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학교장 직책급업무수행경비의 근로소득 해당 여부 해석

서면-2025-원천-0935  ·  2025. 08. 07.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학교장에게 지급되는 '직책급업무수행경비'(업무추진비)는 과세대상 근로소득에 해당하는지 궁금합니다.

S요약

국세청은 학교장에게 지급하는 “직책급업무수행경비”가 업무사용이 명백하지 않으면 근로소득에 포함된다고 밝혔습니다. 직원 격려·대외활동 등 업무관련 사용이 입증되면 근로소득에서 제외할 수 있습니다. 실무에서는 영수증 등 증빙을 통한 사실관계 확인이 중요함을 시사합니다.
#학교장 #직책급업무수행경비 #업무추진비 #근로소득 #비과세 #소득세법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서면-2025-원천-0935  ·  2025. 08. 07.

  • 국세청(서면-2025-원천-0935, 2025-08-07) 회신에 따르면, 학교장에게 지급되는 “직책급업무수행경비”는 업무에 명확히 사용한 경우에는 근로소득에 포함하지 않으나, 그렇지 않으면 근로소득에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혔습니다.
  • 소득세법 시행령 제38조 제1항 제1호를 근거로, 업무관련성이 명확히 증빙되지 않은 경우 기밀비·판공비·교제비는 과세 대상이 됩니다.
  • 직원 격려, 기관 대외활동 등 업무관련 경비로 실제 사용했다는 점이 입증되면 비과세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해석됩니다.
  • 다만, 실제 영수증 등 사용 증빙자료가 없거나 근로제공의 대가로 정기적으로 지급됐다면 근로소득에 해당할 수 있다고 안내하였습니다.
  • 회신에서 과거 사례(서면-2023-원천-2609, 서면-2021-소득-8483)도 참고하도록 했으니, 사실판단 및 증빙보관에 유의해야 함을 알 수 있습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소득세법 제20조: 근로를 제공함으로써 받는 봉급, 수당, 이와 유사한 급여는 근로소득에 해당
  • 소득세법 시행령 제38조 제1항 제1호: 기밀비·판공비·교제비 등 업무를 위하여 사용됨이 분명하지 않은 경우에는 근로소득 포함
  • 서면-2023-원천-2609(2023.9.26.): 직책수행경비가 실질적 업무 관련 지출로 입증되면 근로소득 제외
  • 서면-2021-소득-8483(2022.2.25.): 업무와 관련된 사실 입증 없이 규칙적·대가적 지급이면 근로소득 가능
사례 Q&A
1. 학교장 업무추진비가 근로소득에 포함되나요?
답변
업무추진비가 업무 관련 사용이 명확히 입증된 경우 근로소득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근거
국세청 회신 및 소득세법 시행령 제38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업무관련 지출 여부가 근로소득 과세판단의 핵심입니다.
2. 직책급업무수행경비 비과세 조건은 무엇인가요?
답변
증빙 등을 통해 업무목적으로 사용된 것이 밝혀져야 비과세가 가능합니다.
근거
사업장에서는 영수증 등 실사용 증빙자료가 확보되어야 근로소득에서 제외할 수 있음을 국세청에서 안내했습니다.
3. 학교장에 대한 업무추진비의 처리방법은?
답변
실제 사용 내역을 영수증 등으로 입증할 경우 비과세 처리하며, 그렇지 않으면 근로소득으로 봅니다.
근거
업무관련 지출 증빙 여부가 과세·비과세 판단의 기준임을 회신 및 예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요지

학교장에게 지급하는 ⁠“직책급업무수행경비”는 업무를 위하여 사용된 것이 분명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근로소득에 포함하나, 직원 격려·대외활동 등 업무를 위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근로소득에 포함하지 않는 것임

회신

학교장에게 지급하는 ⁠“직책급업무수행경비”는 소득세법 시행령 제38조제1항제1호에 따라 기밀비(판공비를 포함)·교제비 기타 이와 유사한 명목으로 받는 것으로 업무를 위하여 사용된 것이 분명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근로소득에 포함하나, 직원 격려·대외활동 등 업무를 위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근로소득에 포함하지 않는 것입니다.
귀 질의는 아래 해석사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서면-2023-원천-2609(2023.9.26.)
○서면-2021-소득-8483(2022.2.25.)

1.사실관계

○각급 학교에서는 연말정산 시 학교장에게 매월 지급하는 ⁠“직책급업무수행경비(업무추진비)”의 실제 사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영수증 등의 증빙서류를 제출받아 비과세 처리하고 있음

○그러나, ⁠“직책급 업무수행경비(업무추진비)”가 과연 과세처리되는 근로소득이 맞느냐는 문의가 있어 국세청콜센터(126)에 문의한 바 상담원께서 서면-2023-원천-2609에 따른 직책수행경비에 해당하므로 비과세 소득이라고 답변해 주셨고, 성격상 판공비가 아니냐는 추가질문에는 답변하기 어렵다고 말씀하심

○하지만 서면-2023-원천-2609에 해당되는 직책수행경비(세목:250-02)와 각급 학교에서 지급하는 직책급업무수행경비는 성격상 차이가 있음(후자는 업무추진비)

2.질의내용

 ○000교육청 「2025학년도 공립 유·초·중·고·특수학교 학교회계 예산편성 기본지침」(첨부파일 참조)에 따라 학교장에게 지급하는 ⁠“직책급업무수행경비”(세목B200102)가 과세대상 근로소득이 맞는지?

