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양형 조건으로 별도 범죄사실을 고려한 판결의 상고이유 해당 여부

2024도20879
판결 요약
사실심법원이 증거 없는 별도 범죄사실을 양형에 핵심적으로 고려했다면 죄형균형·책임주의를 침해하여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본 사건은 원심이 양형 조건을 정당하게 인정할 증거로 판단하였으므로 상고이유가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특정 중범죄가 아니면 양형 자체의 부당함만으로는 상고가 제한된다는 점도 주의해야 합니다.
#양형조건 #별도 범죄사실 #증거 없는 양형 #상고이유 #죄형균형 원칙
질의 응답
1. 별도의 범죄사실을 증거 없이 양형에 고려하면 상고이유가 됩니까?
답변
증거 없는 별도 범죄사실을 핵심적 양형조건으로 삼아 형을 가중했다면, 이는 죄형균형·책임주의 원칙 본질의 침해로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4도20879 판결은 형법 제51조 양형조건과 무관한 범죄사실이 증명되지 않았음에도 실질적으로 처벌에 반영하면 상고이유가 된다고 판시했습니다.
2. 범행 동기·범인의 성행 등도 별도 범죄사실에 해당하나요?
답변
범행 동기·범인의 성행 등은 형법상 양형조건에 해당하며, 증거가 있다면 적법하게 판결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4도20879 판결은 원심이 증거로 인정한 사정들은 양형조건에 포함될 수 있고 증명되었다고 보아 적법하다고 언급했습니다.
3. 양형부당만으로 상고가 가능한가요?
답변
사형, 무기, 10년 이상 징역·금고가 아니면 단순한 양형부당만으로는 상고 불가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4도20879 판결은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4호에 의거, 그보다 가벼운 형에 대해서는 양형이 무겁다는 사유로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 없다고 판시하였습니다.
4. 양형판단에서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는 무엇인가요?
답변
자유심증의 한계 내에서 인정된 증거에 따라 양형 사유가 인정돼야 하며 이를 벗어났을 땐 위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4도20879 판결은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난 잘못이 있다는 주장은 양형부당 상고이유이지만 본 사안에 해당하지 않음을 명확히 했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강제추행·방실침입

 ⁠[대법원 2025. 3. 13. 선고 2024도20879 판결]

【판시사항】

사실심법원이 형법 제51조에서 정한 양형조건으로 포섭되지 않는 별도의 범죄사실에 해당하는 사정을 증거 없이 핵심적인 형벌가중적 양형조건으로 삼아 형의 양정을 한 경우, 그 부당성을 다투는 피고인의 주장이 적법한 상고이유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참조조문】

형법 제51조, 형사소송법 제307조, 제308조, 제383조 제1호, 제4호

【참조판례】

대법원 2008. 5. 29. 선고 2008도1816 판결, 대법원 2023. 8. 31. 선고 2023도7660, 2023전도82 판결


【전문】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윤종락 외 1인

【원심판결】

대전지법 2024. 12. 6. 선고 2023노130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사실심법원이 피고인에게 공소가 제기된 범행을 기준으로 그 범행의 동기나 결과, 범행 후의 정황 등의 형법 제51조가 정한 양형조건으로 포섭되지 않는 별도의 범죄사실에 해당하는 사정에 관하여 그것이 합리적인 의심을 배제할 정도의 증명력을 갖춘 증거에 의하여 증명되지 않았음에도 핵심적인 형벌가중적 양형조건으로 삼아 형의 양정을 함으로써 피고인에 대하여 사실상 공소가 제기되지 않은 범행을 추가로 처벌한 것과 같은 실질에 이른 경우에는 단순한 양형판단의 부당성을 넘어 죄형균형의 원칙 또는 책임주의 원칙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한 것이 되므로, 그 부당성을 다투는 피고인의 주장은 사실심법원의 양형심리 및 양형판단 방법의 위법성을 지적하는 취지로 보아 적법한 상고이유로 평가될 수 있음(대법원 2008. 5. 29. 선고 2008도1816 판결 및 대법원 2023. 8. 31. 선고 2023도7660 판결 등 참조)은 변호인이 상고이유로 지적하는 바와 같다.
그러나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양형의 이유로 열거한 사정들은 형법 제51조에 양형의 조건으로 열거된 사유 중 범인의 성행, 범행의 동기 등에 해당될 수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합리적인 의심을 배제할 정도의 증명력을 갖춘 증거에 의하여 증명되었다고 할 것이므로, 위와 같은 사유를 참작한 원심판단이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기소되지 아니한 별개의 범죄사실을 추가로 처벌하는 것 등과 같은 실질에 이르러 양형판단의 부당성을 넘어 죄형균형의 원칙 또는 책임주의 원칙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하기에 이르렀다고 볼 수 없다.
한편 원심의 양형판단에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난 잘못이 있다는 취지의 주장은 양형부당 상고이유에 해당한다.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4호에 따르면 사형, 무기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이나 금고가 선고된 사건에서만 양형부당을 사유로 한 상고가 허용되므로, 피고인에 대하여 그보다 가벼운 형이 선고된 이 사건에서 형이 너무 무거워 부당하다는 취지의 주장은 적법한 상고이유로 삼을 수 없다.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신숙희(재판장) 노태악(주심) 서경환 노경필

출처 : 대법원 2025. 03. 13. 선고 2024도20879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

