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유언공증 통한 상속 시 일괄공제 한도 및 적용

사전-2025-법규재산-0327  ·  2025. 05. 30.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피상속인의 상속재산이 유언공증으로 4촌누나 및 지인에게 유증된 경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1조에 따른 일괄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는지요?

S요약

피상속인의 유언공증에 따라 선순위 상속인이 아닌 4촌누나 및 지인 등에게 유증된 재산이 있을 때에도,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1조에 의거하여 일괄공제가 가능합니다. 다만, 이 공제 금액은 선순위 상속인이 아닌 자에게 유증된 재산가액을 뺀 금액까지만 허용되며, 상속인 자격 등은 사실조사로 판정됩니다.
#유언공증 #상속세 일괄공제 #유증 #수유자 #상속인 #선순위 상속인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사전-2025-법규재산-0327  ·  2025. 05. 30.

  • 국세청 사전-2025-법규재산-0327(2025-05-30) 회신.
  • 유언공증에 따라 상속재산이 4촌누나 등 선순위 상속인이 아닌 자에게 유증된 경우에도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1조의 일괄공제가 적용될 수 있다고 회신한 바 있습니다.
  • 다만, 공제받을 수 있는 금액은 상증법 제24조에 따라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선순위 상속인이 아닌 자에게 유증 등으로 귀속된 재산가액을 제한하여 산정해야 한다고 명시하였습니다.
  • 상속인 자격(직계존속 등)이나 가족관계의 정확한 판단은 추가 사실조사(예: 북한이탈주민 가족관계 확인 등)를 거쳐 확정되어야 함을 부연하였습니다.
  • 즉, 상증법 제21조에 의한 일괄공제 적용은 가능하나, 공제 한도에 대한 상세한 확인이 필요하다고 해석하였습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1조(일괄공제): 상속인 또는 수유자는 기초공제와 인적공제의 합계 또는 5억원 중 큰 금액을 공제 가능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4조(공제 적용의 한도): 선순위 상속인이 아닌 수유자에게 유증한 재산가액만큼 공제한도를 제한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조: 상속·상속인·수유자 등의 정의 명확화
  • 민법 제1000조: 상속순위(직계비속, 직계존속, 형제자매, 4촌이내 방계혈족)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집행기준 21-0-1: 신고가 없거나 인적공제액이 5억원 미달 시 일괄공제 적용
사례 Q&A
1. 유언으로 4촌누나에게 상속한 경우 상속세 일괄공제가 가능한가요?
답변
유언에 따라 4촌누나 등에게 상속이 이루어져도 상속세 일괄공제 적용은 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근거
국세청 회신에 따라,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1조의 일괄공제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2. 상속세 일괄공제 금액 계산 시 유증받은 자의 재산은 어떻게 되나요?
답변
선순위 상속인이 아닌 자에게 유증된 금액만큼 공제 한도에서 차감되어 적용됩니다.
근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4조는 공제액 계산 시 유증재산가액 차감을 규정합니다.
3. 상속인이 모두 포기한 경우 유언공증으로 받은 자도 일괄공제를 받을 수 있나요?
답변
상속인이 모두 포기하여 상속재산이 유언공증으로 귀속돼도 수유자에게 일괄공제 적용이 일부 가능하다 보입니다.
근거
상증법상 상속인·수유자 모두 일괄공제 적용 대상임을 규정합니다.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요지

상속인 등에게 상속된 경우 일괄공제(상증법§21)가 가능하나, 상증법§24에 따라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선순위 상속인이 아닌 자에게 유증 등을 한 재산가액을 뺀 금액을 한도로 함

답변내용

귀 사전답변 신청의 사실관계와 같이, 상속개시일 당시 상속재산이 피상속인의 유언공증에 의해 선순위 상속인(직계존속)이 아닌 4촌누나 등에게 상속된 경우에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1조에 따라 일괄공제가 가능한 것이나, 그 공제되는 금액은 같은 법 제24조에 따라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선순위인 상속인이 아닌 자에게 유증 등을 한 재산의 가액을 뺀 금액을 한도로 하는 것입니다. 다만,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조제4호에 따른 상속인의 관계 등은 사실조사하여 판단할 사항입니다.

