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비대면 카드론·앱 대출 사기죄 성립 요건과 무죄 판단

대법원 2025. 3. 27. 선고 2024도18441 판결
판결 요약
앱을 통한 카드론 대출 과정에서 사람(직원) 개입 없이 자동처리된 경우, 기망행위가 없어 사기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습니다. 지급의사·능력 여부와 별개로, 대출 과정에 사람에 대한 기망이 없는지를 중점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비대면 대출 #앱 대출 #카드론 #사기죄 성립 요건 #기망행위
질의 응답
1. 비대면 앱 대출에서 대출자의 상환의사가 없으면 사기죄에 해당하나요?
답변
직원이 아닌 전산 시스템만을 통한 대출로 사람이 개입하지 않았다면 사기죄 성립이 부정됩니다.
근거
대법원 2025. 3. 27. 선고 2024도18441 판결은 카드론 앱 신청 과정에 카드사 직원 등 사람에 대한 기망이 없으므로 사기죄가 아니라고 판시하였습니다.
2. 카드론 대출을 앱으로 신청하면서 허위 정보를 입력하면 사기죄가 성립하나요?
답변
사람을 속여 착오를 일으켜야 사기죄가 되기 때문에, 직원 개입 없이 전산 자동 처리시 사기죄가 되지 않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4도18441 판결은 직원 등 실존 인물을 기망하지 않은 경우 사기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명확히 했습니다.
3. 정상 상환능력 없이 앱 대출을 받아도 사기죄가 아니란 뜻인가요?
답변
실제 사람을 기망하는 행위가 없다면 상환의사·능력 미존재만으로 사기죄가 되지 않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4도18441 판결에 따르면, 사람에 대한 기망 없이 시스템만 이용했다면 사기죄가 아니다라고 판단하였습니다.
4. 비대면 자동 대출에서도 사기죄가 성립할 수 있는 조건은?
답변
대출 처리 과정에 카드사 직원 등 실제 인물이 기망당해 착오에 빠져야 사기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4도18441 판결은 직원이 대출신청을 확인하거나 개입한 사실이 없는 한 사기죄는 성립할 수 없다고 판결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판시사항】

[1] 사기죄의 성립요건인 ‘기망행위’의 의미 / 사람에 대한 기망행위를 수반하지 않는 경우, 사기죄로 처벌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2] 피고인이 정상적으로 대출금을 반환할 의사나 능력이 없음에도 휴대전화에 설치된 카드회사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카드론 대출을 신청하여 대출금을 자신의 계좌로 송금받는 방법으로 총 2회에 걸쳐 카드회사들을 기망하여 카드회사들로부터 대출금을 편취하였다는 공소사실로 기소된 사안에서, 피고인의 행위는 사람에 대한 기망행위를 수반하지 않아 사기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형법 제347조 사기죄의 성립요건인 기망행위는 사람으로 하여금 착오를 일으키게 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사람에 대한 기망행위를 수반하지 않는 경우 사기죄로 처벌할 수 없다.

[2] 피고인이 정상적으로 대출금을 반환할 의사나 능력이 없음에도 휴대전화에 설치된 카드회사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카드론 대출을 신청하여 대출금을 자신의 계좌로 송금받는 방법으로 총 2회에 걸쳐 카드회사들을 기망하여 카드회사들로부터 합계 34,500,000원을 편취하였다는 공소사실로 기소된 사안에서, 피고인이 카드회사들로부터 카드론 대출을 받기 위하여 휴대전화에 설치된 카드회사들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금용도, 보유자산, 연소득정보, 부채정보, 연소득 대비 고정 지출, 신용점수 등을 입력한 데 따라 대출이 전산상 자동적으로 처리되어 송금받을 계좌로 대출금이 송금되었고, 대출신청을 처리하는 일련의 과정에 카드회사들의 직원이 대출신청을 확인하거나 대출금을 송금하는 등으로 개입하였다고 인정할 만한 사정이 없으므로, 피고인이 대출을 받는 과정에서 카드회사들의 직원 등 사람을 기망하였다고 볼 수 없는 점에 비추어, 피고인의 행위는 사람에 대한 기망행위를 수반하지 않아 사기죄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이와 달리 보아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원심의 판단에 사기죄에서 기망행위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형법 제347조 [2] 형법 제347조 제1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84. 2. 14. 선고 83도2995 판결(공1984, 475)
대법원 2017. 2. 16. 선고 2016도13362 전원합의체 판결(공2017상, 673)
대법원 2017. 9. 26. 선고 2017도8449 판결(공2017하, 2147)
대법원 2020. 2. 27. 선고 2019도14960 판결

