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도박공간개설자 직접 도박수익 추징 가능 여부 판단

2022도8592
판결 요약
도박공간을 개설한 자가 직접 도박에 참가해 얻은 수익은 도박공간개설 범죄로 인한 추징 대상에서 제외되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공소된 범죄와 직접 관련 없는 이익은 추징할 수 없으며, 몰수·추징의 요건은 공소사실과 관련되어야 한다고 판시하였습니다.
#도박공간개설 #범죄수익 #추징 #몰수 #직접 도박
질의 응답
1. 도박공간을 개설한 자가 직접 도박에 참가해 얻은 수익도 도박공간개설 범죄수익에 포함되나요?
답변
도박공간을 개설한 자가 직접 도박에 참가해 얻은 수익도박공간개설 범죄수익에 포함되지 않으며, 추징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근거
대법원 2022도8592 판결은 도박공간개설자가 직접 도박에 참가해 얻은 수익이 범죄수익에 포함된다고 볼 수 없으므로, 해당 부분은 추징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2. 공소가 제기되지 않은 별개의 범죄수익도 추징할 수 있나요?
답변
공소가 제기된 공소사실과 관련 없는 별개의 범죄수익에 대해서는 추징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2도8592 판결은 별도의 공소제기 없이 몰수·추징을 할 수 없고, 불고불리의 원칙상 공소된 범죄와 직접 관련된 것만 추징이 가능하다고 판시하였습니다.
3. 범죄수익은닉규제법에 따른 몰수·추징에도 같은 원칙이 적용되나요?
답변
예, 형법상 몰수·추징과 마찬가지로, 범죄수익은닉규제법상 몰수·추징도 공소사실과 관련된 수익에만 적용됩니다.
근거
대법원 2022도8592 판결은 범죄수익은닉규제법 제8~10조에 따른 몰수·추징도 형법상 원칙과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판시하였습니다.
4. 도박공간개설죄와 도박죄의 관계는 무엇인가요?
답변
도박공간개설죄와 도박죄별개의 독립 범죄로 평가되어 구분됩니다.
근거
대법원 2022도8592 판결 및 관련 판례는 도박공간개설죄가 영리 목적의 공간 제공 행위라는 점에서 도박행위 자체의 도박죄와 다름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도박공간개설

 ⁠[대법원 2022. 12. 29. 선고 2022도8592 판결]

【판시사항】

 ⁠[1] 형법 제49조 단서에 근거하여 몰수·추징을 선고하려면 몰수·추징의 요건이 공소가 제기된 공소사실과 관련되어 있어야 하는지 여부(적극) 및 공소가 제기되지 아니한 별개의 범죄사실을 법원이 인정하여 그에 관하여 몰수·추징을 선고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 이러한 법리는 형법 제48조의 몰수·추징 규정에 대한 특별규정인 범죄수익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8조 내지 제10조의 규정에 따른 몰수·추징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지 여부(적극)
 ⁠[2] 피고인이 영리의 목적으로 도박공간을 개설하였다는 공소사실이 제1심 및 원심에서 유죄로 인정되었는데, 그로 인한 범죄수익의 추징과 관련하여 피고인이 직접 도박에 참가하여 얻은 수익 부분에 대한 추징 여부가 문제 된 사안에서, 도박공간을 개설한 자가 도박에 참가하여 얻은 수익을 도박공간개설로 얻은 범죄수익으로 몰수하거나 추징할 수 없다는 이유로, 전체 범죄수익 중 피고인이 직접 도박에 참가하여 얻은 수익을 도박공간개설의 범죄로 인한 추징 대상에서 제외하고 그 차액만을 추징한 원심의 판단이 정당하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형법 제49조 단서는 ⁠‘행위자에게 유죄의 재판을 하지 아니할 때에도 몰수의 요건이 있는 때에는 몰수만을 선고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몰수는 물론 이에 갈음하는 추징도 위 규정에 근거하여 선고할 수 있으나, 우리 법제상 공소제기 없이 별도로 몰수·추징만을 선고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위 규정에 근거하여 몰수·추징을 선고하려면 몰수·추징의 요건이 공소가 제기된 공소사실과 관련되어 있어야 하고, 공소가 제기되지 아니한 별개의 범죄사실을 법원이 인정하여 그에 관하여 몰수·추징을 선고하는 것은 불고불리의 원칙에 위배되어 허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법리는 형법 제48조의 몰수·추징 규정에 대한 특별규정인 범죄수익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8조 내지 제10조의 규정에 따른 몰수·추징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2] 피고인이 영리의 목적으로 도박공간을 개설하였다는 공소사실이 제1심 및 원심에서 유죄로 인정되었는데, 그로 인한 범죄수익의 추징과 관련하여 피고인이 직접 도박에 참가하여 얻은 수익 부분에 대한 추징 여부가 문제 된 사안에서, 형법 제247조의 도박개장죄는 영리의 목적으로 스스로 주재자가 되어 그 지배 아래 도박장소를 개설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로서 도박죄와 별개의 독립된 범죄이고, 도박공간을 개설한 자가 도박에 참가하여 얻은 수익은 도박공간개설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얻은 이익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기도 어려워 도박공간을 개설한 자가 도박에 참가하여 얻은 수익을 도박공간개설로 얻은 범죄수익으로 몰수하거나 추징할 수 없다는 이유로, 전체 범죄수익 중 피고인이 직접 도박에 참가하여 얻은 수익을 도박공간개설의 범죄로 인한 추징 대상에서 제외하고 그 차액만을 추징한 원심의 판단이 정당하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형법 제48조, 제49조, 범죄수익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8조, 제9조, 제10조
[2] 형법 제48조, 제49조, 제246조, 제247조, 범죄수익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8조 제1항, 제10조 제1항

