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기망으로 신용카드 취득 후 사용시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인가

2022도10629
판결 요약
피해자를 기망해 신용카드를 건네받고 본래 용법에 따라 사용하는 경우라면, 피해자가 사용권한을 준 듯 보여도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죄에 해당한다는 점을 대법원이 명확히 밝혔다. 소유자의 자유로운 의사 없는 점유 이전이 핵심 근거임.
#여신전문금융업법 #신용카드 부정사용 #기망 취득 #처분권 #자유로운 의사
질의 응답
1. 기망으로 타인의 신용카드를 건네받아 사용하면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인가요?
답변
네, 기망하여 취득한 신용카드를 본래의 용법에 따라 사용하였다면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에 해당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2도10629 판결은 소유자 또는 점유자를 기망하여 자유로운 의사에 의하지 않고 신용카드의 점유를 배제, 사실상 처분권을 취득한 경우 해당한다고 판시했습니다.
2. 실제 피해자가 신용카드 사용권한을 준 경우라도 위법인가요?
답변
피해자가 사용권한을 준 듯 보이더라도 기망으로 점유 이전이 이뤄진 경우, 카드를 사용하면 위반죄가 성립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2도10629 판결은 피해자의 표면적 사용 허락이 있어도 기망 등으로 자유로운 의사 없이 점유가 이전되었다면 처벌대상이 된다고 봤습니다.
3. 여신전문금융업법상 ‘기망하여 취득한 신용카드’는 구체적으로 무슨 의미인가요?
답변
기망이나 공갈로 소유자·점유자의 자유로운 의사가 배제된 상황에서 사실상 처분권을 취득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2도10629 판결은 법 조문 문언 자체에 따라 자유로운 의사를 배제해 사실상 처분권을 얻은 경우로 한정했습니다.
4. 법원이 여신전문금융업법 조문 해석에서 무엇을 중시했나요?
답변
문언이 비교적 명확한 경우에는 체계적·목적적 해석보다 문언 해석 우선이 원칙입니다.
근거
대법원 2022도10629 판결에서 명확한 법문 개념에 대해서는 체계적 해석 불요 또는 제한을 천명했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여신전문금융업법위반

 ⁠[대법원 2022. 12. 16. 선고 2022도10629 판결]

【판시사항】

 ⁠[1] 법률의 해석 방법
 ⁠[2] 여신전문금융업법 제70조 제1항 제4호에서 정한 ⁠‘사용’ 및 ⁠‘기망하거나 공갈하여 취득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의 의미

【판결요지】

 ⁠[1] 법률을 해석할 때 입법취지와 목적, 제·개정 연혁, 법질서 전체와의 조화, 다른 법령과의 관계 등을 고려하는 체계적·논리적 해석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문언 자체가 비교적 명확한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원칙적으로 이러한 해석 방법은 활용할 필요가 없거나 제한되어야 한다.
 ⁠[2] 여신전문금융업법 제70조 제1항 제4호에서는 ⁠‘강취·횡령하거나, 사람을 기망하거나 공갈하여 취득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를 판매하거나 사용한 자’를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사용’은 강취·횡령, 기망 또는 공갈로 취득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를 진정한 카드로서 본래의 용법에 따라 사용하는 경우를 말한다. 그리고 ⁠‘기망하거나 공갈하여 취득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는 문언상 ⁠‘기망이나 공갈을 수단으로 하여 다른 사람으로부터 취득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라는 의미이므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의 소유자 또는 점유자를 기망하거나 공갈하여 그들의 자유로운 의사에 의하지 않고 점유가 배제되어 그들로부터 사실상 처분권을 취득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참조조문】

 ⁠[1] 여신전문금융업법 제70조 제1항 제4호
[2] 여신전문금융업법 제70조 제1항 제4호

【참조판례】

 ⁠[1] 대법원 2017. 12. 21. 선고 2015도8335 전원합의체 판결(공2018상, 252) / ⁠[2] 대법원 2003. 11. 14. 선고 2003도3977 판결(공2003하, 2418), 대법원 2005. 7. 29. 선고 2005도4233 판결


