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상장 전 주식 양도 시 취득시기 불분명할 경우 상증법 적용 판단

사전-2024-법규재산-0870  ·  2024. 12. 23.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상장 전 5년 이내 최대주주등의 특수관계인이 주식을 복수 경로(특수관계인·제3자)로 취득 후 일부를 상장 전에 양도하였으나, 양도 주식의 취득시기가 불분명할 때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1조의3 적용 시 주식의 취득시기는 어떻게 판정되는지요?

S요약

상장 전 최대주주등으로부터 취득한 주식과 제3자에게 취득한 주식을 함께 보유하다가 일부 주식을 양도하였으나, 그 취득시기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최대주주등으로부터 취득한 주식부터 먼저 양도한 것으로 보아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1조의3을 적용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상장주식 #취득시기 #상증법41조의3 #최대주주 #특수관계인 #증여세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사전-2024-법규재산-0870  ·  2024. 12. 23.

  • 국세청 사전-2024-법규재산-0870 회신에 따르면 본 사안은 유권해석에 근거하여 판단해야 함을 명확히 밝혔습니다.
  • 최대주주등의 특수관계인이 해당 법인의 주식을 상장 전 5년 이내에 복수 경로(특수관계인·제3자)로 취득했으며, 그 중 일부 주식을 상장 전에 양도하였으나 양도한 주식의 취득시기를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전제입니다.
  • 이때 「소득세법」 제98조 및 장부 등으로 취득시기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면 그에 따르며, 그렇지 아니하다면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1조의3 제2항 규정에 따라 최대주주등으로부터 취득한 주식부터 먼저 양도한 것으로 보아 관련 증여이익을 산정하게 됩니다.
  • 구체적으로, 취득시기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 실질적으로 증여세 등 과세형평을 고려해 특수관계인 취득분을 우선 양도한 것으로 보아 증여세 과세이익을 계산하게 된다고 회신하였습니다.
  • 이는 과거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329(2015.04.24.) 유권해석과도 일관된 입장으로, 주식 이동 경로와 상장시점, 취득 자금 출처에 따라 과세이익 판정 구조가 적용된다는 점을 덧붙였습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1조의3: 최대주주 등 특수관계인이 주식을 상장 5년 내 취득·양도할 때 상장 차익에 대한 이익의 증여 규정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31조의3: 상장에 따른 이익의 계산, 적용 시장, 기준금액 등 산정 방법 명시
  • 소득세법 제98조: 자산의 취득시기는 대금을 청산한 날로 하나 불분명시 별도 규정 적용
  • 소득세법 시행령 제162조 제5항: 취득시기가 불분명할 때 먼저 취득한 자산부터 양도한 것으로 봄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 유권해석(2015.04.24.): 취득시기가 확인 불가시 최대주주등 취득분부터 양도 간주 가능
사례 Q&A
1. 상장 전 복수 경로 취득 주식의 양도 시 취득시기가 불분명하다면 어떻게 처리되나요?
답변
취득시기가 불분명하다면 최대주주등으로부터 취득한 주식부터 먼저 양도한 것으로 보아 증여이익을 산정하게 됩니다.
근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1조의3, 소득세법 시행령 제162조 제5항, 국세청 사전-2024-법규재산-0870 회신 근거.
2. 상증법 제41조의3 적용에서 취득시기 확인이 가능한 때와 불가능할 때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답변
취득시기를 장부 등으로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경우 그에 따르고, 불분명한 경우에는 특수관계인 취득분을 우선 양도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근거
소득세법 제98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1조의3, 국세청 유권해석.
3. 상장 전 5년 이내에 특수관계인 취득 주식 일부를 양도한 경우 차익산정 특례는 어떻게 적용되나요?
답변
특수관계인으로부터 취득한 주식의 양도차익에 증여이익이 발생하는 구조로 보고, 주식 취득자금 출처·흐름을 기준으로 산정하게 됩니다.
근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1조의3·시행령 제31조의3, 국세청 해석례.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요지

최대주주등으로부터 취득한 주식과 제3자에게 취득한 주식을 보유한 경우로서 상장 전에 그 중 일부를 양도하고 양도한 주식의 취득시기가 불분명한 경우, 최대주주등으로부터 취득한 주식을 먼저 양도한 것으로 보아 상증법§41의3 적용