【전 문】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임동호

【원심판결】 서울남부지법 2024. 11. 7. 선고 2023노1871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남부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다음 제출된 서면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에서)를 판단한다.

1. 공소사실의 요지

피고인은 2022. 6. 3. 피고인의 휴대전화에 설치된 피해자 ○○카드 주식회사(이하 ‘피해자 회사’라 한다)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대출금액 18,500,000원, 금리 연 18.5%, 대출기간 27개월’의 조건으로 카드 대출신청을 하였다. 그러나 사실 피고인은 같은 날 동시다발적으로 카드 대출을 받는 경우 대출정보가 서로 공유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하여 다수의 카드사로부터 동시에 1억 3,610만 원의 대출을 받을 생각이었고, 거래처에 지급할 대금과 사채 채무가 2억 원 상당에 달하였으며, 지인들에 대한 채무 또한 1억 원 상당에 육박한 상태로 매월 변제하여야 하는 카드 대출 원리금이 피고인의 월수입을 초과하는 등 정상적으로 대출금을 반환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은 위와 같이 피해자 회사를 기망하여 이에 속은 피해자 회사로부터 2022. 6. 3. 차용금 명목으로 18,500,000원을 피고인 명의의 △△△ 계좌(계좌번호 생략)로 송금받은 것을 비롯하여, 제1심 판시 별지 범죄일람표 기재와 같이 총 2회에 걸쳐 피해자 회사들로부터 합계 34,500,000원을 송금받아 편취하였다.

2. 원심의 판단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로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3. 대법원의 판단

가. 관련 법리

형법 제347조 사기죄의 성립요건인 기망행위는 사람으로 하여금 착오를 일으키게 하는 것을 말한다(대법원 1984. 2. 14. 선고 83도2995 판결대법원 2017. 2. 16. 선고 2016도13362 전원합의체 판결대법원 2017. 9. 26. 선고 2017도8449 판결 등 참조). 따라서 사람에 대한 기망행위를 수반하지 않는 경우 사기죄로 처벌할 수 없다(대법원 2020. 2. 27. 선고 2019도14960 판결 참조).

나. 원심판결 이유와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이 피해자 회사들로부터 카드론 대출을 받기 위하여 휴대전화에 설치된 피해자 회사들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금용도, 보유자산, 연소득정보, 부채정보, 연소득 대비 고정 지출, 신용점수 등을 입력한 데 따라 대출이 전산상 자동적으로 처리되어 송금받을 계좌로 대출금이 송금된 사실을 알 수 있고, 그 대출신청을 처리하는 일련의 과정에 피해자 회사들의 직원이 대출신청을 확인하거나 대출금을 송금하는 등으로 개입하였다고 인정할 만한 사정은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피고인이 대출을 받는 과정에서 피해자 회사들의 직원 등 사람을 기망하였다고 볼 수 없다.

다. 이와 같은 사정을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피고인의 이 사건 공소사실 기재 행위는 사람에 대한 기망행위를 수반하지 않으므로 사기죄에 해당하지 않는다 할 것이다. 그럼에도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로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는바, 이러한 원심의 판단에는 사기죄에서 기망행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이를 지적하는 취지의 상고이유 주장은 이유 있다.

