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특정외국법인 의제배당 시 '해당 사업연도' 해석

서면-2024-법규국조-3783  ·  2025. 07. 23.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특정외국법인으로부터 의제배당을 받은 경우, 법인세법 시행령 제18조 제2항에서 말하는 특정외국법인의 '해당 사업연도'는 어느 사업연도를 의미하나요?

S요약

특정외국법인으로부터 의제배당을 받은 경우, 해당 사업연도의 기준은 감자결의일 등 의제배당 귀속시기가 속하는 사업연도로 본다는 유권해석입니다. 외국자회사 수입배당금액의 익금불산입 적용 판단 시, 특정외국법인의 실제부담세액 판단 역시 해당 시점을 기준으로 삼습니다.
#특정외국법인 #의제배당 #해당사업연도 #법인세법 #시행령제13조 #시행령제18조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서면-2024-법규국조-3783  ·  2025. 07. 23.

  • 국세청 서면-2024-법규국조-3783(2025-07-23) 회신에 따르면,
  • 특정외국법인으로부터 법인세법 제16조제1항제1호에 따른 의제배당을 받은 경우, 시행령 제18조 제2항의 특정외국법인 '해당 사업연도'란 시행령 제13조제1호에 따른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를 의미한다고 판단하였습니다.
  • 즉, 의제배당의 귀속시기(감자결의일 등)가 속하는 사업연도를 해당 사업연도로 보아, 실제부담세액 및 실제발생소득 판정 역시 이 시점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타당함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 이는 외국자회사 수입배당금액의 익금불산입 적용대상 판단시 중요한 기준이 됨을 재확인하였습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법인세법 제18조의4: 외국자회사로부터 받은 이익의 배당금 또는 의제배당금의 95%까지 익금불산입 규정
  • 법인세법 시행령 제18조 제2항: 실제부담세액이 실제발생소득의 15% 이하인 특정외국법인의 해당 사업연도 배당금 등 익금산입 규정
  • 법인세법 제16조: 의제배당의 범위 및 조건 명시
  • 법인세법 시행령 제13조: 의제배당 시기, 감자 결의일 등으로 귀속시기 명확화
  •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 제27조: 특정외국법인 유보소득 배당 간주 및 실제부담세액 산출기준
사례 Q&A
1. 특정외국법인 의제배당 해당 사업연도 기준이 무엇인가요?
답변
의제배당의 귀속시기(예: 감자결의일)가 속하는 사업연도를 해당 사업연도로 봅니다.
근거
국세청 유권해석과 법인세법 시행령 제13조의 관련 규정에 근거합니다.
2. 법인세법상 외국자회사 수입배당 익금불산입 판단 기준 연도는?
답변
의제배당 등 배당귀속 시점이 속하는 사업연도가 기준입니다.
근거
국세청 회신과 시행령 제18조 제2항의 해석에 따라 적용됩니다.
3. 실제부담세액 등 특정외국법인 요건 판단 연도는 언제인가요?
답변
감자결의일 등 의제배당 발생 시기가 속한 사업연도를 기준으로 삼습니다.
근거
유권해석 및 법인세법 시행령 제13조 제1호가 근거가 됩니다.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요지

특정외국법인으로부터 「법인세법」 제16조제1항제1호에 따라 배당금 또는 분배금으로 보는 금액을 받은 것으로 보는 경우, 같은 법 시행령 제18조제2항 본문에서의 특정외국법인의 ⁠‘해당 사업연도’는 같은 영 제13조제1호에 따른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를 의미하는 것임

회신

특정외국법인으로부터 「법인세법」 제16조제1항제1호에 따라 배당금 또는 분배금으로 보는 금액을 받은 것으로 보는 경우, 같은 법 시행령 제18조제2항 본문에서의 특정외국법인의 ⁠‘해당 사업연도’는 같은 영 제13조제1호에 따른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를 의미하는 것임

