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부가가치세 무납부고지 처분이 과세처분 해당 여부 및 취소소송 가능성

서울고등법원 2022누64091
판결 요약
신고납부조세인 부가가치세에서 과세관청이 신고와 동일한 세액을 고지해 징수하는 행위과세처분이 아니므로 취소소송의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이는 확정된 조세의 징수를 위한 징수처분에 해당합니다. 명의대여자의 책임 여부와 무관하게 납부고지 무효확인은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부가가치세 #무납부고지 #징수처분 #과세처분 #취소소송
질의 응답
1. 부가가치세 무납부고지 처분이 과세처분에 해당하나요?
답변
과세관청이 납세의무자의 신고와 동일한 세액을 고지해 징수하는 행위과세처분이 아니라 확정된 조세의 징수를 위한 징수처분에 해당하여 취소소송 대상이 아닙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2-누-64091 판결은 부가가치세 신고만 있고 세액을 납부하지 않은 경우 과세관청의 세액 고지는 징수처분일 뿐 과세처분이 될 수 없다고 판시했습니다.
2. 부가가치세 무납부고지에 대해 조세채무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할 수 있나요?
답변
무납부고지는 과세처분이 아니므로 무효확인 소송의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2-누-64091 판결은 세액 고지는 취소소송의 대상인 과세처분 성격이 없다고 하여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였습니다.
3. 명의대여자인 경우 부가가치세 납부고지가 무효임을 주장할 수 있나요?
답변
명의대여자라고 하더라도 납부고지 당시 및 현재 무효사유가 명백하지 않다면 무효확인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2-누-64091 판결은 실사업자 여부 및 명의대여 사실이 명백하지 않으므로 당연무효 사유가 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요지

납세의무자가 신고납부조세인 부가가치세에 대한 과세표준과 세액의 신고만 하고 세액을 납부하지 아니하여 과세관청이 신고내용과 동일한 세액을 납부하도록 고지한 것은 확정된 조세의 징수를 위한 징수처분일 뿐 취소소송의 대상이 되는 과세처분으로 볼 수 없음.

판결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상세내용

사 건

2022누64091 조세채무무효확인청구

원 고

김MM

피 고

○○세무서장

변 론 종 결

2022. 10. 20.

판 결 선 고

2023. 1. 12.

주 문

1. 원고의 항소를 기각한다.

2. 항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청구취지 및 항소취지

제1심 판결을 취소한다. 피고가 2020. xx. xx. 원고에 대하여 한 2019년 제2기 부가가치세 확정신고분 무납부고지 xx,xxx,xxx원(가산세 xxx,xxx원 포함)의 부과처분이 무효임을 확인한다.

이 유

  이 사건에 관하여 우리 법원이 설시할 이유는 제1심 판결의 이유 부분 기재와 같으므로,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 민사소송법 제420조 본문에 따라 이를 인용한다. ⁠(백번양보하여 원고 주장처럼 AAA이 실사업자이고, 원고는 단순한 명의대여자로서 사업과정에 전혀 실질적으로 관여하지 아니하였어도, 이러한 사정은 이 사건 납부고지 당시는 물론 현재로서도 전혀 명백한 것이 아니어서 그 중 가산세 부분의 취소사유는 될 수 있을지 몰라도, 당연 무효의 사유가 될 수는 없다.)

그렇다면 원고의 청구는 이유 없어 기각할 것인바, 제1심 판결은 이와 결론이 같아 정당하다. 원고의 항소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기각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3. 결론

그렇다면 원고의 청구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기각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출처 : 서울고등법원 2023. 02. 14. 선고 서울고등법원 2022누64091 판결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판례 검색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부가가치세 무납부고지 처분이 과세처분 해당 여부 및 취소소송 가능성

서울고등법원 2022누64091
판결 요약
신고납부조세인 부가가치세에서 과세관청이 신고와 동일한 세액을 고지해 징수하는 행위과세처분이 아니므로 취소소송의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이는 확정된 조세의 징수를 위한 징수처분에 해당합니다. 명의대여자의 책임 여부와 무관하게 납부고지 무효확인은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부가가치세 #무납부고지 #징수처분 #과세처분 #취소소송
질의 응답
1. 부가가치세 무납부고지 처분이 과세처분에 해당하나요?
답변
과세관청이 납세의무자의 신고와 동일한 세액을 고지해 징수하는 행위과세처분이 아니라 확정된 조세의 징수를 위한 징수처분에 해당하여 취소소송 대상이 아닙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2-누-64091 판결은 부가가치세 신고만 있고 세액을 납부하지 않은 경우 과세관청의 세액 고지는 징수처분일 뿐 과세처분이 될 수 없다고 판시했습니다.
2. 부가가치세 무납부고지에 대해 조세채무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할 수 있나요?
답변
무납부고지는 과세처분이 아니므로 무효확인 소송의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2-누-64091 판결은 세액 고지는 취소소송의 대상인 과세처분 성격이 없다고 하여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였습니다.
3. 명의대여자인 경우 부가가치세 납부고지가 무효임을 주장할 수 있나요?
답변
명의대여자라고 하더라도 납부고지 당시 및 현재 무효사유가 명백하지 않다면 무효확인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근거
서울고등법원-2022-누-64091 판결은 실사업자 여부 및 명의대여 사실이 명백하지 않으므로 당연무효 사유가 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요지

납세의무자가 신고납부조세인 부가가치세에 대한 과세표준과 세액의 신고만 하고 세액을 납부하지 아니하여 과세관청이 신고내용과 동일한 세액을 납부하도록 고지한 것은 확정된 조세의 징수를 위한 징수처분일 뿐 취소소송의 대상이 되는 과세처분으로 볼 수 없음.

판결내용

판결 내용은 붙임과 같습니다.

상세내용

사 건

2022누64091 조세채무무효확인청구

원 고

김MM

피 고

○○세무서장

변 론 종 결

2022. 10. 20.

판 결 선 고

2023. 1. 12.

주 문

1. 원고의 항소를 기각한다.

2. 항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청구취지 및 항소취지

제1심 판결을 취소한다. 피고가 2020. xx. xx. 원고에 대하여 한 2019년 제2기 부가가치세 확정신고분 무납부고지 xx,xxx,xxx원(가산세 xxx,xxx원 포함)의 부과처분이 무효임을 확인한다.

이 유

  이 사건에 관하여 우리 법원이 설시할 이유는 제1심 판결의 이유 부분 기재와 같으므로,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 민사소송법 제420조 본문에 따라 이를 인용한다. ⁠(백번양보하여 원고 주장처럼 AAA이 실사업자이고, 원고는 단순한 명의대여자로서 사업과정에 전혀 실질적으로 관여하지 아니하였어도, 이러한 사정은 이 사건 납부고지 당시는 물론 현재로서도 전혀 명백한 것이 아니어서 그 중 가산세 부분의 취소사유는 될 수 있을지 몰라도, 당연 무효의 사유가 될 수는 없다.)

그렇다면 원고의 청구는 이유 없어 기각할 것인바, 제1심 판결은 이와 결론이 같아 정당하다. 원고의 항소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기각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3. 결론

그렇다면 원고의 청구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기각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출처 : 서울고등법원 2023. 02. 14. 선고 서울고등법원 2022누64091 판결 | 국세법령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