답변내용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1조의3(이하 ⁠“쟁점규정”)을 적용함에 있어서 최대주주등의 특수관계인이 최대주주등으로부터 해당 법인의 주식등을 유상으로 취득하여 그 주식등을 거래소에 상장되기 전에 양도한 경우 그 양도한 주식등의 취득시기는 ⁠「소득세법」 제98조에 따른 장부 등에 따라 확인되는 경우 그에 따르는 것이나, 그 양도한 주식의 취득시기가 불분명한 경우 쟁점규정 제2항에 따라 취득한 주식을 먼저 양도한 것으로 보아 쟁점규정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1. 사실관계

 ○본인은 2024년 5월에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A회사의 대주주의 아들

 ○상장 전 5년 이내 주식 이동 흐름

날짜

기초

매입

매도

잔고

거래대상

매입자금

2019-05-07이전

554,500

2020/09/24

554,500

300,000

854,500

제3자

일부

특관자

2020/12/17

854,500

175,500

1,030,000

특관자

2023/01/06

1,030,000

373,099

656,901

제3자

2023/01/10

656,901

10,000

666,901

제3자

2024/04/24

666,901

6,036

660,865

회사증여

총 계

485,500

379,135

 ○2020.9.24. 주식 매수자금 180백만원 중 150백만원은 특수관계인로부터 증여받은 자금을 사용하여 주식 취득

  - 300,000주 중 250,000주는 상장차익 과세여부 검토대상

  * 300,000주 × 150백만원 ÷ 180백만원

 ○2020. 12. 17. 취득한 175,500주도 특수관계인으로부터 취득한 주식

  - 이 후 2023.01.06. 373,099주 비특수관계인 제3자에게 양도

  * 양도한 주식의 취득시기를 개별적으로 식별 불가능한 것으로 전제

2. 질의내용

 ○ 상장 전 5년 이내 특수관계인로부터 현금을 증여받아 발행법인의주식을 취득하거나 특수관계인로부터 주식을 취득한 후, 상장 전에 제3자에게 일부 주식을 매도한 경우

  - 상증법§41의3을 적용함에 있어 상장 전 매도한 주식의 취득시기 판정방법

  * 주식의 개별적인 식별은 불가능한 경우로 전제

3. 관련법령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1조의3【주식등의 상장 등에 따른 이익의 증여】

① 기업의 경영 등에 관하여 공개되지 아니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지위에 있다고 인정되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하 이 조 및 제41조의5에서 "최대주주등"이라 한다)의 특수관계인이 제2항에 따라 해당 법인의 주식등을 증여받거나 취득한 경우 그 주식등을 증여받거나 취득한 날부터 5년 이내에 그 주식등이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의2제4항제1호에 따른 증권시장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증권시장(이하 이 조에서 "증권시장"이라 한다)에 상장됨에 따라 그 가액이 증가한 경우로서 그 주식등을 증여받거나 취득한 자가 당초 증여세 과세가액(제2항제2호에 따라 증여받은 재산으로 주식등을 취득한 경우는 제외한다) 또는 취득가액을 초과하여 이익을 얻은 경우에는 그 이익에 상당하는 금액을 그 이익을 얻은 자의 증여재산가액으로 한다. 다만, 그 이익에 상당하는 금액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금액 미만인 경우는 제외한다

  1. 제22조제2항에 따른 최대주주 또는 최대출자자

  2. 내국법인의 발행주식총수 또는 출자총액의 100분의 25 이상을 소유한 자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

 ② 제1항에 따른 주식등을 증여받거나 취득한 경우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로 한다.

  1. 최대주주등으로부터 해당 법인의 주식등을 증여받거나 유상으로 취득한 경우

  2. 증여받은 재산(주식등을 유상으로 취득한 날부터 소급하여 3년 이내에 최대주주등으로부터 증여받은 재산을 말한다. 이하 이 조 및 제41조의5에서 같다)으로 최대주주등이 아닌 자로부터 해당 법인의 주식등을 취득한 경우

