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특례주택과 일반주택(거주주택)을 보유하다 특례주택을 먼저 양도 시 일반주택의 비과세 보유기간 기산일은 아래 사례별 해석례에 따르며,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라 비과세 판정 시 거주자의 소유주택으로 보지 않는 주택은 보유기간 재기산 규정에서 다주택 판정 시에도 거주자의 소유주택으로 보지 않음
[질의] 1세대가 특례주택*과 일반주택(거주주택)을 보유한 경우로서 특례주택을 먼저 양도(과세)한 후 남은 일반주택(거주주택)의 「소득세법 시행령」제154조제1항에 따른 비과세 보유기간 기산일
* 사례1) 「조세특례제한법」 제98조의3에 따른 감면주택
사례2)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제2항에 따른 상속주택
사례3)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제3항에 따른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
사례4・5)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제20항에 따른 장기임대주택으로서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제6조제5항에 따라 자동말소된 주택
(제1안) 일반주택(거주주택) 취득일
(제2안) 특례주택 양도일
[회신] 1) 사례1,2,3,4,5 모두 각각 제1안이 타당합니다.
2) 「소득세법」 제89조제1항제3호를 적용할 때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라 해당 거주자의 소유주택으로 보지 아니하는 주택은, 舊 소득세법 시행령(’22.5.31., 대통령령 제3265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54조제5항 단서에서 규정한 2주택 이상을 보유한 1세대인지 여부를 판단할 경우에도 해당 거주자의 소유주택으로 보지 아니하는 것입니다.
[사실관계]
[사례1] ‘감면주택’ 보유 사례
|
’12.6. |
’12.10. |
’16.1. |
’21.1.1. |
’21.7. |
’21.8. |
|
-----▴--------------▴--------------▴--------------∥---------------▴--------------▴----- |
|||||
|
A취득 (감면주택) |
B취득 (감면주택) |
C 취득 |
A,B양도 |
C양도 |
|
ㅇ ’12.6월 김포시 소재 A주택 취득
ㅇ ’12.10월 김포시 소재 B주택 취득
* A주택과 B주택은 모두 「조세특례제한법」 제98조의3 특례 적용 대상을 전제
ㅇ ’16.1월 하남시 소재 C주택 취득하여 거주 중
ㅇ ’21.7월 A, B주택 양도 예정
ㅇ ’21.8월 C주택 양도 예정
[사례2] ‘상속주택’ 보유 사례
|
’10.1. |
’20.7. |
’21.1.1. |
’21.2. |
’21.12. |
||
|
-----▴---------------------------▴-------------∥-----------▴------------▴----------------- |
||||||
|
A취득 |
B 취득 (상속) |
B양도 |
A양도 |
|||
ㅇ ’10.1월 A주택 취득
ㅇ ’20.7월 별도세대인 父로부터 B주택 상속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제2항에 따른 선순위 상속주택
ㅇ ’21.2월 B주택 양도(과세)
ㅇ ’21.12월 A주택 양도 예정
[사례3]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 보유 사례
|
’15.1. |
’19.6. |
’21.1.1. |
’21.4. |
’21.10. |
||
|
-----▴---------------------------▴-------------∥-----------▴------------▴----------------- |
||||||
|
A취득 |
B 취득 (2/9상속) |
B양도 |
A양도 |
|||
ㅇ ’15.1월 A주택 취득
ㅇ ’19.6월 별도세대인 父로부터 B주택 상속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제3항에 따른 선순위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
ㅇ ’21.4월 B주택 양도(과세)
ㅇ ’21.10월 A주택 양도 예정
[사례4] ‘임대주택 1채’ 보유 사례
|
’13.2. |
’19.11. |
’20.8. |
’21.1.1. |
’22.1. |
|
|
-----▴--------------▴--------------▴--------------∥---------------▴--------------▴----- |
|||||
|
A취득 (임대주택) |
B취득 |
A등록말소 |
A양도 |
B양도 |
|
ㅇ ’13.2월 고양시 일산서구 소재 A오피스텔 취득
* ’13.3월 구청 및 세무서 임대사업자 등록
ㅇ ’19.11월 서울 노원구 B아파트 취득 후 거주
ㅇ ’20.8월 A오피스텔 구청 임대등록 자동말소
ㅇ ’22.1월 A오피스텔을 먼저 양도하고, 이후 B아파트 양도예정
[사례5] ‘임대주택 2채 이상’ 보유 사례
|
’14.9. |
’20.8. |
’21.1.1. |
’21.1. |
’21.7. |
||
|
-----▴------------------------------▴-----------∥------------▴-----------▴---------------- |
||||||
|
A취득 |
임대주택 자동말소 (B・C・D・E・F) |
C양도 |
A양도 계약 |
|||
ㅇ ’14.9월 A주택 취득
* ’14.10.8. ~ ’20.3.2. 세대 전원 실거주
ㅇ ’11.7월 ~ ’15.2월 중 임대주택 5채(B・C・D・E・F) 취득
* 구청 및 세무서에 임대사업자 등록
ㅇ ’20.8월 임대주택 중 C주택의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임대사업자등록 자동말소
ㅇ ’21.1월 자동말소된 C주택 양도(과세)
ㅇ ’21.7월 A주택 매도계약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특례주택과 일반주택(거주주택)을 보유하다 특례주택을 먼저 양도 시 일반주택의 비과세 보유기간 기산일은 아래 사례별 해석례에 따르며,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라 비과세 판정 시 거주자의 소유주택으로 보지 않는 주택은 보유기간 재기산 규정에서 다주택 판정 시에도 거주자의 소유주택으로 보지 않음
[질의] 1세대가 특례주택*과 일반주택(거주주택)을 보유한 경우로서 특례주택을 먼저 양도(과세)한 후 남은 일반주택(거주주택)의 「소득세법 시행령」제154조제1항에 따른 비과세 보유기간 기산일
* 사례1) 「조세특례제한법」 제98조의3에 따른 감면주택
사례2)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제2항에 따른 상속주택
사례3)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제3항에 따른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
사례4・5)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제20항에 따른 장기임대주택으로서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제6조제5항에 따라 자동말소된 주택
(제1안) 일반주택(거주주택) 취득일
(제2안) 특례주택 양도일
[회신] 1) 사례1,2,3,4,5 모두 각각 제1안이 타당합니다.