【참조판례】

 ⁠[1] 대법원 2010. 5. 13. 선고 2009도11732 판결, 대법원 2020. 10. 15. 선고 2020도960 판결, 대법원 2022. 11. 17. 선고 2022도8662 판결(공2023상, 100)


【전문】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의정부지법 2022. 6. 21. 선고 2021노232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형법 제49조 단서는 ⁠‘행위자에게 유죄의 재판을 하지 아니할 때에도 몰수의 요건이 있는 때에는 몰수만을 선고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몰수는 물론 이에 갈음하는 추징도 위 규정에 근거하여 선고할 수 있으나, 우리 법제상 공소제기 없이 별도로 몰수·추징만을 선고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위 규정에 근거하여 몰수·추징을 선고하려면 몰수·추징의 요건이 공소가 제기된 공소사실과 관련되어 있어야 하고, 공소가 제기되지 아니한 별개의 범죄사실을 법원이 인정하여 그에 관하여 몰수·추징을 선고하는 것은 불고불리의 원칙에 위배되어 허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법리는 형법 제48조의 몰수·추징 규정에 대한 특별규정인 ⁠「범죄수익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8조 내지 제10조의 규정에 따른 몰수·추징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대법원 2022. 11. 17. 선고 2022도8662 판결 등 참조).
원심은 위 법리를 근거로, 형법 제247조의 도박개장죄는 영리의 목적으로 스스로 주재자가 되어 그 지배 아래 도박장소를 개설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로서 도박죄와 별개의 독립된 범죄이고(대법원 2013. 11. 28. 선고 2012도14725 판결 참조), 도박공간을 개설한 자가 도박에 참가하여 얻은 수익은 도박공간개설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얻은 이익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기도 어려우므로, 도박공간을 개설한 자가 도박에 참가하여 얻은 수익을 도박공간개설로 얻은 범죄수익으로 몰수하거나 추징할 수는 없다는 이유로, 이 사건 도박 사이트에 제공된 ○○○○○○ 계좌에서 피고인 명의 계좌 및 피고인이 사용하던 계좌로 송금된 271,860,962원 중 피고인이 ○○○○○○ 사이트에서 직접 도박에 참가하기 위하여 송금하였거나 직접 도박에 참가하여 얻은 수익에 해당하는 22,800,000원은 도박공간개설로 얻은 범죄수익이 아니어서 이 사건 도박공간개설의 범죄로 인한 추징 대상에서 제외되어야 한다고 보아, 피고인으로부터 그 차액인 249,060,962원만을 추징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에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추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한편 검사는 원심판결 전부에 대하여 상고하였으나, 나머지 부분에 관하여는 상고장이나 상고이유서에 구체적인 불복이유의 기재가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민유숙(재판장) 조재연 이동원 천대엽(주심)

출처 : 대법원 2022. 12. 29. 선고 2022도8592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

판례 검색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도박공간개설자 직접 도박수익 추징 가능 여부 판단