 ③ 제1항에 따른 이익은 해당 주식등의 상장일부터 3개월이 되는 날(그 주식등을 보유한 자가 상장일부터 3개월 이내에 사망하거나 그 주식등을 증여 또는 양도한 경우에는 그 사망일, 증여일 또는 양도일을 말한다. 이하 이 조와 제68조에서 "정산기준일"이라 한다)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④ 제1항에 따른 이익을 얻은 자에 대해서는 그 이익을 당초의 증여세 과세가액(증여받은 재산으로 주식등을 취득한 경우에는 그 증여받은 재산에 대한 증여세 과세가액을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에 가산하여 증여세 과세표준과 세액을 정산한다. 다만, 정산기준일 현재의 주식등의 가액이 당초의 증여세 과세가액보다 적은 경우로서 그 차액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 이상인 경우에는 그 차액에 상당하는 증여세액(증여받은 때에 납부한 당초의 증여세액을 말한다)을 환급받을 수 있다

 ⑤ 제1항에 따른 상장일은 증권시장에서 최초로 주식등의 매매거래를 시작한 날로 한다.

 ⑥ 제2항제2호를 적용할 때 증여받은 재산과 다른 재산이 섞여 있어 증여받은 재산으로 주식등을 취득한 것이 불분명한 경우에는 그 증여받은 재산으로 주식등을 취득한 것으로 추정한다. 이 경우 증여받은 재산을 담보로 한 차입금으로 주식등을 취득한 경우에는 증여받은 재산으로 취득한 것으로 본다

 ⑦ 제2항을 적용할 때 주식등을 증여받거나 취득한 후 그 법인이 자본금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신주를 발행함에 따라 신주를 인수하거나 배정받은 경우를 포함한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31조의3【주식등의 상장 등에 따른 이익의 계산방법 등】

 ① 법 제41조의3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 따른 이익은 제1호의 가액에서 제2호 및 제3호의 가액을 차감한 가액에 증여받거나 유상으로 취득한 주식등의 수를 곱한 금액으로 한다.

  1. 법 제41조의3제3항에 따른 정산기준일(이하 이 조에서 "정산기준일"이라 한다) 현재 1주당 평가가액(법 제63조에 따라 평가한 가액을 말한다)

  2. 주식등을 증여받은 날 현재의 1주당 증여세 과세가액(취득의 경우에는 취득일 현재의 1주당 취득가액)

  3. 1주당 기업가치의 실질적인 증가로 인한 이익

 ② 법 제41조의3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증권시장"이란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을 말한다.

 ③ 법 제41조의3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단서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금액"이란 다음 각 호의 금액 중 적은 금액을 말한다.

  1. 제1항제2호 및 제3호의 가액의 합계액에 증여받거나 유상으로 취득한 주식등의 수를 곱한 금액의 100분의 30에 상당하는 가액

  2. 3억원

소득세법 제98조 【양도 또는 취득의 시기】

  자산의 양도차익을 계산할 때 그 취득시기 및 양도시기는 대금을 청산한 날이 분명하지 아니한 경우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해당 자산의 대금을 청산한 날로 한다. 이 경우 자산의 대금에는 해당 자산의 양도에 대한 양도소득세 및 양도소득세의 부가세액을 양수자가 부담하기로 약정한 경우에는 해당 양도소득세 및 양도소득세의 부가세액은 제외한다.

소득세법 시행령 제162조 【양도 또는 취득의 시기】

 ① 법 제98조 전단에서 "대금을 청산한 날이 분명하지 아니한 경우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란 다음 각 호의 경우를 말한다.

 ⑤ 법 제98조 및 이 조 제1항을 적용할 때 양도한 자산의 취득시기가 분명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먼저 취득한 자산을 먼저 양도한 것으로 본다.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329, 2015.04.24.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1조의3의 규정을 적용함에 있어서 최대주주등의 특수관계인이 최대주주등으로부터 해당 법인의 주식등을 유상으로 취득하여 그 주식등을 거래소에 상장되기 전에 양도한 경우 그 양도한 주식등의 취득시기는 「소득세법」 제98조에 따른 장부 등에 따라 확인되는 경우 그에 따르는 것이고, 그 밖에 취득시기가 불분명한 경우로서 상장일 현재 상장된 주식등의 수가 유상으로 취득하기 전보다 증가하지 아니한 때에는 같은 법 같은 조에 따른 이익의 증여 규정이 적용되지 아니하는 것입니다.