1. 사실관계

○2023.2.10. 피상속인* 사망(상속재산가액 4억원상당)

  * 탈북민으로서 무연고자 상태로 사망하였으나, 북한에 부모가 생존함을 전제

 ○ 상속개시일 현재 상속재산이 4촌누나* 1인과 지인 1인에게 각각 1/2씩 유증

 * 탈북민으로서 통일부에서 발급하는 ⁠[북한이탈주민 가족 관계 확인서]에 의해 피상속인과 사촌누나의 가족관계를 확인됨을 전제

2. 질의요지

○피상속인의 상속개시일 당시 상속재산이 유언공증(이하 ⁠“유증”)에 의해 4촌누나 및 지인에게 상속된 경우 「상속세 및 증여세법(이하 ⁠“상증법”)」 제21조에 따른 일괄공제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

3. 관련 법령

〔상속세 및 증여세법〕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상속”이란 「민법」 제5편에 따른 상속을 말하며, 다음 각 목의 것을 포함한다.

   가. 유증(遺贈)

  4. ⁠“상속인”이란 ⁠「민법」제1000조, 제1001조, 제1003조 및 제1004조에 따른 상속인을 말하며, 같은 법 제1019조 제1항에 따라 상속을 포기한 사람 및 특별연고자를 포함한다.

  5. "수유자”(受遺者)란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

   가. 유증을 받은 자

  8. "거주자”란 국내에 주소를 두거나 183일 이상 거소(居所)를 둔 사람을 말하며, "비거주자”란 거주자가 아닌 사람을 말한다. 이 경우 주소와 거소의 정의 및 거주자와 비거주자의 판정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3조【상속세 과세대상】

상속개시일 현재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상속재산에 대하여 이 법에 따라 상속세를 부과한다.

  1. 피상속인이 거주자인 경우: 모든 상속재산

  2. 피상속인이 비거주자인 경우: 국내에 있는 모든 상속재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18조【기초공제】

거주자나 비거주자의 사망으로 상속이 개시되는 경우에는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2억원을 공제한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0조【그 밖의 인적공제】

 ① 거주자의 사망으로 상속이 개시되는 경우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금액을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공제한다. 이 경우 제1호에 해당하는 사람이 제2호에 해당하는 경우 또는 제4호에 해당하는 사람이 제1호부터 제3호까지 또는 제19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각각 그 금액을 합산하여 공제한다.

  1. 자녀(태아를 포함한다) 1명에 대해서는 5천만원

  2. 상속인(배우자는 제외한다) 및 동거가족 중 미성년자(태아를 포함한다)에 대해서는 1천만원에 19세가 될 때까지의 연수(年數)를 곱하여 계산한 금액

  3. 상속인(배우자는 제외한다) 및 동거가족 중 65세 이상인 사람에 대해서는 5천만원

  4. 상속인 및 동거가족 중 장애인에 대해서는 1천만원에 상속개시일 현재 「통계법」 제18조에 따라 통계청장이 승인하여 고시하는 통계표에 따른 성별ㆍ연령별 기대여명(期待餘命)의 연수를 곱하여 계산한 금액

 ② 제1항제2호부터 제4호까지에 규정된 동거가족과 같은 항 제4호에 규정된 장애인의 범위 및 같은 항에 따른 공제를 받기 위한 증명서류의 제출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③ 제1항제2호 및 제4호를 적용할 때 1년 미만의 기간은 1년으로 한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1조【일괄공제】

 ① 거주자의 사망으로 상속이 개시되는 경우에 상속인이나 수유자는 제18조와 제20조제1항에 따른 공제액을 합친 금액과 5억원 중 큰 금액으로 공제받을 수 있다. 다만, 제67조 또는 「국세기본법」 제45조의3에 따른 신고가 없는 경우에는 5억원을 공제한다.

 ② 제1항을 적용할 때 피상속인의 배우자가 단독으로 상속받는 경우에는 제18조와 제20조제1항에 따른 공제액을 합친 금액으로만 공제한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2022.12.31. 법률 제19195호로 개정된 것) 제24조【공제 적용의 한도】

제18조, 제18조의2, 제18조의3, 제19조부터 제23조까지 및 제23조의2에 따라 공제할 금액은 제13조에 따른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가액을 뺀 금액을 한도로 한다. 다만, 제3호는 상속세 과세가액이 5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적용한다.