1. 사실관계

○ A법인은 해외소재 지주회사인 A법인 지분을 100% 소유하고 있음

- A법인은 보유 중인 또 다른 해외자회사인 B법인의 주식을 질의법인에게 감자대가로 지급하는 현물유상감자를 진행할 계획임

- 상기 현물유상감자로 질의법인에게 귀속하는 법인세법 제16조제1항제1호에 따른 의제배당 발생하는 경우,

- 해당 의제배당금액이 법인세법 제18조의4에 따른 외국자회사 수입배당금액의 익금불산입 적용대상인지 판단하고자 함

2. 질의요지

○외국자회사의 의제배당금액에 대해 「법인세법 시행령」 제18조 제2항에 따른 외국자회사 수입배당금액의 익금불산입 적용함에 있어,

- 해당 외국자회사의 실제부담세액이 실제발생소득의 15퍼센트 이하인 특정외국법인의 판단기준이 되는 ⁠“해당 사업연도”의 의미

① 의제배당 귀속시기(=감자결의일)가 ⁠“속하는” 사업연도

② 의제배당 귀속시기가 속하는 사업연도의 ⁠“직전” 사업연도

3. 관련법령

법인세법 제18조의4【외국자회사 수입배당금액의 익금불산입】

① 내국법인(제57조의2제1항에 따른 간접투자회사등은 제외한다)이 해당 법인이 출자한 외국자회사[내국법인이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 또는 출자총액의 100분의 10(「조세특례제한법」 제22조에 따른 해외자원개발사업을 하는 외국법인의 경우에는 100분의 5) 이상을 출자하고 있는 외국법인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요건을 갖춘 법인을 말한다. 이하 이 조 및 제41조에서 같다]로부터 받은 이익의 배당금 또는 잉여금의 분배금과 제16조에 따라 배당금 또는 분배금으로 보는 금액(이하 이 조에서 "수입배당금액"이라 한다)의 100분의 95에 해당하는 금액은 각 사업연도의 소득금액을 계산할 때 익금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④ 제1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금액은 각 사업연도의 소득금액을 계산할 때 익금에 산입한다.

1.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 제27조제1항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특정외국법인으로부터 받은 수입배당금액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수입배당금액

법인세법 시행령 제18조【외국자회사 수입배당금액의 익금불산입】

② 법 제18조의4제4항제1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수입배당금액"이란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 제27조제1항이 적용되는 특정외국법인 중 같은 항 제1호에 따른 실제부담세액이 실제발생소득의 15퍼센트 이하인 특정외국법인의 해당 사업연도에 대한 다음 각 호의 금액을 말한다. 다만, ⁠「해외자원개발 사업법」에 따른 해외자원개발사업자(이하 제19조의2에서 "해외자원개발사업자"라 한다)가 같은 법에 따른 해외자원개발(이하 제19조의2에서 "해외자원개발"이라 한다)을 위해 「조세특례제한법」 제104조의15제1항제2호에 따라 외국법인에 출자하거나 같은 항 제3호에 따라 외국자회사에 투자를 하는 경우에는 그 외국법인 또는 외국자회사의 해당 사업연도에 대한 다음 각 호의 금액은 제외한다.

1. 이익잉여금 처분액 중 이익의 배당금(해당 사업연도 중에 있었던 이익잉여금 처분에 의한 중간배당을 포함한다) 또는 잉여금의 분배금

2. 법 제16조에 따라 배당금 또는 분배금으로 보는 금액

법인세법 제16조【배당금 또는 분배금의 의제】

① 다음 각 호의 금액은 다른 법인의 주주 또는 출자자(이하 "주주등"이라 한다)인 내국법인의 각 사업연도의 소득금액을 계산할 때 그 다른 법인으로부터 이익을 배당받았거나 잉여금을 분배받은 금액으로 본다.

1. 주식의 소각, 자본의 감소, 사원의 퇴사ㆍ탈퇴 또는 출자의 감소로 인하여 주주등인 내국법인이 취득하는 금전과 그 밖의 재산가액의 합계액이 해당 주식 또는 출자지분(이하 "주식등"이라 한다)을 취득하기 위하여 사용한 금액을 초과하는 금액

2. 법인의 잉여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자본이나 출자에 전입(轉入)함으로써 주주등인 내국법인이 취득하는 주식등의 가액.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금액을 자본에 전입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가. 「상법」 제459조제1항에 따른 자본준비금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나. ⁠「자산재평가법」에 따른 재평가적립금(같은 법 제13조제1항제1호에 따른 토지의 재평가차액에 상당하는 금액은 제외한다)