출처 : 국세청 2024. 12. 23. 사전-2024-법규재산-0870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유권해석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상장 전 주식 양도 시 취득시기 불분명할 경우 상증법 적용 판단

사전-2024-법규재산-0870  ·  2024. 12. 23.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상장 전 5년 이내 최대주주등의 특수관계인이 주식을 복수 경로(특수관계인·제3자)로 취득 후 일부를 상장 전에 양도하였으나, 양도 주식의 취득시기가 불분명할 때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1조의3 적용 시 주식의 취득시기는 어떻게 판정되는지요?

S요약

상장 전 최대주주등으로부터 취득한 주식과 제3자에게 취득한 주식을 함께 보유하다가 일부 주식을 양도하였으나, 그 취득시기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최대주주등으로부터 취득한 주식부터 먼저 양도한 것으로 보아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1조의3을 적용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상장주식 #취득시기 #상증법41조의3 #최대주주 #특수관계인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사전-2024-법규재산-0870  ·  2024. 12. 23.

  • 국세청 사전-2024-법규재산-0870 회신에 따르면 본 사안은 유권해석에 근거하여 판단해야 함을 명확히 밝혔습니다.
  • 최대주주등의 특수관계인이 해당 법인의 주식을 상장 전 5년 이내에 복수 경로(특수관계인·제3자)로 취득했으며, 그 중 일부 주식을 상장 전에 양도하였으나 양도한 주식의 취득시기를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전제입니다.
  • 이때 「소득세법」 제98조 및 장부 등으로 취득시기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면 그에 따르며, 그렇지 아니하다면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1조의3 제2항 규정에 따라 최대주주등으로부터 취득한 주식부터 먼저 양도한 것으로 보아 관련 증여이익을 산정하게 됩니다.
  • 구체적으로, 취득시기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 실질적으로 증여세 등 과세형평을 고려해 특수관계인 취득분을 우선 양도한 것으로 보아 증여세 과세이익을 계산하게 된다고 회신하였습니다.
  • 이는 과거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329(2015.04.24.) 유권해석과도 일관된 입장으로, 주식 이동 경로와 상장시점, 취득 자금 출처에 따라 과세이익 판정 구조가 적용된다는 점을 덧붙였습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1조의3: 최대주주 등 특수관계인이 주식을 상장 5년 내 취득·양도할 때 상장 차익에 대한 이익의 증여 규정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31조의3: 상장에 따른 이익의 계산, 적용 시장, 기준금액 등 산정 방법 명시
  • 소득세법 제98조: 자산의 취득시기는 대금을 청산한 날로 하나 불분명시 별도 규정 적용
  • 소득세법 시행령 제162조 제5항: 취득시기가 불분명할 때 먼저 취득한 자산부터 양도한 것으로 봄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 유권해석(2015.04.24.): 취득시기가 확인 불가시 최대주주등 취득분부터 양도 간주 가능
사례 Q&A
1. 상장 전 복수 경로 취득 주식의 양도 시 취득시기가 불분명하다면 어떻게 처리되나요?
답변
취득시기가 불분명하다면 최대주주등으로부터 취득한 주식부터 먼저 양도한 것으로 보아 증여이익을 산정하게 됩니다.
근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1조의3, 소득세법 시행령 제162조 제5항, 국세청 사전-2024-법규재산-0870 회신 근거.
2. 상증법 제41조의3 적용에서 취득시기 확인이 가능한 때와 불가능할 때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답변
취득시기를 장부 등으로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경우 그에 따르고, 불분명한 경우에는 특수관계인 취득분을 우선 양도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근거
소득세법 제98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1조의3, 국세청 유권해석.
3. 상장 전 5년 이내에 특수관계인 취득 주식 일부를 양도한 경우 차익산정 특례는 어떻게 적용되나요?
답변
특수관계인으로부터 취득한 주식의 양도차익에 증여이익이 발생하는 구조로 보고, 주식 취득자금 출처·흐름을 기준으로 산정하게 됩니다.
근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1조의3·시행령 제31조의3, 국세청 해석례.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요지

최대주주등으로부터 취득한 주식과 제3자에게 취득한 주식을 보유한 경우로서 상장 전에 그 중 일부를 양도하고 양도한 주식의 취득시기가 불분명한 경우, 최대주주등으로부터 취득한 주식을 먼저 양도한 것으로 보아 상증법§41의3 적용