  1. 선순위인 상속인이 아닌 자에게 유증등을 한 재산의 가액

  2. 선순위인 상속인의 상속 포기로 그 다음 순위의 상속인이 상속받은 재산의 가액

  3. 제13조에 따라 상속세 과세가액에 가산한 증여재산가액(제53조 또는 제54조에 따라 공제받은 금액이 있으면 그 증여재산가액에서 그 공제받은 금액을 뺀 가액을 말한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집행기준

집행기준

3의2-0-2

상속세 납세의무자

구 분

내 용

법정상속인

① 상속순위

   1. 피상속인의 직계비속 2. 피상속인의 직계존속

   3. 피상속인의 형제자매 4. 피상속인의 4촌 이내의 방계혈족

②동순위의 상속인이 수인인 때에는 최근친을 선순위로 하고 동친 등의 상속인이 수인인 때에는 공동상속인이 된다.

수유자

유증 또는 사인증여로 재산을 취득하는 자로서 상속인이 아닌 자

집행기준

21-0-1

일괄공제

거주자의 사망으로 상속이 개시되고 상속세를 무신고하거나 기초공제액과 기타인적공제액이 5억원에 미달한 경우 기초공제액과 기타인적공제액을 일괄하여 5억원을 공제할 수 있다.

구 분

일괄공제액

∙상속세 신고기한 내 신고 또는 기한 후 신고가 없는 경우

5억원

∙배우자만 상속재산을
받은 경우

단독상속

일괄공제 불가

공동상속인의 상속포기 또는 협의분할에 따라 배우자 혼자 상속 받은 경우

5억원

〔민법〕

민법 제1000조【상속의 순위】

 ① 상속에 있어서는 다음 순위로 상속인이 된다.

  1. 피상속인의 직계비속

  2. 피상속인의 직계존속

  3. 피상속인의 형제자매

  4. 피상속인의 4촌 이내의 방계혈족

 ② 전항의 경우에 동순위의 상속인이 수인인 때에는 최근친을 선순위로 하고 동친등의 상속인이 수인인 때에는 공동상속인이 된다.

 ③ 태아는 상속순위에 관하여는 이미 출생한 것으로 본다.

민법 제1001조【대습상속】

 전조 제1항제1호와 제3호의 규정에 의하여 상속인이 될 직계비속 또는 형제자매가 상속개시전에 사망하거나 결격자가 된 경우에 그 직계비속이 있는 때에는 그 직계비속이 사망하거나 결격된 자의 순위에 갈음하여 상속인이 된다.

민법 제1003조【배우자의 상속순위】

 ① 피상속인의 배우자는 제1000조제1항제1호와 제2호의 규정에 의한 상속인이 있는 경우에는 그 상속인과 동순위로 공동상속인이 되고 그 상속인이 없는 때에는 단독상속인이 된다.

 ② 제1001조의 경우에 상속개시전에 사망 또는 결격된 자의 배우자는 동조의 규정에 의한 상속인과 동순위로 공동상속인이 되고 그 상속인이 없는 때에는 단독상속인이 된다.

민법 제1004조【상속인의 결격사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한 자는 상속인이 되지 못한다.

  1. 고의로 직계존속, 피상속인, 그 배우자 또는 상속의 선순위나 동순위에 있는 자를 살해하거나 살해하려한 자

  2. 고의로 직계존속, 피상속인과 그 배우자에게 상해를 가하여 사망에 이르게 한 자

  3.사기 또는 강박으로 피상속인의 상속에 관한 유언 또는 유언의 철회를 방해한 자

  4. 사기 또는 강박으로 피상속인의 상속에 관한 유언을 하게 한 자

  5. 피상속인의 상속에 관한 유언서를 위조ㆍ변조ㆍ파기 또는 은닉한 자

민법 제1019조【승인,포기의 기간】

 ① 상속인은 상속개시있음을 안 날로부터 3월내에 단순승인이나 한정승인 또는 포기를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기간은 이해관계인 또는 검사의 청구에 의하여 가정법원이 이를 연장할 수 있다.

