감면세액의 추징사유, 외국인투자기업 증자분에 대한 조세감면신청 기한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피고는 원고가 구 조특법 제121조의4 제4항의 증자분사업에 대한 감면대상세액 산식 규정, 제143조의 구분경리 규정을 준수하지 않았음을 전제로 증자분사업에 대한 감면대상세액 산정에 잘못이 있다고도 주장하나, 이는 상고심에 이르러 비로소 내세우는 새로운 주장이므로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못한다. 나아가 살펴보더라도 원심의 판단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감면대상세액 산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출처 : 대법원 2023. 06. 29. 선고 대법원 2023두35272 판결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판례 검색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외국인투자 조세감면 기준 및 투자금 직접 사용 여부 판단

대법원 2023두35272
판결 요약
외국인투자기업이 투자금을 직접 시설설치에 사용하지 않아도 법인세 감면기준을 충족하면 조세특례 제한법상의 감면을 인정할 수 있음을 판단했습니다. 법원은 감면신청 기한을 준수하고 감면기준 전부를 충족했다면, 감면 거부처분은 위법하다고 보았습니다.
#외국인투자 #법인세감면 #조세감면기준 #시설설치비용 #직접사용
질의 응답
1. 외국인투자기업이 투자금을 직접 시설설치비용으로 사용하지 않아도 법인세 감면이 가능한가요?
답변
네, 외국인투자금을 직접 시설설치비로 사용하지 않았더라도 조세감면기준을 모두 충족하면 법인세 감면이 가능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3두35272 판결은 외국인투자기업이 사내 유보금으로 먼저 시설을 설치한 뒤 외국인투자가 이루어진 경우도 법인세 감면대상이 됨을 판시하였습니다.
2. 외국인투자 감면신청 기한을 준수하면 법인세 감면이 인정되나요?
답변
감면신청 기한을 준수했고 조세감면 기준을 모두 갖추었다면 법인세 감면이 인정될 수 있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3두35272 판결은 원고가 감면신청 기한을 지키고 감면기준을 전부 충족하였다면 감면 거부처분이 위법하다고 하였습니다.
3. 외국인투자 조세감면 기준 충족 여부는 어떤 점이 중요하게 작용하나요?
답변
외국인투자액의 집행 시기, 시설투자 실질, 감면신청 기한 준수 등이 조세감면 기준 충족 여부 판단에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3두35272 판결에서 시설 설치 후 투자 이루어진 경우도 감면대상이 되고, 관련 감면신청 기한 등 실질을 판단함을 명시했습니다.
4. 법인세 감면 관련 감면대상세액 산정에서 구분경리 규정 위반을 이유로 감면을 부정할 수 있나요?
답변
구분경리 규정 위반만으로 감면대상세액 산정이 잘못되었다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3두35272 판결은 증자분사업 구분경리나 산식 규정 위반 주장만으로 감면대상세액 산정에 법리를 오해했다고 볼 수 없다고 판시했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요지

외국인투자금을 직접 시설설치비용으로 사용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이 사건 감면조항에서 정한 조세감면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볼 수 없음

판결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상세내용

사 건

2023두35272 법인세 등 부과처분 취소청구

원 고

○○ 주식회사

피 고

AA세무서장

변 론 종 결

판 결 선 고

2023.6.29.

주 문

1. 상고를 기각한다.

2.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다음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에서)를 판단한다.

원심은 판시와 같이 외국인투자기업이 사내 유보금으로 외국인투자지역 안에서 새로 제조업 시설을 먼저 설치한 후 그에 상응하는 외국인투자가 이루어진 경우도 구 조세특례제한법(2014. 12. 23. 법률 제1285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조특법’이라 한다) 제121조의2 제1항 제2호 및 같은 법 시행령(2015. 2. 3. 대통령령 제2607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16조의2 제3항 제1호 ⁠(가)목에서 정한 외국인투자에 대한 법인세 감면대상에 해당하는데, 원고에게 구 조특법 제121조의5 제1항에서 정한 감면세액의 추징사유가 발생하였다고 인정하기 어렵고, 원고가 증자분에 대한 감면신청 기한도 준수하는 등 외국인투자에 대한 법인세 감면기준을 전부 충족하였다는 이유로, 이와 다른 전제에서 이루어진 이 사건 처분이 위법하다고 판단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이러한 원심의 판단에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않은 채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외국인투자에 대한 법인세 감면기준과 감면세액의 추징사유, 외국인투자기업 증자분에 대한 조세감면신청 기한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피고는 원고가 구 조특법 제121조의4 제4항의 증자분사업에 대한 감면대상세액 산식 규정, 제143조의 구분경리 규정을 준수하지 않았음을 전제로 증자분사업에 대한 감면대상세액 산정에 잘못이 있다고도 주장하나, 이는 상고심에 이르러 비로소 내세우는 새로운 주장이므로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못한다. 나아가 살펴보더라도 원심의 판단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감면대상세액 산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출처 : 대법원 2023. 06. 29. 선고 대법원 2023두35272 판결 | 국세법령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