【전문】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22. 8. 17. 선고 2022노842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중앙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이 사건 공소사실 중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 부분의 요지
피고인은 2019. 2. 19. 춘천교도소에 수용 중인 피해자 공소외인에게 ⁠‘피해자의 항소심 재판을 위해 변호인을 선임했는데 성공사례비를 먼저 주어야 한다. 며칠 뒤 큰돈이 나오니 영치된 피해자 명의의 신용카드로 성공사례비를 지불한 뒤 카드대금을 금방 갚겠다.’는 취지의 편지를 보냈다. 그러나 피고인은 사실 피해자의 신용카드로 성공사례비를 지불하더라도 그 대금을 변제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고, 피해자의 신용카드를 생활비 등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할 생각이었다.
그런데도 피고인은 위와 같이 피해자를 기망하여 2019. 2. 22. 춘천교도소에서 피해자로부터 신용카드 1장(이하 ⁠‘이 사건 신용카드’라 한다)을 교부받은 뒤, 2019. 2. 26.부터 같은 해 3. 25.까지 이 사건 신용카드로 총 23회에 걸쳐 합계 29,997,718원 상당을 결제하였다.
이로써 피고인은 피해자를 기망하여 취득한 신용카드를 사용하였다.
 
2.  원심의 판단
원심은, 기망하여 취득한 신용카드 사용으로 인한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죄는 신용카드 자체를 기망하여 취득한 후 소유자 또는 점유자의 의사에 의하지 않고 신용카드를 사용한 경우에 인정된다고 전제한 뒤, 판시와 같은 사정에 의하여 인정되는 피고인의 신용카드 사용 동기 및 경위에 비추어 보면 피해자가 피고인에게 신용카드 사용권한을 준 것으로 보이므로 비록 신용카드 사용대금에 대한 피고인의 편취행위가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신용카드 부정사용이라고 할 수 없다고 보아, 이 부분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하였다.
 
3.  대법원의 판단 
가.  법률을 해석할 때 입법취지와 목적, 제·개정 연혁, 법질서 전체와의 조화, 다른 법령과의 관계 등을 고려하는 체계적·논리적 해석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문언 자체가 비교적 명확한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원칙적으로 이러한 해석 방법은 활용할 필요가 없거나 제한되어야 한다.
여신전문금융업법 제70조 제1항 제4호에서는 ⁠‘강취·횡령하거나, 사람을 기망하거나 공갈하여 취득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를 판매하거나 사용한 자’를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사용’은 강취·횡령, 기망 또는 공갈로 취득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를 진정한 카드로서 본래의 용법에 따라 사용하는 경우를 말한다(대법원 2003. 11. 14. 선고 2003도3977 판결, 대법원 2005. 7. 29. 선고 2005도4233 판결 등 참조). 그리고 ⁠‘기망하거나 공갈하여 취득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는 문언상 ⁠‘기망이나 공갈을 수단으로 하여 다른 사람으로부터 취득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라는 의미이므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의 소유자 또는 점유자를 기망하거나 공갈하여 그들의 자유로운 의사에 의하지 않고 점유가 배제되어 그들로부터 사실상 처분권을 취득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나.  원심판결 이유와 적법하게 채택된 증거에 의하면, 피고인은 교도소에 수용 중인 피해자를 기망하여 2019. 2. 22. 이 사건 신용카드를 교부받은 뒤, 2019. 2. 26.부터 같은 해 3. 25.까지 약 1개월간 총 23회에 걸쳐 피고인의 의사에 따라 이 사건 신용카드를 사용하였으므로, 피해자는 피고인으로부터 기망당함으로써 피해자의 자유로운 의사에 의하지 않고 이 사건 신용카드에 대한 점유를 상실하였고, 피고인은 이 사건 신용카드에 대한 사실상 처분권을 취득하였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이 사건 신용카드는 피고인이 이 사건 신용카드의 소유자인 피해자를 기망하여 취득한 신용카드에 해당하고, 이를 사용한 피고인의 행위는 기망하여 취득한 신용카드 사용으로 인한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죄에 해당한다.
 
다.  그런데도 원심은 피해자가 피고인에게 이 사건 신용카드 사용권한을 주었다는 이유로 이 부분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원심판결에는 여신전문금융업법 제70조 제1항 제4호에서 정한 ⁠‘기망하여 취득한 신용카드’의 해석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이를 지적하는 상고이유 주장은 이유 있다.
 