3. 법인이 자기주식 또는 자기출자지분을 보유한 상태에서 제2호 각 목에 따른 자본전입을 함에 따라 그 법인 외의 주주등인 내국법인의 지분 비율이 증가한 경우 증가한 지분 비율에 상당하는 주식등의 가액

4. 해산한 법인의 주주등(법인으로 보는 단체의 구성원을 포함한다)인 내국법인이 법인의 해산으로 인한 잔여재산의 분배로서 취득하는 금전과 그 밖의 재산의 가액이 그 주식등을 취득하기 위하여 사용한 금액을 초과하는 금액

5. 피합병법인의 주주등인 내국법인이 취득하는 합병대가가 그 피합병법인의 주식등을 취득하기 위하여 사용한 금액을 초과하는 금액

6. 분할법인 또는 소멸한 분할합병의 상대방 법인의 주주인 내국법인이 취득하는 분할대가가 그 분할법인 또는 소멸한 분할합병의 상대방 법인의 주식(분할법인이 존속하는 경우에는 소각 등에 의하여 감소된 주식만 해당한다)을 취득하기 위하여 사용한 금액을 초과하는 금액

③ 제1항을 적용할 때 이익의 배당 또는 잉여금의 분배 시기, 주식등 재산가액의 평가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법인세법 시행령 제13조【배당 또는 분배의제의 시기】

법 제16조제1항에 따라 이익을 배당받았거나 잉여금을 분배받은 날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날로 한다.

1. 법 제16조제1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경우: 그 주주총회ㆍ사원총회 또는 이사회에서 주식의 소각, 자본 또는 출자의 감소, 잉여금의 자본 또는 출자에의 전입을 결의한 날(이사회의 결의에 의하는 경우에는 「상법」 제461조제3항에 따라 정한 날을 말한다. 다만, 주식의 소각, 자본 또는 출자의 감소를 결의한 날의 주주와 「상법」 제354조에 따른 기준일의 주주가 다른 경우에는 같은 조에 따른 기준일을 말한다) 또는 사원이 퇴사ㆍ탈퇴한 날

2. 법 제16조제1항제4호의 경우: 해당 법인의 잔여재산가액이 확정된 날

3. 법 제16조제1항제5호의 경우: 해당 법인의 합병등기일

4. 법 제16조제1항제6호의 경우: 해당 법인의 분할등기일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 제27조【특정외국법인의 유보소득 배당간주】

①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외국법인(이하 "특정외국법인"이라 한다)에 대하여 내국인이 출자한 경우에는 특정외국법인의 각 사업연도 말 현재 배당 가능한 유보소득(留保所得) 중 내국인에게 귀속될 금액은 내국인이 배당받은 것으로 본다.

1. 본점, 주사무소 또는 실질적 관리장소를 둔 국가 또는 지역에서의 실제부담세액이 다음 계산식에 따라 산출한 금액 이하일 것

    

외국법인의 실제발생소득 × ⁠「법인세법」제55조에 따른 세율 중 최고세율의 70퍼센트

2. 해당 법인에 출자한 내국인과 특수관계(제2조제1항제3호가목의 관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때에는 내국인의 친족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가 직접 또는 간접으로 보유하는 주식을 포함한다)에 있을 것

④ 제1항제1호에 따른 특정외국법인의 실제부담세액 및 실제발생소득의 범위 등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출처 : 국세청 2025. 07. 23. 서면-2024-법규국조-3783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유권해석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특정외국법인 의제배당 시 '해당 사업연도' 해석

서면-2024-법규국조-3783  ·  2025. 07. 23.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특정외국법인으로부터 의제배당을 받은 경우, 법인세법 시행령 제18조 제2항에서 말하는 특정외국법인의 '해당 사업연도'는 어느 사업연도를 의미하나요?

S요약

특정외국법인으로부터 의제배당을 받은 경우, 해당 사업연도의 기준은 감자결의일 등 의제배당 귀속시기가 속하는 사업연도로 본다는 유권해석입니다. 외국자회사 수입배당금액의 익금불산입 적용 판단 시, 특정외국법인의 실제부담세액 판단 역시 해당 시점을 기준으로 삼습니다.
#특정외국법인 #의제배당 #해당사업연도 #법인세법 #시행령제13조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서면-2024-법규국조-3783  ·  2025. 07. 23.

