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2019.2.12. 이전 분양권 주택 재차 양도 시 거주주택 비과세 중복 적용

서면-2021-부동산-2378  ·  2024. 03. 27.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2019.2.12. 전에 분양권 매매계약 체결 및 계약금 지급을 완료한 주택을 완공 후 양도할 때 거주주택 비과세 특례가 재차 적용될 수 있는지요?

S요약

2019년 2월 12일 이전에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을 지급한 분양권이 주택으로 완공돼 두 번째 거주주택으로 양도될 때 종전 규정에 따라 거주주택 비과세 특례를 재차 적용할 수 있음이 확인됐습니다. 이는 시행령 부칙에 의거하며, 비과세 적용을 위한 요건과 기간, 특례 내용에 유의해야 합니다.
#1세대1주택 #분양권 #비과세 #거주주택 #주택양도 #2019년2월12일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서면-2021-부동산-2378  ·  2024. 03. 27.

  • 국세청 서면-2021-부동산-2378 회신(2024.03.27.)에 따르면 2019.2.12. 이전 분양권 매매계약 체결 및 계약금 지급이 확인되는 경우, 해당 분양권이 완공되어 두 번째 거주주택으로 양도될 때에도 종전 거주주택 비과세 특례 재차 적용이 가능함을 밝혔습니다.
  • 해당 회신은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20항의 거주주택 비과세 특례와, 2019.2.12. 대통령령 제29523호로 개정된 시행령 부칙 제7조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 ‘19.2.12. 이전에 분양권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까지 지급한 사실이 객관적으로 확인되어야 하며, 이후 완공되어 실제 주택 취득 및 양도 시 비과세 특례 대상이 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 같은 사실관계에서 국세청은 과거 서면-2021-법령해석재산-1409(2021.4.27.)에서도 동일한 요지의 해석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 즉, 2019.2.12. 전 분양권분 주택의 이후 양도에 대하여 종전 규정이 적용되므로 실무 적용 시 해당 일자와 계약 요건 충족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소득세법 제89조: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및 예외 규정 명시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20항: 거주주택 및 장기임대주택 보유 시 비과세 특례 규정과 적용 요건 및 한계
  • 소득세법 시행령 부칙(2019.2.12. 대통령령 제29523호) 제7조: 2019.2.12. 이전 분양권 취득에 종전 규정 적용 특례 명시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6조의3: 주택과 분양권을 동시에 보유한 경우 비과세 특례 절차 설명
사례 Q&A
1. 2019년 2월 12일 이전 분양권 주택 양도 시에도 비과세 특례가 적용되나요?
답변
네, 2019.2.12. 전에 분양권 매매계약 체결 및 계약금 지급이 확인되면 완공된 주택 양도 시도 종전 규정에 따라 거주주택 비과세 특례가 재차 적용될 수 있습니다.
근거
국세청 서면-2021-부동산-2378 회신 및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20항, 부칙 제7조가 근거입니다.
2. 분양권 매매계약 체결일과 계약금 지급일이 중요한 이유는?
답변
비과세 특례 종전 규정 적용 가능 여부는 2019.2.12. 이전 계약 체결 및 계약금 지급 여부에 의해 결정됩니다.
근거
시행령 부칙(2019.2.12. 개정) 제7조가 해당 시점과 요건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3. 주택 양도일이 2019.2.12. 이후라도 예외 없이 비과세 특례를 받을 수 있나요?
답변
거래의 매매계약 체결·계약금 지급일이 2019.2.12. 이전임이 확인된다면, 양도일이 그 이후라도 종전 규정에 의한 비과세 특례 재적용이 가능합니다.
근거
국세청 서면-2021-부동산-2378 회신의 사례와 관련 조항의 해석 결과입니다.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19.2.12. 전에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을 지급한 사실이 확인되는 분양권이 주택으로 완성되어 두 번째 거주주택으로 양도하는 경우에도 종전규정에 따라 거주주택 비과세 재차 적용이 가능함

요지

회신

귀 질의의 경우,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20항에 따른 거주주택 비과세 특례를 적용함에 있어 2019.2.12. 전에 새로운 주택을 취득하기 위하여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을 지급한 사실이 확인되는 주택분양권(C)과 「조세특례제한법」 제99조의2제1항을 적용받는 주택(A),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20항에 따른 거주주택(D), 장기임대주택(E)을 2019.2.12. 전에 취득하는 경우로서,
분양권(C)이 완공되어 취득한 주택(C)을 거주주택(D)에 이어 재차 양도하는 경우 ⁠「소득세법 시행령」(2019.2.12. 대통령령 제29523호로 개정된 것) 부칙 제7조에 따라 종전 규정을 적용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1. 사실관계

