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3항 조사 기간 해석

근로기준정책과-1389  ·  2022. 04. 25.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3항에서 규정한 '조사 기간'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S요약

고용노동부는 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3항에 규정된 “조사 기간”의 의미에 대해 유권해석을 하였습니다. 이는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시 사용자의 조사 의무와 관련된 것으로, 구체적인 기간의 산정이나 해석 기준이 중요함을 시사합니다.
#근로기준법 #조사 기간 #직장 내 괴롭힘 #고용노동부 #조사 의무 #진상조사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근로기준정책과-1389  ·  2022. 04. 25.

  • 회신 주체: 고용노동부 근로기준정책과, 출처: 근로기준정책과-1389 (2022.4.25.)
  • '조사 기간'은 사업주가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해 사실 확인을 위하여 실제로 조사한 기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회신하였습니다.
  • 이는 피해자, 행위자, 참고인 등에 대한 사실관계 확인 및 자료수집 등 직장 내 괴롭힘 관련 사안의 진상조사를 위해 실제 소요된 기간을 의미합니다.
  • 조사 기간 산정에 있어 사용자와 관계자의 면담, 서류 자료 확인, 관련 증거 수집에 투입된 시간 등이 포함됩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3항: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시 사용자의 조사기간 관련 의무를 규정
  • 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직장 내 괴롭힘의 금지 및 조치에 관한 내용 명시
사례 Q&A
1. 근로기준법에서 조사 기간의 정의는 어떻게 되나요?
답변
조사 기간은 사업주가 직장 내 괴롭힘 사실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실제로 조사에 투입한 기간을 말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근거
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3항에 따른 고용노동부의 유권해석에서 조사에 소요된 실제 기간의 의미로 해석하였습니다.
2. 직장 내 괴롭힘 조사 시 어떤 행위가 조사 기간에 포함되나요?
답변
피해자, 행위자, 참고인 면담, 자료 확인 등 사실관계 확인에 필요한 모든 절차가 포함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근거
고용노동부 근로기준정책과 회신에 따라 사실확인 및 자료수집 활동 전반이 조사 기간에 포함된다고 보았습니다.
3. 조사 기간 산정 시 시작일과 종료일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답변
조사 시작일은 회사가 괴롭힘 사안 인지 후 조사 개시일이며, 종료일은 진상조사가 실제로 완료된 때로 볼 수 있습니다.
근거
조사 기간의 산정 기준은 실질적으로 이루어진 조사 착수부터 종료까지의 기간임을 고용노동부 유권해석에서 밝혔습니다.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3항에서의 ⁠“조사 기간”에 대한 해석

 ⁠[고용노동부 근로기준정책과-1389, 2022. 4. 25.]

고용노동부(근로기준정책과), 044-202-7579

고용노동부 누리집에서 수집한 데이터입니다.

출처 : 고용노동부 2022. 04. 25. 근로기준정책과-1389 | 법제처 유권해석

유권해석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3항 조사 기간 해석

근로기준정책과-1389  ·  2022. 04. 25.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3항에서 규정한 '조사 기간'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S요약

고용노동부는 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3항에 규정된 “조사 기간”의 의미에 대해 유권해석을 하였습니다. 이는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시 사용자의 조사 의무와 관련된 것으로, 구체적인 기간의 산정이나 해석 기준이 중요함을 시사합니다.
#근로기준법 #조사 기간 #직장 내 괴롭힘 #고용노동부 #조사 의무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근로기준정책과-1389  ·  2022. 04. 25.

  • 회신 주체: 고용노동부 근로기준정책과, 출처: 근로기준정책과-1389 (2022.4.25.)
  • '조사 기간'은 사업주가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해 사실 확인을 위하여 실제로 조사한 기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회신하였습니다.
  • 이는 피해자, 행위자, 참고인 등에 대한 사실관계 확인 및 자료수집 등 직장 내 괴롭힘 관련 사안의 진상조사를 위해 실제 소요된 기간을 의미합니다.
  • 조사 기간 산정에 있어 사용자와 관계자의 면담, 서류 자료 확인, 관련 증거 수집에 투입된 시간 등이 포함됩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3항: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시 사용자의 조사기간 관련 의무를 규정
  • 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직장 내 괴롭힘의 금지 및 조치에 관한 내용 명시
사례 Q&A
1. 근로기준법에서 조사 기간의 정의는 어떻게 되나요?
답변
조사 기간은 사업주가 직장 내 괴롭힘 사실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실제로 조사에 투입한 기간을 말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근거
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3항에 따른 고용노동부의 유권해석에서 조사에 소요된 실제 기간의 의미로 해석하였습니다.
2. 직장 내 괴롭힘 조사 시 어떤 행위가 조사 기간에 포함되나요?
답변
피해자, 행위자, 참고인 면담, 자료 확인 등 사실관계 확인에 필요한 모든 절차가 포함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근거
고용노동부 근로기준정책과 회신에 따라 사실확인 및 자료수집 활동 전반이 조사 기간에 포함된다고 보았습니다.
3. 조사 기간 산정 시 시작일과 종료일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답변
조사 시작일은 회사가 괴롭힘 사안 인지 후 조사 개시일이며, 종료일은 진상조사가 실제로 완료된 때로 볼 수 있습니다.
근거
조사 기간의 산정 기준은 실질적으로 이루어진 조사 착수부터 종료까지의 기간임을 고용노동부 유권해석에서 밝혔습니다.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3항에서의 ⁠“조사 기간”에 대한 해석

 ⁠[고용노동부 근로기준정책과-1389, 2022. 4. 25.]

고용노동부(근로기준정책과), 044-202-7579

고용노동부 누리집에서 수집한 데이터입니다.

출처 : 고용노동부 2022. 04. 25. 근로기준정책과-1389 | 법제처 유권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