3.관련법령

 ○소득세법 제20조【근로소득】

 ①근로소득은 해당 과세기간에 발생한 다음 각 호의 소득으로 한다.

  1.근로를 제공함으로써 받는 봉급ㆍ급료ㆍ보수ㆍ세비ㆍ임금ㆍ상여ㆍ수당과 이와 유사한 성질의 급여

 ○소득세법 제38조【근로소득의 범위】

 ①법 제20조에 따른 근로소득에는 다음 각 호의 소득이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1.기밀비(판공비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ㆍ교제비 기타 이와 유사한 명목으로 받는 것으로서 업무를 위하여 사용된 것이 분명하지 아니한 급여

  2.종업원이 받는 공로금ㆍ위로금ㆍ개업축하금ㆍ학자금ㆍ장학금(종업원의 수학중인 자녀가 사용자로부터 받는 학자금ㆍ장학금을 포함한다) 기타 이와 유사한 성질의 급여

  3.근로수당ㆍ가족수당ㆍ전시수당ㆍ물가수당ㆍ출납수당ㆍ직무수당 기타 이와 유사한 성질의 급여

3.관련예규 및 판례

  ○서면-2023-원천-2609(2023.9.26.)

  「2023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집행지침」에 따른 직책수행경비(250-02목)는 조직관계법 또는 직제에 의한 직위(실·국·과장 등)를 보유한 자에게 기관간 섭외, 내부 직원의 격려, 기타 직무관련 소규모 지출 등 직책 수행을 위한 소용을 충당하기 위한 비용으로 근로소득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서면-2021-소득-8483(2022.2.25.)

  귀 질의의 경우 어린이집 대표자 겸 원장이 지급받는 월정직책급으로서 업무와 관련하여 사용하였다는 사실을 입증하지 못하고, 실질적으로 근로 제공의 대가에 해당하거나 근로를 전제로 하여 규칙적으로 지급되었다면 근로소득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사실판단할 사항입니다.

출처 : 국세청 2025. 08. 07. 서면-2025-원천-0935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유권해석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학교장 직책급업무수행경비의 근로소득 해당 여부 해석

서면-2025-원천-0935  ·  2025. 08. 07.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학교장에게 지급되는 '직책급업무수행경비'(업무추진비)는 과세대상 근로소득에 해당하는지 궁금합니다.

S요약

국세청은 학교장에게 지급하는 “직책급업무수행경비”가 업무사용이 명백하지 않으면 근로소득에 포함된다고 밝혔습니다. 직원 격려·대외활동 등 업무관련 사용이 입증되면 근로소득에서 제외할 수 있습니다. 실무에서는 영수증 등 증빙을 통한 사실관계 확인이 중요함을 시사합니다.
#학교장 #직책급업무수행경비 #업무추진비 #근로소득 #비과세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서면-2025-원천-0935  ·  2025. 08. 07.

  • 국세청(서면-2025-원천-0935, 2025-08-07) 회신에 따르면, 학교장에게 지급되는 “직책급업무수행경비”는 업무에 명확히 사용한 경우에는 근로소득에 포함하지 않으나, 그렇지 않으면 근로소득에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혔습니다.
  • 소득세법 시행령 제38조 제1항 제1호를 근거로, 업무관련성이 명확히 증빙되지 않은 경우 기밀비·판공비·교제비는 과세 대상이 됩니다.
  • 직원 격려, 기관 대외활동 등 업무관련 경비로 실제 사용했다는 점이 입증되면 비과세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해석됩니다.
  • 다만, 실제 영수증 등 사용 증빙자료가 없거나 근로제공의 대가로 정기적으로 지급됐다면 근로소득에 해당할 수 있다고 안내하였습니다.
  • 회신에서 과거 사례(서면-2023-원천-2609, 서면-2021-소득-8483)도 참고하도록 했으니, 사실판단 및 증빙보관에 유의해야 함을 알 수 있습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소득세법 제20조: 근로를 제공함으로써 받는 봉급, 수당, 이와 유사한 급여는 근로소득에 해당
  • 소득세법 시행령 제38조 제1항 제1호: 기밀비·판공비·교제비 등 업무를 위하여 사용됨이 분명하지 않은 경우에는 근로소득 포함
  • 서면-2023-원천-2609(2023.9.26.): 직책수행경비가 실질적 업무 관련 지출로 입증되면 근로소득 제외
  • 서면-2021-소득-8483(2022.2.25.): 업무와 관련된 사실 입증 없이 규칙적·대가적 지급이면 근로소득 가능
사례 Q&A
1. 학교장 업무추진비가 근로소득에 포함되나요?
답변
업무추진비가 업무 관련 사용이 명확히 입증된 경우 근로소득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근거
국세청 회신 및 소득세법 시행령 제38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업무관련 지출 여부가 근로소득 과세판단의 핵심입니다.
2. 직책급업무수행경비 비과세 조건은 무엇인가요?
답변
증빙 등을 통해 업무목적으로 사용된 것이 밝혀져야 비과세가 가능합니다.
근거
사업장에서는 영수증 등 실사용 증빙자료가 확보되어야 근로소득에서 제외할 수 있음을 국세청에서 안내했습니다.
3. 학교장에 대한 업무추진비의 처리방법은?
답변
실제 사용 내역을 영수증 등으로 입증할 경우 비과세 처리하며, 그렇지 않으면 근로소득으로 봅니다.
근거
업무관련 지출 증빙 여부가 과세·비과세 판단의 기준임을 회신 및 예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요지