판례 검색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양형 조건으로 별도 범죄사실을 고려한 판결의 상고이유 해당 여부

2024도20879
판결 요약
사실심법원이 증거 없는 별도 범죄사실을 양형에 핵심적으로 고려했다면 죄형균형·책임주의를 침해하여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본 사건은 원심이 양형 조건을 정당하게 인정할 증거로 판단하였으므로 상고이유가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특정 중범죄가 아니면 양형 자체의 부당함만으로는 상고가 제한된다는 점도 주의해야 합니다.
#양형조건 #별도 범죄사실 #증거 없는 양형 #상고이유 #죄형균형 원칙
질의 응답
1. 별도의 범죄사실을 증거 없이 양형에 고려하면 상고이유가 됩니까?
답변
증거 없는 별도 범죄사실을 핵심적 양형조건으로 삼아 형을 가중했다면, 이는 죄형균형·책임주의 원칙 본질의 침해로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4도20879 판결은 형법 제51조 양형조건과 무관한 범죄사실이 증명되지 않았음에도 실질적으로 처벌에 반영하면 상고이유가 된다고 판시했습니다.
2. 범행 동기·범인의 성행 등도 별도 범죄사실에 해당하나요?
답변
범행 동기·범인의 성행 등은 형법상 양형조건에 해당하며, 증거가 있다면 적법하게 판결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4도20879 판결은 원심이 증거로 인정한 사정들은 양형조건에 포함될 수 있고 증명되었다고 보아 적법하다고 언급했습니다.
3. 양형부당만으로 상고가 가능한가요?
답변
사형, 무기, 10년 이상 징역·금고가 아니면 단순한 양형부당만으로는 상고 불가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4도20879 판결은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4호에 의거, 그보다 가벼운 형에 대해서는 양형이 무겁다는 사유로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 없다고 판시하였습니다.
4. 양형판단에서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는 무엇인가요?
답변
자유심증의 한계 내에서 인정된 증거에 따라 양형 사유가 인정돼야 하며 이를 벗어났을 땐 위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4도20879 판결은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난 잘못이 있다는 주장은 양형부당 상고이유이지만 본 사안에 해당하지 않음을 명확히 했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강제추행·방실침입

 ⁠[대법원 2025. 3. 13. 선고 2024도20879 판결]

【판시사항】

사실심법원이 형법 제51조에서 정한 양형조건으로 포섭되지 않는 별도의 범죄사실에 해당하는 사정을 증거 없이 핵심적인 형벌가중적 양형조건으로 삼아 형의 양정을 한 경우, 그 부당성을 다투는 피고인의 주장이 적법한 상고이유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참조조문】

형법 제51조, 형사소송법 제307조, 제308조, 제383조 제1호, 제4호

【참조판례】

대법원 2008. 5. 29. 선고 2008도1816 판결, 대법원 2023. 8. 31. 선고 2023도7660, 2023전도82 판결


【전문】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윤종락 외 1인

【원심판결】

대전지법 2024. 12. 6. 선고 2023노130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사실심법원이 피고인에게 공소가 제기된 범행을 기준으로 그 범행의 동기나 결과, 범행 후의 정황 등의 형법 제51조가 정한 양형조건으로 포섭되지 않는 별도의 범죄사실에 해당하는 사정에 관하여 그것이 합리적인 의심을 배제할 정도의 증명력을 갖춘 증거에 의하여 증명되지 않았음에도 핵심적인 형벌가중적 양형조건으로 삼아 형의 양정을 함으로써 피고인에 대하여 사실상 공소가 제기되지 않은 범행을 추가로 처벌한 것과 같은 실질에 이른 경우에는 단순한 양형판단의 부당성을 넘어 죄형균형의 원칙 또는 책임주의 원칙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한 것이 되므로, 그 부당성을 다투는 피고인의 주장은 사실심법원의 양형심리 및 양형판단 방법의 위법성을 지적하는 취지로 보아 적법한 상고이유로 평가될 수 있음(대법원 2008. 5. 29. 선고 2008도1816 판결 및 대법원 2023. 8. 31. 선고 2023도7660 판결 등 참조)은 변호인이 상고이유로 지적하는 바와 같다.
그러나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양형의 이유로 열거한 사정들은 형법 제51조에 양형의 조건으로 열거된 사유 중 범인의 성행, 범행의 동기 등에 해당될 수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합리적인 의심을 배제할 정도의 증명력을 갖춘 증거에 의하여 증명되었다고 할 것이므로, 위와 같은 사유를 참작한 원심판단이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기소되지 아니한 별개의 범죄사실을 추가로 처벌하는 것 등과 같은 실질에 이르러 양형판단의 부당성을 넘어 죄형균형의 원칙 또는 책임주의 원칙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하기에 이르렀다고 볼 수 없다.
한편 원심의 양형판단에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난 잘못이 있다는 취지의 주장은 양형부당 상고이유에 해당한다.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4호에 따르면 사형, 무기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이나 금고가 선고된 사건에서만 양형부당을 사유로 한 상고가 허용되므로, 피고인에 대하여 그보다 가벼운 형이 선고된 이 사건에서 형이 너무 무거워 부당하다는 취지의 주장은 적법한 상고이유로 삼을 수 없다.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신숙희(재판장) 노태악(주심) 서경환 노경필

출처 : 대법원 2025. 03. 13. 선고 2024도20879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