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부가 모에게 증여한 주택을 다시 증여받은 거주자가 부모간 증여일로부터 5년* 이내에 그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
구 소득세법(2022.12.31. 법률 제1919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7조의2에 따라 해당 주택의 양도차익을 계산할 때 취득가액은
거주자에게 그 주택을 증여한 자(母)의 취득가액으로 하는 것임
* 현행 10년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458, 2025.5.22.
부(父)가 모(母)에게 증여한 주택을 다시 증여받은 거주자가 부모간 증여일부터 5년 이내에 그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구 소득세법(2022.12.31. 법률 제1919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7조의2에 따라 해당 주택의 양도차익을 계산할 때 취득가액은
거주자에게 그 주택을 증여한 자(母)의 취득가액으로 하는 것입니다.
>
○ 2003년 신청인의 父(이하 “父”)가 경기도 포천시 소재 토지를 경락받아 취득한 후 2007년 주택을 신축
○ 2019.10.22. 父는 해당 토지 및 주택의 지분 1/2(이하 “쟁점부동산”)을 배우자(이하 “母”)에게 증여
○ 2022.07.27. 母가 쟁점부동산을 子(신청인)에게 증여
○ 2022.10.07. 신청인 쟁점부동산 양도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부가 모에게 증여한 주택을 다시 증여받은 거주자가 부모간 증여일로부터 5년* 이내에 그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
구 소득세법(2022.12.31. 법률 제1919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7조의2에 따라 해당 주택의 양도차익을 계산할 때 취득가액은
거주자에게 그 주택을 증여한 자(母)의 취득가액으로 하는 것임
* 현행 10년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458, 2025.5.22.
부(父)가 모(母)에게 증여한 주택을 다시 증여받은 거주자가 부모간 증여일부터 5년 이내에 그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구 소득세법(2022.12.31. 법률 제1919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7조의2에 따라 해당 주택의 양도차익을 계산할 때 취득가액은
거주자에게 그 주택을 증여한 자(母)의 취득가액으로 하는 것입니다.
>
○ 2003년 신청인의 父(이하 “父”)가 경기도 포천시 소재 토지를 경락받아 취득한 후 2007년 주택을 신축
○ 2019.10.22. 父는 해당 토지 및 주택의 지분 1/2(이하 “쟁점부동산”)을 배우자(이하 “母”)에게 증여
○ 2022.07.27. 母가 쟁점부동산을 子(신청인)에게 증여
○ 2022.10.07. 신청인 쟁점부동산 양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