 ② 상속인은 제1항의 승인 또는 포기를 하기 전에 상속재산을 조사할 수 있다.

 ③제1항에도 불구하고 상속인은 상속채무가 상속재산을 초과하는 사실(이하 이 조에서 "상속채무 초과사실"이라 한다)을 중대한 과실 없이 제1항의 기간 내에 알지 못하고 단순승인(제1026조제1호 및 제2호에 따라 단순승인한 것으로 보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을 한 경우에는 그 사실을 안 날부터 3개월 내에 한정승인을 할 수 있다.

 ④제1항에도 불구하고 미성년자인 상속인이 상속채무가 상속재산을 초과하는 상속을 성년이 되기 전에 단순승인한 경우에는 성년이 된 후 그 상속의 상속채무 초과사실을 안 날부터 3개월 내에 한정승인을 할 수 있다. 미성년자인 상속인이 제3항에 따른 한정승인을 하지 아니하였거나 할 수 없었던 경우에도 또한 같다.

제1012조【유언에 의한 분할방법의 지정, 분할금지】

피상속인은 유언으로 상속재산의 분할방법을 정하거나 이를 정할 것을 제삼자에게 위탁할 수 있고 상속개시의 날로부터 5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기간내의 그 분할을 금지할 수 있다.

제1065조【유언의 보통방식】

유언의 방식은 자필증서, 녹음, 공정증서, 비밀증서와 구수증서의 5종으로 한다.

제1073조【유언의 효력발생시기】

 ① 유언은 유언자가 사망한 때로부터 그 효력이 생긴다.

 ② 유언에 정지조건이 있는 경우에 그 조건이 유언자의 사망후에 성취한 때에는 그 조건성취한 때로부터 유언의 효력이 생긴다.

제1074조【유증의 승인,포기】

 ① 유증을 받을 자는 유언자의 사망후에 언제든지 유증을 승인 또는 포기할 수 있다.

 ② 전항의 승인이나 포기는 유언자의 사망한 때에 소급하여 그 효력이 있다.

출처 : 국세청 2025. 05. 30. 사전-2025-법규재산-0327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유권해석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유언공증 통한 상속 시 일괄공제 한도 및 적용

사전-2025-법규재산-0327  ·  2025. 05. 30.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피상속인의 상속재산이 유언공증으로 4촌누나 및 지인에게 유증된 경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1조에 따른 일괄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는지요?

S요약

피상속인의 유언공증에 따라 선순위 상속인이 아닌 4촌누나 및 지인 등에게 유증된 재산이 있을 때에도,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1조에 의거하여 일괄공제가 가능합니다. 다만, 이 공제 금액은 선순위 상속인이 아닌 자에게 유증된 재산가액을 뺀 금액까지만 허용되며, 상속인 자격 등은 사실조사로 판정됩니다.
#유언공증 #상속세 일괄공제 #유증 #수유자 #상속인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사전-2025-법규재산-0327  ·  2025. 05. 30.

  • 국세청 사전-2025-법규재산-0327(2025-05-30) 회신.
  • 유언공증에 따라 상속재산이 4촌누나 등 선순위 상속인이 아닌 자에게 유증된 경우에도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1조의 일괄공제가 적용될 수 있다고 회신한 바 있습니다.
  • 다만, 공제받을 수 있는 금액은 상증법 제24조에 따라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선순위 상속인이 아닌 자에게 유증 등으로 귀속된 재산가액을 제한하여 산정해야 한다고 명시하였습니다.
  • 상속인 자격(직계존속 등)이나 가족관계의 정확한 판단은 추가 사실조사(예: 북한이탈주민 가족관계 확인 등)를 거쳐 확정되어야 함을 부연하였습니다.
  • 즉, 상증법 제21조에 의한 일괄공제 적용은 가능하나, 공제 한도에 대한 상세한 확인이 필요하다고 해석하였습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1조(일괄공제): 상속인 또는 수유자는 기초공제와 인적공제의 합계 또는 5억원 중 큰 금액을 공제 가능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4조(공제 적용의 한도): 선순위 상속인이 아닌 수유자에게 유증한 재산가액만큼 공제한도를 제한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조: 상속·상속인·수유자 등의 정의 명확화
  • 민법 제1000조: 상속순위(직계비속, 직계존속, 형제자매, 4촌이내 방계혈족)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집행기준 21-0-1: 신고가 없거나 인적공제액이 5억원 미달 시 일괄공제 적용
사례 Q&A
1. 유언으로 4촌누나에게 상속한 경우 상속세 일괄공제가 가능한가요?
답변
유언에 따라 4촌누나 등에게 상속이 이루어져도 상속세 일괄공제 적용은 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근거
국세청 회신에 따라,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1조의 일괄공제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2. 상속세 일괄공제 금액 계산 시 유증받은 자의 재산은 어떻게 되나요?
답변
선순위 상속인이 아닌 자에게 유증된 금액만큼 공제 한도에서 차감되어 적용됩니다.
근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4조는 공제액 계산 시 유증재산가액 차감을 규정합니다.
3. 상속인이 모두 포기한 경우 유언공증으로 받은 자도 일괄공제를 받을 수 있나요?
답변
상속인이 모두 포기하여 상속재산이 유언공증으로 귀속돼도 수유자에게 일괄공제 적용이 일부 가능하다 보입니다.
근거
상증법상 상속인·수유자 모두 일괄공제 적용 대상임을 규정합니다.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요지