2. 질의내용

 ○ ’19.2.12. 전 분양계약체결 및 계약금을 지급하고 ’19.2.12. 이후 분양권이 완공되어 취득한 주택(C)을 양도하는 경우 거주주택 비과세 특례 재차 적용이 가능한지

3. 관련법령

소득세법 제89조【비과세 양도소득】

 ① 다음 각 호의 소득에 대해서는 양도소득에 대한 소득세(이하 "양도소득세"라 한다)를 과세하지 아니한다.

  3.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주택(가액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을 초과하는 고가주택은 제외한다)과 이에 딸린 토지로서 건물이 정착된 면적에 지역별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배율을 곱하여 산정한 면적 이내의 토지(이하 이 조에서 "주택부수토지"라 한다)의 양도로 발생하는 소득

  가. 1세대가 1주택을 보유하는 경우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요건을 충족하는 주택

   나. 1세대가 1주택을 양도하기 전에 다른 주택을 대체취득하거나 상속, 동거봉양, 혼인 등으로 인하여 2주택 이상을 보유하는 경우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택

 ② 1세대가 주택(주택부수토지를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과 조합원입주권 또는 분양권을 보유하다가 그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제1항에도 불구하고 같은 항 제3호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다만,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재건축사업 또는 재개발사업,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에 따른 자율주택정비사업, 가로주택정비사업, 소규모재건축사업 또는 소규모재개발사업의 시행기간 중 거주를 위하여 주택을 취득하는 경우나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1세대1주택의 특례】

⑳ 제167조의3제1항제2호에 따른 주택{같은 호 가목 및 다목에 해당하는 주택의 경우에는 해당 목의 단서에서 정하는 기한의 제한은 적용하지 않되, 2020년 7월 10일 이전에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제5조에 따른 임대사업자등록 신청(임대할 주택을 추가하기 위해 등록사항의 변경 신고를 한 경우를 포함한다)을 한 주택으로 한정하며, 같은 호 마목에 해당하는 주택의 경우에는 같은 목 1)에 따른 주택[같은 목 2) 및 3)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로 한정한다]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장기임대주택"이라 한다} 또는 같은 항 제8호의2에 해당하는 주택(이하 "장기가정어린이집"이라 한다)과 그 밖의 1주택을 국내에 소유하고 있는 1세대가 각각 제1호와 제2호 또는 제1호와 제3호의 요건을 충족하고 해당 1주택(이하 이 조에서 "거주주택"이라 한다)을 양도하는 경우(장기임대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생애 한 차례만 거주주택을 최초로 양도하는 경우에 한정한다)에는 국내에 1개의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제154조제1항을 적용한다. 이 경우 해당 거주주택을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제5조에 따라 민간임대주택으로 등록하였거나 「영유아보육법」 제13조제1항에 따른 인가를 받아 가정어린이집으로 사용한 사실이 있고 그 보유기간 중에 양도한 다른 거주주택(양도한 다른 거주주택이 둘 이상인 경우에는 가장 나중에 양도한 거주주택을 말한다. 이하 "직전거주주택"이라 한다)이 있는 거주주택(민간임대주택으로 등록한 사실이 있는 주택인 경우에는 1주택 외의 주택을 모두 양도한 후 1주택을 보유하게 된 경우로 한정한다. 이하 이 항에서 "직전거주주택보유주택"이라 한다)인 경우에는 직전거주주택의 양도일 후의 기간분에 대해서만 국내에 1개의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제154조제1항을 적용한다.