  • 국세청 서면-2024-법규국조-3783(2025-07-23) 회신에 따르면,
  • 특정외국법인으로부터 법인세법 제16조제1항제1호에 따른 의제배당을 받은 경우, 시행령 제18조 제2항의 특정외국법인 '해당 사업연도'란 시행령 제13조제1호에 따른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를 의미한다고 판단하였습니다.
  • 즉, 의제배당의 귀속시기(감자결의일 등)가 속하는 사업연도를 해당 사업연도로 보아, 실제부담세액 및 실제발생소득 판정 역시 이 시점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타당함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 이는 외국자회사 수입배당금액의 익금불산입 적용대상 판단시 중요한 기준이 됨을 재확인하였습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법인세법 제18조의4: 외국자회사로부터 받은 이익의 배당금 또는 의제배당금의 95%까지 익금불산입 규정
  • 법인세법 시행령 제18조 제2항: 실제부담세액이 실제발생소득의 15% 이하인 특정외국법인의 해당 사업연도 배당금 등 익금산입 규정
  • 법인세법 제16조: 의제배당의 범위 및 조건 명시
  • 법인세법 시행령 제13조: 의제배당 시기, 감자 결의일 등으로 귀속시기 명확화
  •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 제27조: 특정외국법인 유보소득 배당 간주 및 실제부담세액 산출기준
사례 Q&A
1. 특정외국법인 의제배당 해당 사업연도 기준이 무엇인가요?
답변
의제배당의 귀속시기(예: 감자결의일)가 속하는 사업연도를 해당 사업연도로 봅니다.
근거
국세청 유권해석과 법인세법 시행령 제13조의 관련 규정에 근거합니다.
2. 법인세법상 외국자회사 수입배당 익금불산입 판단 기준 연도는?
답변
의제배당 등 배당귀속 시점이 속하는 사업연도가 기준입니다.
근거
국세청 회신과 시행령 제18조 제2항의 해석에 따라 적용됩니다.
3. 실제부담세액 등 특정외국법인 요건 판단 연도는 언제인가요?
답변
감자결의일 등 의제배당 발생 시기가 속한 사업연도를 기준으로 삼습니다.
근거
유권해석 및 법인세법 시행령 제13조 제1호가 근거가 됩니다.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요지

특정외국법인으로부터 「법인세법」 제16조제1항제1호에 따라 배당금 또는 분배금으로 보는 금액을 받은 것으로 보는 경우, 같은 법 시행령 제18조제2항 본문에서의 특정외국법인의 ⁠‘해당 사업연도’는 같은 영 제13조제1호에 따른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를 의미하는 것임

회신

특정외국법인으로부터 「법인세법」 제16조제1항제1호에 따라 배당금 또는 분배금으로 보는 금액을 받은 것으로 보는 경우, 같은 법 시행령 제18조제2항 본문에서의 특정외국법인의 ⁠‘해당 사업연도’는 같은 영 제13조제1호에 따른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를 의미하는 것임