4. 결론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영재(재판장) 오경미 권영준(주심)


(출처 : 대법원 2025. 3. 27. 선고 2024도18441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

출처 : 대법원 선고 대법원 2025. 3. 27. 선고 2024도18441 판결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

판례 검색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비대면 카드론·앱 대출 사기죄 성립 요건과 무죄 판단

대법원 2025. 3. 27. 선고 2024도18441 판결
판결 요약
앱을 통한 카드론 대출 과정에서 사람(직원) 개입 없이 자동처리된 경우, 기망행위가 없어 사기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습니다. 지급의사·능력 여부와 별개로, 대출 과정에 사람에 대한 기망이 없는지를 중점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비대면 대출 #앱 대출 #카드론 #사기죄 성립 요건 #기망행위
질의 응답
1. 비대면 앱 대출에서 대출자의 상환의사가 없으면 사기죄에 해당하나요?
답변
직원이 아닌 전산 시스템만을 통한 대출로 사람이 개입하지 않았다면 사기죄 성립이 부정됩니다.
근거
대법원 2025. 3. 27. 선고 2024도18441 판결은 카드론 앱 신청 과정에 카드사 직원 등 사람에 대한 기망이 없으므로 사기죄가 아니라고 판시하였습니다.
2. 카드론 대출을 앱으로 신청하면서 허위 정보를 입력하면 사기죄가 성립하나요?
답변
사람을 속여 착오를 일으켜야 사기죄가 되기 때문에, 직원 개입 없이 전산 자동 처리시 사기죄가 되지 않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4도18441 판결은 직원 등 실존 인물을 기망하지 않은 경우 사기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명확히 했습니다.
3. 정상 상환능력 없이 앱 대출을 받아도 사기죄가 아니란 뜻인가요?
답변
실제 사람을 기망하는 행위가 없다면 상환의사·능력 미존재만으로 사기죄가 되지 않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4도18441 판결에 따르면, 사람에 대한 기망 없이 시스템만 이용했다면 사기죄가 아니다라고 판단하였습니다.
4. 비대면 자동 대출에서도 사기죄가 성립할 수 있는 조건은?
답변
대출 처리 과정에 카드사 직원 등 실제 인물이 기망당해 착오에 빠져야 사기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4도18441 판결은 직원이 대출신청을 확인하거나 개입한 사실이 없는 한 사기죄는 성립할 수 없다고 판결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판시사항】

[1] 사기죄의 성립요건인 ‘기망행위’의 의미 / 사람에 대한 기망행위를 수반하지 않는 경우, 사기죄로 처벌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2] 피고인이 정상적으로 대출금을 반환할 의사나 능력이 없음에도 휴대전화에 설치된 카드회사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카드론 대출을 신청하여 대출금을 자신의 계좌로 송금받는 방법으로 총 2회에 걸쳐 카드회사들을 기망하여 카드회사들로부터 대출금을 편취하였다는 공소사실로 기소된 사안에서, 피고인의 행위는 사람에 대한 기망행위를 수반하지 않아 사기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형법 제347조 사기죄의 성립요건인 기망행위는 사람으로 하여금 착오를 일으키게 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사람에 대한 기망행위를 수반하지 않는 경우 사기죄로 처벌할 수 없다.

[2] 피고인이 정상적으로 대출금을 반환할 의사나 능력이 없음에도 휴대전화에 설치된 카드회사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카드론 대출을 신청하여 대출금을 자신의 계좌로 송금받는 방법으로 총 2회에 걸쳐 카드회사들을 기망하여 카드회사들로부터 합계 34,500,000원을 편취하였다는 공소사실로 기소된 사안에서, 피고인이 카드회사들로부터 카드론 대출을 받기 위하여 휴대전화에 설치된 카드회사들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금용도, 보유자산, 연소득정보, 부채정보, 연소득 대비 고정 지출, 신용점수 등을 입력한 데 따라 대출이 전산상 자동적으로 처리되어 송금받을 계좌로 대출금이 송금되었고, 대출신청을 처리하는 일련의 과정에 카드회사들의 직원이 대출신청을 확인하거나 대출금을 송금하는 등으로 개입하였다고 인정할 만한 사정이 없으므로, 피고인이 대출을 받는 과정에서 카드회사들의 직원 등 사람을 기망하였다고 볼 수 없는 점에 비추어, 피고인의 행위는 사람에 대한 기망행위를 수반하지 않아 사기죄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이와 달리 보아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원심의 판단에 사기죄에서 기망행위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형법 제347조 [2] 형법 제347조 제1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84. 2. 14. 선고 83도2995 판결(공1984, 475)
대법원 2017. 2. 16. 선고 2016도13362 전원합의체 판결(공2017상, 673)
대법원 2017. 9. 26. 선고 2017도8449 판결(공2017하, 2147)
대법원 2020. 2. 27. 선고 2019도14960 판결