  1. 거주주택: 보유기간 중 거주기간(직전거주주택보유주택의 경우에는 법 제168조에 따른 사업자등록과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제5조에 따른 임대사업자 등록을 한 날 또는 「영유아보육법」 제13조제1항에 따른 인가를 받은 날 이후의 거주기간을 말한다)이 2년 이상일 것

  2. 장기임대주택: 양도일 현재 법 제168조에 따른 사업자등록을 하고, 장기임대주택을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제5조에 따라 민간임대주택으로 등록하여 임대하고 있으며, 임대보증금 또는 임대료(이하 이 호에서 "임대료등"이라 한다)의 증가율이 100분의 5를 초과하지 않을 것. 이 경우 임대료등의 증액 청구는 임대차계약의 체결 또는 약정한 임대료등의 증액이 있은 후 1년 이내에는 하지 못하고, 임대사업자가 임대료등의 증액을 청구하면서 임대보증금과 월임대료를 상호 간에 전환하는 경우에는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제44조제4항의 전환 규정을 준용한다.

소득세법 시행령 제156조의3【주택과 분양권을 소유한 경우 1세대 1주택의 특례】

 ② 국내에 1주택을 소유한 1세대가 그 주택(이하 이 항에서 "종전주택"이라 한다)을 양도하기 전에 분양권을 취득함으로써 일시적으로 1주택과 1분양권을 소유하게 된 경우 종전주택을 취득한 날부터 1년 이상이 지난 후에 분양권을 취득하고 그 분양권을 취득한 날부터 3년 이내에 종전주택을 양도하는 경우(3년 이내에 양도하지 못하는 경우로서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는 이를 1세대 1주택으로 보아 제154조제1항을 적용한다. 이 경우 같은 항 제1호, 제2호가목 및 제3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종전주택을 취득한 날부터 1년 이상이 지난 후 분양권을 취득하는 요건을 적용하지 않는다.

4. 관련사례

○ 서면-2021-법령해석재산-1409(2021.4.27.)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20항에 따른 거주주택 비과세 특례를 적용함에 있어 ’2019.2.12. 전에 새로운 주택을 취득하기 위하여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을 지급한 사실이 확인되는 주택분양권(D)과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20항에 따른 거주주택(A), 장기임대주택(B,C)을 ’2019.2.12. 전에 취득하는 경우로서, 주택분양권(D)이 완공되어 취득한 주택을 거주주택(A)에 이어 재차 양도하는 경우 「소득세법 시행령」(’2019.2.12. 대통령령 제29523호로 개정된 것) 부칙 제7조에 따라 종전규정을 적용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출처 : 국세청 2024. 03. 27. 서면-2021-부동산-2378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유권해석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2019.2.12. 이전 분양권 주택 재차 양도 시 거주주택 비과세 중복 적용

서면-2021-부동산-2378  ·  2024. 03. 27.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2019.2.12. 전에 분양권 매매계약 체결 및 계약금 지급을 완료한 주택을 완공 후 양도할 때 거주주택 비과세 특례가 재차 적용될 수 있는지요?

S요약

2019년 2월 12일 이전에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을 지급한 분양권이 주택으로 완공돼 두 번째 거주주택으로 양도될 때 종전 규정에 따라 거주주택 비과세 특례를 재차 적용할 수 있음이 확인됐습니다. 이는 시행령 부칙에 의거하며, 비과세 적용을 위한 요건과 기간, 특례 내용에 유의해야 합니다.
#1세대1주택 #분양권 #비과세 #거주주택 #주택양도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서면-2021-부동산-2378  ·  2024. 03. 27.