2) 「소득세법」 제89조제1항제3호를 적용할 때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라 해당 거주자의 소유주택으로 보지 아니하는 주택은, 舊 소득세법 시행령(’22.5.31., 대통령령 제3265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54조제5항 단서에서 규정한 2주택 이상을 보유한 1세대인지 여부를 판단할 경우에도 해당 거주자의 소유주택으로 보지 아니하는 것입니다.
[사실관계]
[사례1] ‘감면주택’ 보유 사례
|
’12.6. |
’12.10. |
’16.1. |
’21.1.1. |
’21.7. |
’21.8. |
|
-----▴--------------▴--------------▴--------------∥---------------▴--------------▴----- |
|||||
|
A취득 (감면주택) |
B취득 (감면주택) |
C 취득 |
A,B양도 |
C양도 |
|
ㅇ ’12.6월 김포시 소재 A주택 취득
ㅇ ’12.10월 김포시 소재 B주택 취득
* A주택과 B주택은 모두 「조세특례제한법」 제98조의3 특례 적용 대상을 전제
ㅇ ’16.1월 하남시 소재 C주택 취득하여 거주 중
ㅇ ’21.7월 A, B주택 양도 예정
ㅇ ’21.8월 C주택 양도 예정
[사례2] ‘상속주택’ 보유 사례
|
’10.1. |
’20.7. |
’21.1.1. |
’21.2. |
’21.12. |
||
|
-----▴---------------------------▴-------------∥-----------▴------------▴----------------- |
||||||
|
A취득 |
B 취득 (상속) |
B양도 |
A양도 |
|||
ㅇ ’10.1월 A주택 취득
ㅇ ’20.7월 별도세대인 父로부터 B주택 상속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제2항에 따른 선순위 상속주택
ㅇ ’21.2월 B주택 양도(과세)
ㅇ ’21.12월 A주택 양도 예정
[사례3]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 보유 사례
|
’15.1. |
’19.6. |
’21.1.1. |
’21.4. |
’21.10. |
||
|
-----▴---------------------------▴-------------∥-----------▴------------▴----------------- |
||||||
|
A취득 |
B 취득 (2/9상속) |
B양도 |
A양도 |
|||
ㅇ ’15.1월 A주택 취득
ㅇ ’19.6월 별도세대인 父로부터 B주택 상속
*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제3항에 따른 선순위 공동상속주택 소수지분
ㅇ ’21.4월 B주택 양도(과세)
ㅇ ’21.10월 A주택 양도 예정
[사례4] ‘임대주택 1채’ 보유 사례
|
’13.2. |
’19.11. |
’20.8. |
’21.1.1. |
’22.1. |
|
|
-----▴--------------▴--------------▴--------------∥---------------▴--------------▴----- |
|||||
|
A취득 (임대주택) |
B취득 |
A등록말소 |
A양도 |
B양도 |
|
ㅇ ’13.2월 고양시 일산서구 소재 A오피스텔 취득
* ’13.3월 구청 및 세무서 임대사업자 등록
ㅇ ’19.11월 서울 노원구 B아파트 취득 후 거주
ㅇ ’20.8월 A오피스텔 구청 임대등록 자동말소
ㅇ ’22.1월 A오피스텔을 먼저 양도하고, 이후 B아파트 양도예정
[사례5] ‘임대주택 2채 이상’ 보유 사례
|
’14.9. |
’20.8. |
’21.1.1. |
’21.1. |
’21.7. |
||
|
-----▴------------------------------▴-----------∥------------▴-----------▴---------------- |
||||||
|
A취득 |
임대주택 자동말소 (B・C・D・E・F) |
C양도 |
A양도 계약 |
|||
ㅇ ’14.9월 A주택 취득
* ’14.10.8. ~ ’20.3.2. 세대 전원 실거주
ㅇ ’11.7월 ~ ’15.2월 중 임대주택 5채(B・C・D・E・F) 취득
* 구청 및 세무서에 임대사업자 등록
ㅇ ’20.8월 임대주택 중 C주택의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임대사업자등록 자동말소
ㅇ ’21.1월 자동말소된 C주택 양도(과세)
ㅇ ’21.7월 A주택 매도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