2022도8592
판결 요약
도박공간을 개설한 자가 직접 도박에 참가해 얻은 수익은 도박공간개설 범죄로 인한 추징 대상에서 제외되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공소된 범죄와 직접 관련 없는 이익은 추징할 수 없으며, 몰수·추징의 요건은 공소사실과 관련되어야 한다고 판시하였습니다.
#도박공간개설 #범죄수익 #추징 #몰수 #직접 도박
질의 응답
1. 도박공간을 개설한 자가 직접 도박에 참가해 얻은 수익도 도박공간개설 범죄수익에 포함되나요?
답변
도박공간을 개설한 자가 직접 도박에 참가해 얻은 수익도박공간개설 범죄수익에 포함되지 않으며, 추징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근거
대법원 2022도8592 판결은 도박공간개설자가 직접 도박에 참가해 얻은 수익이 범죄수익에 포함된다고 볼 수 없으므로, 해당 부분은 추징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2. 공소가 제기되지 않은 별개의 범죄수익도 추징할 수 있나요?
답변
공소가 제기된 공소사실과 관련 없는 별개의 범죄수익에 대해서는 추징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근거
대법원 2022도8592 판결은 별도의 공소제기 없이 몰수·추징을 할 수 없고, 불고불리의 원칙상 공소된 범죄와 직접 관련된 것만 추징이 가능하다고 판시하였습니다.
3. 범죄수익은닉규제법에 따른 몰수·추징에도 같은 원칙이 적용되나요?
답변
예, 형법상 몰수·추징과 마찬가지로, 범죄수익은닉규제법상 몰수·추징도 공소사실과 관련된 수익에만 적용됩니다.
근거
대법원 2022도8592 판결은 범죄수익은닉규제법 제8~10조에 따른 몰수·추징도 형법상 원칙과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판시하였습니다.
4. 도박공간개설죄와 도박죄의 관계는 무엇인가요?
답변
도박공간개설죄와 도박죄별개의 독립 범죄로 평가되어 구분됩니다.
근거
대법원 2022도8592 판결 및 관련 판례는 도박공간개설죄가 영리 목적의 공간 제공 행위라는 점에서 도박행위 자체의 도박죄와 다름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 본 법률정보는 대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나 조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동일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사실관계나 시점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변호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판결 전문

도박공간개설

 ⁠[대법원 2022. 12. 29. 선고 2022도8592 판결]

【판시사항】

 ⁠[1] 형법 제49조 단서에 근거하여 몰수·추징을 선고하려면 몰수·추징의 요건이 공소가 제기된 공소사실과 관련되어 있어야 하는지 여부(적극) 및 공소가 제기되지 아니한 별개의 범죄사실을 법원이 인정하여 그에 관하여 몰수·추징을 선고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 이러한 법리는 형법 제48조의 몰수·추징 규정에 대한 특별규정인 범죄수익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8조 내지 제10조의 규정에 따른 몰수·추징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지 여부(적극)
 ⁠[2] 피고인이 영리의 목적으로 도박공간을 개설하였다는 공소사실이 제1심 및 원심에서 유죄로 인정되었는데, 그로 인한 범죄수익의 추징과 관련하여 피고인이 직접 도박에 참가하여 얻은 수익 부분에 대한 추징 여부가 문제 된 사안에서, 도박공간을 개설한 자가 도박에 참가하여 얻은 수익을 도박공간개설로 얻은 범죄수익으로 몰수하거나 추징할 수 없다는 이유로, 전체 범죄수익 중 피고인이 직접 도박에 참가하여 얻은 수익을 도박공간개설의 범죄로 인한 추징 대상에서 제외하고 그 차액만을 추징한 원심의 판단이 정당하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형법 제49조 단서는 ⁠‘행위자에게 유죄의 재판을 하지 아니할 때에도 몰수의 요건이 있는 때에는 몰수만을 선고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몰수는 물론 이에 갈음하는 추징도 위 규정에 근거하여 선고할 수 있으나, 우리 법제상 공소제기 없이 별도로 몰수·추징만을 선고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위 규정에 근거하여 몰수·추징을 선고하려면 몰수·추징의 요건이 공소가 제기된 공소사실과 관련되어 있어야 하고, 공소가 제기되지 아니한 별개의 범죄사실을 법원이 인정하여 그에 관하여 몰수·추징을 선고하는 것은 불고불리의 원칙에 위배되어 허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법리는 형법 제48조의 몰수·추징 규정에 대한 특별규정인 범죄수익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8조 내지 제10조의 규정에 따른 몰수·추징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2] 피고인이 영리의 목적으로 도박공간을 개설하였다는 공소사실이 제1심 및 원심에서 유죄로 인정되었는데, 그로 인한 범죄수익의 추징과 관련하여 피고인이 직접 도박에 참가하여 얻은 수익 부분에 대한 추징 여부가 문제 된 사안에서, 형법 제247조의 도박개장죄는 영리의 목적으로 스스로 주재자가 되어 그 지배 아래 도박장소를 개설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로서 도박죄와 별개의 독립된 범죄이고, 도박공간을 개설한 자가 도박에 참가하여 얻은 수익은 도박공간개설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얻은 이익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기도 어려워 도박공간을 개설한 자가 도박에 참가하여 얻은 수익을 도박공간개설로 얻은 범죄수익으로 몰수하거나 추징할 수 없다는 이유로, 전체 범죄수익 중 피고인이 직접 도박에 참가하여 얻은 수익을 도박공간개설의 범죄로 인한 추징 대상에서 제외하고 그 차액만을 추징한 원심의 판단이 정당하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형법 제48조, 제49조, 범죄수익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8조, 제9조, 제10조
[2] 형법 제48조, 제49조, 제246조, 제247조, 범죄수익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8조 제1항, 제10조 제1항