  • 국세청 서면-2021-부동산-2378 회신(2024.03.27.)에 따르면 2019.2.12. 이전 분양권 매매계약 체결 및 계약금 지급이 확인되는 경우, 해당 분양권이 완공되어 두 번째 거주주택으로 양도될 때에도 종전 거주주택 비과세 특례 재차 적용이 가능함을 밝혔습니다.
  • 해당 회신은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20항의 거주주택 비과세 특례와, 2019.2.12. 대통령령 제29523호로 개정된 시행령 부칙 제7조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 ‘19.2.12. 이전에 분양권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까지 지급한 사실이 객관적으로 확인되어야 하며, 이후 완공되어 실제 주택 취득 및 양도 시 비과세 특례 대상이 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 같은 사실관계에서 국세청은 과거 서면-2021-법령해석재산-1409(2021.4.27.)에서도 동일한 요지의 해석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 즉, 2019.2.12. 전 분양권분 주택의 이후 양도에 대하여 종전 규정이 적용되므로 실무 적용 시 해당 일자와 계약 요건 충족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소득세법 제89조: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및 예외 규정 명시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20항: 거주주택 및 장기임대주택 보유 시 비과세 특례 규정과 적용 요건 및 한계
  • 소득세법 시행령 부칙(2019.2.12. 대통령령 제29523호) 제7조: 2019.2.12. 이전 분양권 취득에 종전 규정 적용 특례 명시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6조의3: 주택과 분양권을 동시에 보유한 경우 비과세 특례 절차 설명
사례 Q&A
1. 2019년 2월 12일 이전 분양권 주택 양도 시에도 비과세 특례가 적용되나요?
답변
네, 2019.2.12. 전에 분양권 매매계약 체결 및 계약금 지급이 확인되면 완공된 주택 양도 시도 종전 규정에 따라 거주주택 비과세 특례가 재차 적용될 수 있습니다.
근거
국세청 서면-2021-부동산-2378 회신 및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20항, 부칙 제7조가 근거입니다.
2. 분양권 매매계약 체결일과 계약금 지급일이 중요한 이유는?
답변
비과세 특례 종전 규정 적용 가능 여부는 2019.2.12. 이전 계약 체결 및 계약금 지급 여부에 의해 결정됩니다.
근거
시행령 부칙(2019.2.12. 개정) 제7조가 해당 시점과 요건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3. 주택 양도일이 2019.2.12. 이후라도 예외 없이 비과세 특례를 받을 수 있나요?
답변
거래의 매매계약 체결·계약금 지급일이 2019.2.12. 이전임이 확인된다면, 양도일이 그 이후라도 종전 규정에 의한 비과세 특례 재적용이 가능합니다.
근거
국세청 서면-2021-부동산-2378 회신의 사례와 관련 조항의 해석 결과입니다.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19.2.12. 전에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을 지급한 사실이 확인되는 분양권이 주택으로 완성되어 두 번째 거주주택으로 양도하는 경우에도 종전규정에 따라 거주주택 비과세 재차 적용이 가능함

요지

회신

귀 질의의 경우,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20항에 따른 거주주택 비과세 특례를 적용함에 있어 2019.2.12. 전에 새로운 주택을 취득하기 위하여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을 지급한 사실이 확인되는 주택분양권(C)과 「조세특례제한법」 제99조의2제1항을 적용받는 주택(A),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20항에 따른 거주주택(D), 장기임대주택(E)을 2019.2.12. 전에 취득하는 경우로서,
분양권(C)이 완공되어 취득한 주택(C)을 거주주택(D)에 이어 재차 양도하는 경우 ⁠「소득세법 시행령」(2019.2.12. 대통령령 제29523호로 개정된 것) 부칙 제7조에 따라 종전 규정을 적용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1. 사실관계

2. 질의내용

 ○ ’19.2.12. 전 분양계약체결 및 계약금을 지급하고 ’19.2.12. 이후 분양권이 완공되어 취득한 주택(C)을 양도하는 경우 거주주택 비과세 특례 재차 적용이 가능한지

3. 관련법령

소득세법 제89조【비과세 양도소득】

 ① 다음 각 호의 소득에 대해서는 양도소득에 대한 소득세(이하 "양도소득세"라 한다)를 과세하지 아니한다.

  3.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주택(가액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을 초과하는 고가주택은 제외한다)과 이에 딸린 토지로서 건물이 정착된 면적에 지역별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배율을 곱하여 산정한 면적 이내의 토지(이하 이 조에서 "주택부수토지"라 한다)의 양도로 발생하는 소득

  가. 1세대가 1주택을 보유하는 경우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요건을 충족하는 주택

   나. 1세대가 1주택을 양도하기 전에 다른 주택을 대체취득하거나 상속, 동거봉양, 혼인 등으로 인하여 2주택 이상을 보유하는 경우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택

 ② 1세대가 주택(주택부수토지를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과 조합원입주권 또는 분양권을 보유하다가 그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제1항에도 불구하고 같은 항 제3호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다만,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재건축사업 또는 재개발사업,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에 따른 자율주택정비사업, 가로주택정비사업, 소규모재건축사업 또는 소규모재개발사업의 시행기간 중 거주를 위하여 주택을 취득하는 경우나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1세대1주택의 특례】