답변내용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1조의3(이하 ⁠“쟁점규정”)을 적용함에 있어서 최대주주등의 특수관계인이 최대주주등으로부터 해당 법인의 주식등을 유상으로 취득하여 그 주식등을 거래소에 상장되기 전에 양도한 경우 그 양도한 주식등의 취득시기는 ⁠「소득세법」 제98조에 따른 장부 등에 따라 확인되는 경우 그에 따르는 것이나, 그 양도한 주식의 취득시기가 불분명한 경우 쟁점규정 제2항에 따라 취득한 주식을 먼저 양도한 것으로 보아 쟁점규정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1. 사실관계

 ○본인은 2024년 5월에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A회사의 대주주의 아들

 ○상장 전 5년 이내 주식 이동 흐름

날짜

기초

매입

매도

잔고

거래대상

매입자금

2019-05-07이전

554,500

2020/09/24

554,500

300,000

854,500

제3자

일부

특관자

2020/12/17

854,500

175,500

1,030,000

특관자

2023/01/06

1,030,000

373,099

656,901

제3자

2023/01/10

656,901

10,000

666,901

제3자

2024/04/24

666,901

6,036

660,865

회사증여

총 계

485,500

379,135

 ○2020.9.24. 주식 매수자금 180백만원 중 150백만원은 특수관계인로부터 증여받은 자금을 사용하여 주식 취득

  - 300,000주 중 250,000주는 상장차익 과세여부 검토대상

  * 300,000주 × 150백만원 ÷ 180백만원

 ○2020. 12. 17. 취득한 175,500주도 특수관계인으로부터 취득한 주식

  - 이 후 2023.01.06. 373,099주 비특수관계인 제3자에게 양도

  * 양도한 주식의 취득시기를 개별적으로 식별 불가능한 것으로 전제

2. 질의내용

 ○ 상장 전 5년 이내 특수관계인로부터 현금을 증여받아 발행법인의주식을 취득하거나 특수관계인로부터 주식을 취득한 후, 상장 전에 제3자에게 일부 주식을 매도한 경우

  - 상증법§41의3을 적용함에 있어 상장 전 매도한 주식의 취득시기 판정방법

  * 주식의 개별적인 식별은 불가능한 경우로 전제

3. 관련법령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1조의3【주식등의 상장 등에 따른 이익의 증여】

① 기업의 경영 등에 관하여 공개되지 아니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지위에 있다고 인정되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하 이 조 및 제41조의5에서 "최대주주등"이라 한다)의 특수관계인이 제2항에 따라 해당 법인의 주식등을 증여받거나 취득한 경우 그 주식등을 증여받거나 취득한 날부터 5년 이내에 그 주식등이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의2제4항제1호에 따른 증권시장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증권시장(이하 이 조에서 "증권시장"이라 한다)에 상장됨에 따라 그 가액이 증가한 경우로서 그 주식등을 증여받거나 취득한 자가 당초 증여세 과세가액(제2항제2호에 따라 증여받은 재산으로 주식등을 취득한 경우는 제외한다) 또는 취득가액을 초과하여 이익을 얻은 경우에는 그 이익에 상당하는 금액을 그 이익을 얻은 자의 증여재산가액으로 한다. 다만, 그 이익에 상당하는 금액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금액 미만인 경우는 제외한다

  1. 제22조제2항에 따른 최대주주 또는 최대출자자

  2. 내국법인의 발행주식총수 또는 출자총액의 100분의 25 이상을 소유한 자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

 ② 제1항에 따른 주식등을 증여받거나 취득한 경우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로 한다.

  1. 최대주주등으로부터 해당 법인의 주식등을 증여받거나 유상으로 취득한 경우

  2. 증여받은 재산(주식등을 유상으로 취득한 날부터 소급하여 3년 이내에 최대주주등으로부터 증여받은 재산을 말한다. 이하 이 조 및 제41조의5에서 같다)으로 최대주주등이 아닌 자로부터 해당 법인의 주식등을 취득한 경우