4.  결론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노태악(재판장) 박정화(주심) 김선수 오경미

출처 : 대법원 2022. 12. 16. 선고 2022도10629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

판례 검색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기망으로 신용카드 취득 후 사용시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인가

2022도10629
판결 요약
피해자를 기망해 신용카드를 건네받고 본래 용법에 따라 사용하는 경우라면, 피해자가 사용권한을 준 듯 보여도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죄에 해당한다는 점을 대법원이 명확히 밝혔다. 소유자의 자유로운 의사 없는 점유 이전이 핵심 근거임.
#여신전문금융업법 #신용카드 부정사용 #기망 취득 #처분권 #자유로운 의사
질의 응답
1. 기망으로 타인의 신용카드를 건네받아 사용하면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인가요?
답변
네, 기망하여 취득한 신용카드를 본래의 용법에 따라 사용하였다면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에 해당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2도10629 판결은 소유자 또는 점유자를 기망하여 자유로운 의사에 의하지 않고 신용카드의 점유를 배제, 사실상 처분권을 취득한 경우 해당한다고 판시했습니다.
2. 실제 피해자가 신용카드 사용권한을 준 경우라도 위법인가요?
답변
피해자가 사용권한을 준 듯 보이더라도 기망으로 점유 이전이 이뤄진 경우, 카드를 사용하면 위반죄가 성립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2도10629 판결은 피해자의 표면적 사용 허락이 있어도 기망 등으로 자유로운 의사 없이 점유가 이전되었다면 처벌대상이 된다고 봤습니다.
3. 여신전문금융업법상 ‘기망하여 취득한 신용카드’는 구체적으로 무슨 의미인가요?
답변
기망이나 공갈로 소유자·점유자의 자유로운 의사가 배제된 상황에서 사실상 처분권을 취득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근거
대법원 2022도10629 판결은 법 조문 문언 자체에 따라 자유로운 의사를 배제해 사실상 처분권을 얻은 경우로 한정했습니다.
4. 법원이 여신전문금융업법 조문 해석에서 무엇을 중시했나요?
답변
문언이 비교적 명확한 경우에는 체계적·목적적 해석보다 문언 해석 우선이 원칙입니다.
근거
대법원 2022도10629 판결에서 명확한 법문 개념에 대해서는 체계적 해석 불요 또는 제한을 천명했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여신전문금융업법위반

 ⁠[대법원 2022. 12. 16. 선고 2022도10629 판결]

【판시사항】

 ⁠[1] 법률의 해석 방법
 ⁠[2] 여신전문금융업법 제70조 제1항 제4호에서 정한 ⁠‘사용’ 및 ⁠‘기망하거나 공갈하여 취득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의 의미

【판결요지】

 ⁠[1] 법률을 해석할 때 입법취지와 목적, 제·개정 연혁, 법질서 전체와의 조화, 다른 법령과의 관계 등을 고려하는 체계적·논리적 해석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문언 자체가 비교적 명확한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원칙적으로 이러한 해석 방법은 활용할 필요가 없거나 제한되어야 한다.
 ⁠[2] 여신전문금융업법 제70조 제1항 제4호에서는 ⁠‘강취·횡령하거나, 사람을 기망하거나 공갈하여 취득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를 판매하거나 사용한 자’를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사용’은 강취·횡령, 기망 또는 공갈로 취득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를 진정한 카드로서 본래의 용법에 따라 사용하는 경우를 말한다. 그리고 ⁠‘기망하거나 공갈하여 취득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는 문언상 ⁠‘기망이나 공갈을 수단으로 하여 다른 사람으로부터 취득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라는 의미이므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의 소유자 또는 점유자를 기망하거나 공갈하여 그들의 자유로운 의사에 의하지 않고 점유가 배제되어 그들로부터 사실상 처분권을 취득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참조조문】

 ⁠[1] 여신전문금융업법 제70조 제1항 제4호
[2] 여신전문금융업법 제70조 제1항 제4호

【참조판례】

 ⁠[1] 대법원 2017. 12. 21. 선고 2015도8335 전원합의체 판결(공2018상, 252) / ⁠[2] 대법원 2003. 11. 14. 선고 2003도3977 판결(공2003하, 2418), 대법원 2005. 7. 29. 선고 2005도4233 판결