⑳ 제167조의3제1항제2호에 따른 주택{같은 호 가목 및 다목에 해당하는 주택의 경우에는 해당 목의 단서에서 정하는 기한의 제한은 적용하지 않되, 2020년 7월 10일 이전에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제5조에 따른 임대사업자등록 신청(임대할 주택을 추가하기 위해 등록사항의 변경 신고를 한 경우를 포함한다)을 한 주택으로 한정하며, 같은 호 마목에 해당하는 주택의 경우에는 같은 목 1)에 따른 주택[같은 목 2) 및 3)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로 한정한다]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장기임대주택"이라 한다} 또는 같은 항 제8호의2에 해당하는 주택(이하 "장기가정어린이집"이라 한다)과 그 밖의 1주택을 국내에 소유하고 있는 1세대가 각각 제1호와 제2호 또는 제1호와 제3호의 요건을 충족하고 해당 1주택(이하 이 조에서 "거주주택"이라 한다)을 양도하는 경우(장기임대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생애 한 차례만 거주주택을 최초로 양도하는 경우에 한정한다)에는 국내에 1개의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제154조제1항을 적용한다. 이 경우 해당 거주주택을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제5조에 따라 민간임대주택으로 등록하였거나 「영유아보육법」 제13조제1항에 따른 인가를 받아 가정어린이집으로 사용한 사실이 있고 그 보유기간 중에 양도한 다른 거주주택(양도한 다른 거주주택이 둘 이상인 경우에는 가장 나중에 양도한 거주주택을 말한다. 이하 "직전거주주택"이라 한다)이 있는 거주주택(민간임대주택으로 등록한 사실이 있는 주택인 경우에는 1주택 외의 주택을 모두 양도한 후 1주택을 보유하게 된 경우로 한정한다. 이하 이 항에서 "직전거주주택보유주택"이라 한다)인 경우에는 직전거주주택의 양도일 후의 기간분에 대해서만 국내에 1개의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제154조제1항을 적용한다.

  1. 거주주택: 보유기간 중 거주기간(직전거주주택보유주택의 경우에는 법 제168조에 따른 사업자등록과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제5조에 따른 임대사업자 등록을 한 날 또는 「영유아보육법」 제13조제1항에 따른 인가를 받은 날 이후의 거주기간을 말한다)이 2년 이상일 것

  2. 장기임대주택: 양도일 현재 법 제168조에 따른 사업자등록을 하고, 장기임대주택을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제5조에 따라 민간임대주택으로 등록하여 임대하고 있으며, 임대보증금 또는 임대료(이하 이 호에서 "임대료등"이라 한다)의 증가율이 100분의 5를 초과하지 않을 것. 이 경우 임대료등의 증액 청구는 임대차계약의 체결 또는 약정한 임대료등의 증액이 있은 후 1년 이내에는 하지 못하고, 임대사업자가 임대료등의 증액을 청구하면서 임대보증금과 월임대료를 상호 간에 전환하는 경우에는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제44조제4항의 전환 규정을 준용한다.

소득세법 시행령 제156조의3【주택과 분양권을 소유한 경우 1세대 1주택의 특례】

 ② 국내에 1주택을 소유한 1세대가 그 주택(이하 이 항에서 "종전주택"이라 한다)을 양도하기 전에 분양권을 취득함으로써 일시적으로 1주택과 1분양권을 소유하게 된 경우 종전주택을 취득한 날부터 1년 이상이 지난 후에 분양권을 취득하고 그 분양권을 취득한 날부터 3년 이내에 종전주택을 양도하는 경우(3년 이내에 양도하지 못하는 경우로서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는 이를 1세대 1주택으로 보아 제154조제1항을 적용한다. 이 경우 같은 항 제1호, 제2호가목 및 제3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종전주택을 취득한 날부터 1년 이상이 지난 후 분양권을 취득하는 요건을 적용하지 않는다.

4. 관련사례

○ 서면-2021-법령해석재산-1409(2021.4.27.)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20항에 따른 거주주택 비과세 특례를 적용함에 있어 ’2019.2.12. 전에 새로운 주택을 취득하기 위하여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을 지급한 사실이 확인되는 주택분양권(D)과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20항에 따른 거주주택(A), 장기임대주택(B,C)을 ’2019.2.12. 전에 취득하는 경우로서, 주택분양권(D)이 완공되어 취득한 주택을 거주주택(A)에 이어 재차 양도하는 경우 「소득세법 시행령」(’2019.2.12. 대통령령 제29523호로 개정된 것) 부칙 제7조에 따라 종전규정을 적용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출처 : 국세청 2024. 03. 27. 서면-2021-부동산-2378 | 국세법령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