 ③ 제1항에 따른 이익은 해당 주식등의 상장일부터 3개월이 되는 날(그 주식등을 보유한 자가 상장일부터 3개월 이내에 사망하거나 그 주식등을 증여 또는 양도한 경우에는 그 사망일, 증여일 또는 양도일을 말한다. 이하 이 조와 제68조에서 "정산기준일"이라 한다)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④ 제1항에 따른 이익을 얻은 자에 대해서는 그 이익을 당초의 증여세 과세가액(증여받은 재산으로 주식등을 취득한 경우에는 그 증여받은 재산에 대한 증여세 과세가액을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에 가산하여 증여세 과세표준과 세액을 정산한다. 다만, 정산기준일 현재의 주식등의 가액이 당초의 증여세 과세가액보다 적은 경우로서 그 차액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 이상인 경우에는 그 차액에 상당하는 증여세액(증여받은 때에 납부한 당초의 증여세액을 말한다)을 환급받을 수 있다

 ⑤ 제1항에 따른 상장일은 증권시장에서 최초로 주식등의 매매거래를 시작한 날로 한다.

 ⑥ 제2항제2호를 적용할 때 증여받은 재산과 다른 재산이 섞여 있어 증여받은 재산으로 주식등을 취득한 것이 불분명한 경우에는 그 증여받은 재산으로 주식등을 취득한 것으로 추정한다. 이 경우 증여받은 재산을 담보로 한 차입금으로 주식등을 취득한 경우에는 증여받은 재산으로 취득한 것으로 본다

 ⑦ 제2항을 적용할 때 주식등을 증여받거나 취득한 후 그 법인이 자본금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신주를 발행함에 따라 신주를 인수하거나 배정받은 경우를 포함한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31조의3【주식등의 상장 등에 따른 이익의 계산방법 등】

 ① 법 제41조의3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 따른 이익은 제1호의 가액에서 제2호 및 제3호의 가액을 차감한 가액에 증여받거나 유상으로 취득한 주식등의 수를 곱한 금액으로 한다.

  1. 법 제41조의3제3항에 따른 정산기준일(이하 이 조에서 "정산기준일"이라 한다) 현재 1주당 평가가액(법 제63조에 따라 평가한 가액을 말한다)

  2. 주식등을 증여받은 날 현재의 1주당 증여세 과세가액(취득의 경우에는 취득일 현재의 1주당 취득가액)

  3. 1주당 기업가치의 실질적인 증가로 인한 이익

 ② 법 제41조의3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증권시장"이란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을 말한다.

 ③ 법 제41조의3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단서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금액"이란 다음 각 호의 금액 중 적은 금액을 말한다.

  1. 제1항제2호 및 제3호의 가액의 합계액에 증여받거나 유상으로 취득한 주식등의 수를 곱한 금액의 100분의 30에 상당하는 가액

  2. 3억원

소득세법 제98조 【양도 또는 취득의 시기】

  자산의 양도차익을 계산할 때 그 취득시기 및 양도시기는 대금을 청산한 날이 분명하지 아니한 경우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해당 자산의 대금을 청산한 날로 한다. 이 경우 자산의 대금에는 해당 자산의 양도에 대한 양도소득세 및 양도소득세의 부가세액을 양수자가 부담하기로 약정한 경우에는 해당 양도소득세 및 양도소득세의 부가세액은 제외한다.

소득세법 시행령 제162조 【양도 또는 취득의 시기】

 ① 법 제98조 전단에서 "대금을 청산한 날이 분명하지 아니한 경우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란 다음 각 호의 경우를 말한다.

 ⑤ 법 제98조 및 이 조 제1항을 적용할 때 양도한 자산의 취득시기가 분명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먼저 취득한 자산을 먼저 양도한 것으로 본다.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329, 2015.04.24.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1조의3의 규정을 적용함에 있어서 최대주주등의 특수관계인이 최대주주등으로부터 해당 법인의 주식등을 유상으로 취득하여 그 주식등을 거래소에 상장되기 전에 양도한 경우 그 양도한 주식등의 취득시기는 「소득세법」 제98조에 따른 장부 등에 따라 확인되는 경우 그에 따르는 것이고, 그 밖에 취득시기가 불분명한 경우로서 상장일 현재 상장된 주식등의 수가 유상으로 취득하기 전보다 증가하지 아니한 때에는 같은 법 같은 조에 따른 이익의 증여 규정이 적용되지 아니하는 것입니다.

출처 : 국세청 2024. 12. 23. 사전-2024-법규재산-0870 | 국세법령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