상속인 등에게 상속된 경우 일괄공제(상증법§21)가 가능하나, 상증법§24에 따라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선순위 상속인이 아닌 자에게 유증 등을 한 재산가액을 뺀 금액을 한도로 함

답변내용

귀 사전답변 신청의 사실관계와 같이, 상속개시일 당시 상속재산이 피상속인의 유언공증에 의해 선순위 상속인(직계존속)이 아닌 4촌누나 등에게 상속된 경우에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1조에 따라 일괄공제가 가능한 것이나, 그 공제되는 금액은 같은 법 제24조에 따라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선순위인 상속인이 아닌 자에게 유증 등을 한 재산의 가액을 뺀 금액을 한도로 하는 것입니다. 다만,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조제4호에 따른 상속인의 관계 등은 사실조사하여 판단할 사항입니다.

1. 사실관계

○2023.2.10. 피상속인* 사망(상속재산가액 4억원상당)

  * 탈북민으로서 무연고자 상태로 사망하였으나, 북한에 부모가 생존함을 전제

 ○ 상속개시일 현재 상속재산이 4촌누나* 1인과 지인 1인에게 각각 1/2씩 유증

 * 탈북민으로서 통일부에서 발급하는 ⁠[북한이탈주민 가족 관계 확인서]에 의해 피상속인과 사촌누나의 가족관계를 확인됨을 전제

2. 질의요지

○피상속인의 상속개시일 당시 상속재산이 유언공증(이하 ⁠“유증”)에 의해 4촌누나 및 지인에게 상속된 경우 「상속세 및 증여세법(이하 ⁠“상증법”)」 제21조에 따른 일괄공제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

3. 관련 법령

〔상속세 및 증여세법〕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상속”이란 「민법」 제5편에 따른 상속을 말하며, 다음 각 목의 것을 포함한다.

   가. 유증(遺贈)

  4. ⁠“상속인”이란 ⁠「민법」제1000조, 제1001조, 제1003조 및 제1004조에 따른 상속인을 말하며, 같은 법 제1019조 제1항에 따라 상속을 포기한 사람 및 특별연고자를 포함한다.

  5. "수유자”(受遺者)란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

   가. 유증을 받은 자

  8. "거주자”란 국내에 주소를 두거나 183일 이상 거소(居所)를 둔 사람을 말하며, "비거주자”란 거주자가 아닌 사람을 말한다. 이 경우 주소와 거소의 정의 및 거주자와 비거주자의 판정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3조【상속세 과세대상】

상속개시일 현재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상속재산에 대하여 이 법에 따라 상속세를 부과한다.

  1. 피상속인이 거주자인 경우: 모든 상속재산

  2. 피상속인이 비거주자인 경우: 국내에 있는 모든 상속재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18조【기초공제】

거주자나 비거주자의 사망으로 상속이 개시되는 경우에는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2억원을 공제한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0조【그 밖의 인적공제】

 ① 거주자의 사망으로 상속이 개시되는 경우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금액을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공제한다. 이 경우 제1호에 해당하는 사람이 제2호에 해당하는 경우 또는 제4호에 해당하는 사람이 제1호부터 제3호까지 또는 제19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각각 그 금액을 합산하여 공제한다.