학교장에게 지급하는 ⁠“직책급업무수행경비”는 업무를 위하여 사용된 것이 분명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근로소득에 포함하나, 직원 격려·대외활동 등 업무를 위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근로소득에 포함하지 않는 것임

회신

학교장에게 지급하는 ⁠“직책급업무수행경비”는 소득세법 시행령 제38조제1항제1호에 따라 기밀비(판공비를 포함)·교제비 기타 이와 유사한 명목으로 받는 것으로 업무를 위하여 사용된 것이 분명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근로소득에 포함하나, 직원 격려·대외활동 등 업무를 위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근로소득에 포함하지 않는 것입니다.
귀 질의는 아래 해석사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서면-2023-원천-2609(2023.9.26.)
○서면-2021-소득-8483(2022.2.25.)

1.사실관계

○각급 학교에서는 연말정산 시 학교장에게 매월 지급하는 ⁠“직책급업무수행경비(업무추진비)”의 실제 사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영수증 등의 증빙서류를 제출받아 비과세 처리하고 있음

○그러나, ⁠“직책급 업무수행경비(업무추진비)”가 과연 과세처리되는 근로소득이 맞느냐는 문의가 있어 국세청콜센터(126)에 문의한 바 상담원께서 서면-2023-원천-2609에 따른 직책수행경비에 해당하므로 비과세 소득이라고 답변해 주셨고, 성격상 판공비가 아니냐는 추가질문에는 답변하기 어렵다고 말씀하심

○하지만 서면-2023-원천-2609에 해당되는 직책수행경비(세목:250-02)와 각급 학교에서 지급하는 직책급업무수행경비는 성격상 차이가 있음(후자는 업무추진비)

2.질의내용

 ○000교육청 「2025학년도 공립 유·초·중·고·특수학교 학교회계 예산편성 기본지침」(첨부파일 참조)에 따라 학교장에게 지급하는 ⁠“직책급업무수행경비”(세목B200102)가 과세대상 근로소득이 맞는지?

3.관련법령

 ○소득세법 제20조【근로소득】

 ①근로소득은 해당 과세기간에 발생한 다음 각 호의 소득으로 한다.

  1.근로를 제공함으로써 받는 봉급ㆍ급료ㆍ보수ㆍ세비ㆍ임금ㆍ상여ㆍ수당과 이와 유사한 성질의 급여

 ○소득세법 제38조【근로소득의 범위】

 ①법 제20조에 따른 근로소득에는 다음 각 호의 소득이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1.기밀비(판공비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ㆍ교제비 기타 이와 유사한 명목으로 받는 것으로서 업무를 위하여 사용된 것이 분명하지 아니한 급여

  2.종업원이 받는 공로금ㆍ위로금ㆍ개업축하금ㆍ학자금ㆍ장학금(종업원의 수학중인 자녀가 사용자로부터 받는 학자금ㆍ장학금을 포함한다) 기타 이와 유사한 성질의 급여

  3.근로수당ㆍ가족수당ㆍ전시수당ㆍ물가수당ㆍ출납수당ㆍ직무수당 기타 이와 유사한 성질의 급여

3.관련예규 및 판례

  ○서면-2023-원천-2609(2023.9.26.)

  「2023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집행지침」에 따른 직책수행경비(250-02목)는 조직관계법 또는 직제에 의한 직위(실·국·과장 등)를 보유한 자에게 기관간 섭외, 내부 직원의 격려, 기타 직무관련 소규모 지출 등 직책 수행을 위한 소용을 충당하기 위한 비용으로 근로소득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서면-2021-소득-8483(2022.2.25.)

  귀 질의의 경우 어린이집 대표자 겸 원장이 지급받는 월정직책급으로서 업무와 관련하여 사용하였다는 사실을 입증하지 못하고, 실질적으로 근로 제공의 대가에 해당하거나 근로를 전제로 하여 규칙적으로 지급되었다면 근로소득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사실판단할 사항입니다.

출처 : 국세청 2025. 08. 07. 서면-2025-원천-0935 | 국세법령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