【참조판례】

 ⁠[1] 대법원 2010. 5. 13. 선고 2009도11732 판결, 대법원 2020. 10. 15. 선고 2020도960 판결, 대법원 2022. 11. 17. 선고 2022도8662 판결(공2023상, 100)


【전문】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의정부지법 2022. 6. 21. 선고 2021노232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형법 제49조 단서는 ⁠‘행위자에게 유죄의 재판을 하지 아니할 때에도 몰수의 요건이 있는 때에는 몰수만을 선고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몰수는 물론 이에 갈음하는 추징도 위 규정에 근거하여 선고할 수 있으나, 우리 법제상 공소제기 없이 별도로 몰수·추징만을 선고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위 규정에 근거하여 몰수·추징을 선고하려면 몰수·추징의 요건이 공소가 제기된 공소사실과 관련되어 있어야 하고, 공소가 제기되지 아니한 별개의 범죄사실을 법원이 인정하여 그에 관하여 몰수·추징을 선고하는 것은 불고불리의 원칙에 위배되어 허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법리는 형법 제48조의 몰수·추징 규정에 대한 특별규정인 ⁠「범죄수익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8조 내지 제10조의 규정에 따른 몰수·추징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대법원 2022. 11. 17. 선고 2022도8662 판결 등 참조).
원심은 위 법리를 근거로, 형법 제247조의 도박개장죄는 영리의 목적으로 스스로 주재자가 되어 그 지배 아래 도박장소를 개설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로서 도박죄와 별개의 독립된 범죄이고(대법원 2013. 11. 28. 선고 2012도14725 판결 참조), 도박공간을 개설한 자가 도박에 참가하여 얻은 수익은 도박공간개설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얻은 이익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기도 어려우므로, 도박공간을 개설한 자가 도박에 참가하여 얻은 수익을 도박공간개설로 얻은 범죄수익으로 몰수하거나 추징할 수는 없다는 이유로, 이 사건 도박 사이트에 제공된 ○○○○○○ 계좌에서 피고인 명의 계좌 및 피고인이 사용하던 계좌로 송금된 271,860,962원 중 피고인이 ○○○○○○ 사이트에서 직접 도박에 참가하기 위하여 송금하였거나 직접 도박에 참가하여 얻은 수익에 해당하는 22,800,000원은 도박공간개설로 얻은 범죄수익이 아니어서 이 사건 도박공간개설의 범죄로 인한 추징 대상에서 제외되어야 한다고 보아, 피고인으로부터 그 차액인 249,060,962원만을 추징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에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추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한편 검사는 원심판결 전부에 대하여 상고하였으나, 나머지 부분에 관하여는 상고장이나 상고이유서에 구체적인 불복이유의 기재가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민유숙(재판장) 조재연 이동원 천대엽(주심)

출처 : 대법원 2022. 12. 29. 선고 2022도8592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