  1. 자녀(태아를 포함한다) 1명에 대해서는 5천만원

  2. 상속인(배우자는 제외한다) 및 동거가족 중 미성년자(태아를 포함한다)에 대해서는 1천만원에 19세가 될 때까지의 연수(年數)를 곱하여 계산한 금액

  3. 상속인(배우자는 제외한다) 및 동거가족 중 65세 이상인 사람에 대해서는 5천만원

  4. 상속인 및 동거가족 중 장애인에 대해서는 1천만원에 상속개시일 현재 「통계법」 제18조에 따라 통계청장이 승인하여 고시하는 통계표에 따른 성별ㆍ연령별 기대여명(期待餘命)의 연수를 곱하여 계산한 금액

 ② 제1항제2호부터 제4호까지에 규정된 동거가족과 같은 항 제4호에 규정된 장애인의 범위 및 같은 항에 따른 공제를 받기 위한 증명서류의 제출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③ 제1항제2호 및 제4호를 적용할 때 1년 미만의 기간은 1년으로 한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1조【일괄공제】

 ① 거주자의 사망으로 상속이 개시되는 경우에 상속인이나 수유자는 제18조와 제20조제1항에 따른 공제액을 합친 금액과 5억원 중 큰 금액으로 공제받을 수 있다. 다만, 제67조 또는 「국세기본법」 제45조의3에 따른 신고가 없는 경우에는 5억원을 공제한다.

 ② 제1항을 적용할 때 피상속인의 배우자가 단독으로 상속받는 경우에는 제18조와 제20조제1항에 따른 공제액을 합친 금액으로만 공제한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2022.12.31. 법률 제19195호로 개정된 것) 제24조【공제 적용의 한도】

제18조, 제18조의2, 제18조의3, 제19조부터 제23조까지 및 제23조의2에 따라 공제할 금액은 제13조에 따른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가액을 뺀 금액을 한도로 한다. 다만, 제3호는 상속세 과세가액이 5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적용한다.

  1. 선순위인 상속인이 아닌 자에게 유증등을 한 재산의 가액

  2. 선순위인 상속인의 상속 포기로 그 다음 순위의 상속인이 상속받은 재산의 가액

  3. 제13조에 따라 상속세 과세가액에 가산한 증여재산가액(제53조 또는 제54조에 따라 공제받은 금액이 있으면 그 증여재산가액에서 그 공제받은 금액을 뺀 가액을 말한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집행기준

집행기준

3의2-0-2

상속세 납세의무자

구 분

내 용

법정상속인

① 상속순위

   1. 피상속인의 직계비속 2. 피상속인의 직계존속

   3. 피상속인의 형제자매 4. 피상속인의 4촌 이내의 방계혈족

②동순위의 상속인이 수인인 때에는 최근친을 선순위로 하고 동친 등의 상속인이 수인인 때에는 공동상속인이 된다.

수유자

유증 또는 사인증여로 재산을 취득하는 자로서 상속인이 아닌 자

집행기준

21-0-1

일괄공제

거주자의 사망으로 상속이 개시되고 상속세를 무신고하거나 기초공제액과 기타인적공제액이 5억원에 미달한 경우 기초공제액과 기타인적공제액을 일괄하여 5억원을 공제할 수 있다.

구 분

일괄공제액

∙상속세 신고기한 내 신고 또는 기한 후 신고가 없는 경우

5억원

∙배우자만 상속재산을
받은 경우

단독상속

일괄공제 불가

공동상속인의 상속포기 또는 협의분할에 따라 배우자 혼자 상속 받은 경우

5억원

〔민법〕

민법 제1000조【상속의 순위】

 ① 상속에 있어서는 다음 순위로 상속인이 된다.

  1. 피상속인의 직계비속

  2. 피상속인의 직계존속

  3. 피상속인의 형제자매

  4. 피상속인의 4촌 이내의 방계혈족

 ② 전항의 경우에 동순위의 상속인이 수인인 때에는 최근친을 선순위로 하고 동친등의 상속인이 수인인 때에는 공동상속인이 된다.