【전문】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22. 8. 17. 선고 2022노842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중앙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이 사건 공소사실 중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 부분의 요지
피고인은 2019. 2. 19. 춘천교도소에 수용 중인 피해자 공소외인에게 ⁠‘피해자의 항소심 재판을 위해 변호인을 선임했는데 성공사례비를 먼저 주어야 한다. 며칠 뒤 큰돈이 나오니 영치된 피해자 명의의 신용카드로 성공사례비를 지불한 뒤 카드대금을 금방 갚겠다.’는 취지의 편지를 보냈다. 그러나 피고인은 사실 피해자의 신용카드로 성공사례비를 지불하더라도 그 대금을 변제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고, 피해자의 신용카드를 생활비 등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할 생각이었다.
그런데도 피고인은 위와 같이 피해자를 기망하여 2019. 2. 22. 춘천교도소에서 피해자로부터 신용카드 1장(이하 ⁠‘이 사건 신용카드’라 한다)을 교부받은 뒤, 2019. 2. 26.부터 같은 해 3. 25.까지 이 사건 신용카드로 총 23회에 걸쳐 합계 29,997,718원 상당을 결제하였다.
이로써 피고인은 피해자를 기망하여 취득한 신용카드를 사용하였다.
 
2.  원심의 판단
원심은, 기망하여 취득한 신용카드 사용으로 인한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죄는 신용카드 자체를 기망하여 취득한 후 소유자 또는 점유자의 의사에 의하지 않고 신용카드를 사용한 경우에 인정된다고 전제한 뒤, 판시와 같은 사정에 의하여 인정되는 피고인의 신용카드 사용 동기 및 경위에 비추어 보면 피해자가 피고인에게 신용카드 사용권한을 준 것으로 보이므로 비록 신용카드 사용대금에 대한 피고인의 편취행위가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신용카드 부정사용이라고 할 수 없다고 보아, 이 부분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하였다.
 
3.  대법원의 판단 
가.  법률을 해석할 때 입법취지와 목적, 제·개정 연혁, 법질서 전체와의 조화, 다른 법령과의 관계 등을 고려하는 체계적·논리적 해석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문언 자체가 비교적 명확한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원칙적으로 이러한 해석 방법은 활용할 필요가 없거나 제한되어야 한다.
여신전문금융업법 제70조 제1항 제4호에서는 ⁠‘강취·횡령하거나, 사람을 기망하거나 공갈하여 취득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를 판매하거나 사용한 자’를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사용’은 강취·횡령, 기망 또는 공갈로 취득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를 진정한 카드로서 본래의 용법에 따라 사용하는 경우를 말한다(대법원 2003. 11. 14. 선고 2003도3977 판결, 대법원 2005. 7. 29. 선고 2005도4233 판결 등 참조). 그리고 ⁠‘기망하거나 공갈하여 취득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는 문언상 ⁠‘기망이나 공갈을 수단으로 하여 다른 사람으로부터 취득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라는 의미이므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의 소유자 또는 점유자를 기망하거나 공갈하여 그들의 자유로운 의사에 의하지 않고 점유가 배제되어 그들로부터 사실상 처분권을 취득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나.  원심판결 이유와 적법하게 채택된 증거에 의하면, 피고인은 교도소에 수용 중인 피해자를 기망하여 2019. 2. 22. 이 사건 신용카드를 교부받은 뒤, 2019. 2. 26.부터 같은 해 3. 25.까지 약 1개월간 총 23회에 걸쳐 피고인의 의사에 따라 이 사건 신용카드를 사용하였으므로, 피해자는 피고인으로부터 기망당함으로써 피해자의 자유로운 의사에 의하지 않고 이 사건 신용카드에 대한 점유를 상실하였고, 피고인은 이 사건 신용카드에 대한 사실상 처분권을 취득하였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이 사건 신용카드는 피고인이 이 사건 신용카드의 소유자인 피해자를 기망하여 취득한 신용카드에 해당하고, 이를 사용한 피고인의 행위는 기망하여 취득한 신용카드 사용으로 인한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죄에 해당한다.
 
다.  그런데도 원심은 피해자가 피고인에게 이 사건 신용카드 사용권한을 주었다는 이유로 이 부분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원심판결에는 여신전문금융업법 제70조 제1항 제4호에서 정한 ⁠‘기망하여 취득한 신용카드’의 해석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이를 지적하는 상고이유 주장은 이유 있다.
 
4.  결론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노태악(재판장) 박정화(주심) 김선수 오경미

출처 : 대법원 2022. 12. 16. 선고 2022도10629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