【전 문】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임동호

【원심판결】 서울남부지법 2024. 11. 7. 선고 2023노1871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남부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다음 제출된 서면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에서)를 판단한다.

1. 공소사실의 요지

피고인은 2022. 6. 3. 피고인의 휴대전화에 설치된 피해자 ○○카드 주식회사(이하 ‘피해자 회사’라 한다)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대출금액 18,500,000원, 금리 연 18.5%, 대출기간 27개월’의 조건으로 카드 대출신청을 하였다. 그러나 사실 피고인은 같은 날 동시다발적으로 카드 대출을 받는 경우 대출정보가 서로 공유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하여 다수의 카드사로부터 동시에 1억 3,610만 원의 대출을 받을 생각이었고, 거래처에 지급할 대금과 사채 채무가 2억 원 상당에 달하였으며, 지인들에 대한 채무 또한 1억 원 상당에 육박한 상태로 매월 변제하여야 하는 카드 대출 원리금이 피고인의 월수입을 초과하는 등 정상적으로 대출금을 반환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은 위와 같이 피해자 회사를 기망하여 이에 속은 피해자 회사로부터 2022. 6. 3. 차용금 명목으로 18,500,000원을 피고인 명의의 △△△ 계좌(계좌번호 생략)로 송금받은 것을 비롯하여, 제1심 판시 별지 범죄일람표 기재와 같이 총 2회에 걸쳐 피해자 회사들로부터 합계 34,500,000원을 송금받아 편취하였다.

2. 원심의 판단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로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3. 대법원의 판단

가. 관련 법리

형법 제347조 사기죄의 성립요건인 기망행위는 사람으로 하여금 착오를 일으키게 하는 것을 말한다(대법원 1984. 2. 14. 선고 83도2995 판결대법원 2017. 2. 16. 선고 2016도13362 전원합의체 판결대법원 2017. 9. 26. 선고 2017도8449 판결 등 참조). 따라서 사람에 대한 기망행위를 수반하지 않는 경우 사기죄로 처벌할 수 없다(대법원 2020. 2. 27. 선고 2019도14960 판결 참조).

나. 원심판결 이유와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이 피해자 회사들로부터 카드론 대출을 받기 위하여 휴대전화에 설치된 피해자 회사들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금용도, 보유자산, 연소득정보, 부채정보, 연소득 대비 고정 지출, 신용점수 등을 입력한 데 따라 대출이 전산상 자동적으로 처리되어 송금받을 계좌로 대출금이 송금된 사실을 알 수 있고, 그 대출신청을 처리하는 일련의 과정에 피해자 회사들의 직원이 대출신청을 확인하거나 대출금을 송금하는 등으로 개입하였다고 인정할 만한 사정은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피고인이 대출을 받는 과정에서 피해자 회사들의 직원 등 사람을 기망하였다고 볼 수 없다.

다. 이와 같은 사정을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피고인의 이 사건 공소사실 기재 행위는 사람에 대한 기망행위를 수반하지 않으므로 사기죄에 해당하지 않는다 할 것이다. 그럼에도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로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는바, 이러한 원심의 판단에는 사기죄에서 기망행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이를 지적하는 취지의 상고이유 주장은 이유 있다.

4. 결론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영재(재판장) 오경미 권영준(주심)


(출처 : 대법원 2025. 3. 27. 선고 2024도18441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

출처 : 대법원 선고 대법원 2025. 3. 27. 선고 2024도18441 판결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