 ③ 태아는 상속순위에 관하여는 이미 출생한 것으로 본다.

민법 제1001조【대습상속】

 전조 제1항제1호와 제3호의 규정에 의하여 상속인이 될 직계비속 또는 형제자매가 상속개시전에 사망하거나 결격자가 된 경우에 그 직계비속이 있는 때에는 그 직계비속이 사망하거나 결격된 자의 순위에 갈음하여 상속인이 된다.

민법 제1003조【배우자의 상속순위】

 ① 피상속인의 배우자는 제1000조제1항제1호와 제2호의 규정에 의한 상속인이 있는 경우에는 그 상속인과 동순위로 공동상속인이 되고 그 상속인이 없는 때에는 단독상속인이 된다.

 ② 제1001조의 경우에 상속개시전에 사망 또는 결격된 자의 배우자는 동조의 규정에 의한 상속인과 동순위로 공동상속인이 되고 그 상속인이 없는 때에는 단독상속인이 된다.

민법 제1004조【상속인의 결격사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한 자는 상속인이 되지 못한다.

  1. 고의로 직계존속, 피상속인, 그 배우자 또는 상속의 선순위나 동순위에 있는 자를 살해하거나 살해하려한 자

  2. 고의로 직계존속, 피상속인과 그 배우자에게 상해를 가하여 사망에 이르게 한 자

  3.사기 또는 강박으로 피상속인의 상속에 관한 유언 또는 유언의 철회를 방해한 자

  4. 사기 또는 강박으로 피상속인의 상속에 관한 유언을 하게 한 자

  5. 피상속인의 상속에 관한 유언서를 위조ㆍ변조ㆍ파기 또는 은닉한 자

민법 제1019조【승인,포기의 기간】

 ① 상속인은 상속개시있음을 안 날로부터 3월내에 단순승인이나 한정승인 또는 포기를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기간은 이해관계인 또는 검사의 청구에 의하여 가정법원이 이를 연장할 수 있다.

 ② 상속인은 제1항의 승인 또는 포기를 하기 전에 상속재산을 조사할 수 있다.

 ③제1항에도 불구하고 상속인은 상속채무가 상속재산을 초과하는 사실(이하 이 조에서 "상속채무 초과사실"이라 한다)을 중대한 과실 없이 제1항의 기간 내에 알지 못하고 단순승인(제1026조제1호 및 제2호에 따라 단순승인한 것으로 보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을 한 경우에는 그 사실을 안 날부터 3개월 내에 한정승인을 할 수 있다.

 ④제1항에도 불구하고 미성년자인 상속인이 상속채무가 상속재산을 초과하는 상속을 성년이 되기 전에 단순승인한 경우에는 성년이 된 후 그 상속의 상속채무 초과사실을 안 날부터 3개월 내에 한정승인을 할 수 있다. 미성년자인 상속인이 제3항에 따른 한정승인을 하지 아니하였거나 할 수 없었던 경우에도 또한 같다.

제1012조【유언에 의한 분할방법의 지정, 분할금지】

피상속인은 유언으로 상속재산의 분할방법을 정하거나 이를 정할 것을 제삼자에게 위탁할 수 있고 상속개시의 날로부터 5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기간내의 그 분할을 금지할 수 있다.

제1065조【유언의 보통방식】

유언의 방식은 자필증서, 녹음, 공정증서, 비밀증서와 구수증서의 5종으로 한다.

제1073조【유언의 효력발생시기】

 ① 유언은 유언자가 사망한 때로부터 그 효력이 생긴다.

 ② 유언에 정지조건이 있는 경우에 그 조건이 유언자의 사망후에 성취한 때에는 그 조건성취한 때로부터 유언의 효력이 생긴다.

제1074조【유증의 승인,포기】

 ① 유증을 받을 자는 유언자의 사망후에 언제든지 유증을 승인 또는 포기할 수 있다.

 ② 전항의 승인이나 포기는 유언자의 사망한 때에 소급하여 그 효력이 있다.

출처 : 국세청 2025. 05. 30. 사전-2025-법규재산-0327 | 국세법령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