1. 사실관계

○ A법인은 해외소재 지주회사인 A법인 지분을 100% 소유하고 있음

- A법인은 보유 중인 또 다른 해외자회사인 B법인의 주식을 질의법인에게 감자대가로 지급하는 현물유상감자를 진행할 계획임

- 상기 현물유상감자로 질의법인에게 귀속하는 법인세법 제16조제1항제1호에 따른 의제배당 발생하는 경우,

- 해당 의제배당금액이 법인세법 제18조의4에 따른 외국자회사 수입배당금액의 익금불산입 적용대상인지 판단하고자 함

2. 질의요지

○외국자회사의 의제배당금액에 대해 「법인세법 시행령」 제18조 제2항에 따른 외국자회사 수입배당금액의 익금불산입 적용함에 있어,

- 해당 외국자회사의 실제부담세액이 실제발생소득의 15퍼센트 이하인 특정외국법인의 판단기준이 되는 ⁠“해당 사업연도”의 의미

① 의제배당 귀속시기(=감자결의일)가 ⁠“속하는” 사업연도

② 의제배당 귀속시기가 속하는 사업연도의 ⁠“직전” 사업연도

3. 관련법령

법인세법 제18조의4【외국자회사 수입배당금액의 익금불산입】

① 내국법인(제57조의2제1항에 따른 간접투자회사등은 제외한다)이 해당 법인이 출자한 외국자회사[내국법인이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 또는 출자총액의 100분의 10(「조세특례제한법」 제22조에 따른 해외자원개발사업을 하는 외국법인의 경우에는 100분의 5) 이상을 출자하고 있는 외국법인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요건을 갖춘 법인을 말한다. 이하 이 조 및 제41조에서 같다]로부터 받은 이익의 배당금 또는 잉여금의 분배금과 제16조에 따라 배당금 또는 분배금으로 보는 금액(이하 이 조에서 "수입배당금액"이라 한다)의 100분의 95에 해당하는 금액은 각 사업연도의 소득금액을 계산할 때 익금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④ 제1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금액은 각 사업연도의 소득금액을 계산할 때 익금에 산입한다.

1.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 제27조제1항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특정외국법인으로부터 받은 수입배당금액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수입배당금액

법인세법 시행령 제18조【외국자회사 수입배당금액의 익금불산입】

② 법 제18조의4제4항제1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수입배당금액"이란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 제27조제1항이 적용되는 특정외국법인 중 같은 항 제1호에 따른 실제부담세액이 실제발생소득의 15퍼센트 이하인 특정외국법인의 해당 사업연도에 대한 다음 각 호의 금액을 말한다. 다만, ⁠「해외자원개발 사업법」에 따른 해외자원개발사업자(이하 제19조의2에서 "해외자원개발사업자"라 한다)가 같은 법에 따른 해외자원개발(이하 제19조의2에서 "해외자원개발"이라 한다)을 위해 「조세특례제한법」 제104조의15제1항제2호에 따라 외국법인에 출자하거나 같은 항 제3호에 따라 외국자회사에 투자를 하는 경우에는 그 외국법인 또는 외국자회사의 해당 사업연도에 대한 다음 각 호의 금액은 제외한다.

1. 이익잉여금 처분액 중 이익의 배당금(해당 사업연도 중에 있었던 이익잉여금 처분에 의한 중간배당을 포함한다) 또는 잉여금의 분배금

2. 법 제16조에 따라 배당금 또는 분배금으로 보는 금액

법인세법 제16조【배당금 또는 분배금의 의제】

① 다음 각 호의 금액은 다른 법인의 주주 또는 출자자(이하 "주주등"이라 한다)인 내국법인의 각 사업연도의 소득금액을 계산할 때 그 다른 법인으로부터 이익을 배당받았거나 잉여금을 분배받은 금액으로 본다.

1. 주식의 소각, 자본의 감소, 사원의 퇴사ㆍ탈퇴 또는 출자의 감소로 인하여 주주등인 내국법인이 취득하는 금전과 그 밖의 재산가액의 합계액이 해당 주식 또는 출자지분(이하 "주식등"이라 한다)을 취득하기 위하여 사용한 금액을 초과하는 금액

2. 법인의 잉여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자본이나 출자에 전입(轉入)함으로써 주주등인 내국법인이 취득하는 주식등의 가액.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금액을 자본에 전입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가. 「상법」 제459조제1항에 따른 자본준비금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나. ⁠「자산재평가법」에 따른 재평가적립금(같은 법 제13조제1항제1호에 따른 토지의 재평가차액에 상당하는 금액은 제외한다)

3. 법인이 자기주식 또는 자기출자지분을 보유한 상태에서 제2호 각 목에 따른 자본전입을 함에 따라 그 법인 외의 주주등인 내국법인의 지분 비율이 증가한 경우 증가한 지분 비율에 상당하는 주식등의 가액

4. 해산한 법인의 주주등(법인으로 보는 단체의 구성원을 포함한다)인 내국법인이 법인의 해산으로 인한 잔여재산의 분배로서 취득하는 금전과 그 밖의 재산의 가액이 그 주식등을 취득하기 위하여 사용한 금액을 초과하는 금액

5. 피합병법인의 주주등인 내국법인이 취득하는 합병대가가 그 피합병법인의 주식등을 취득하기 위하여 사용한 금액을 초과하는 금액

6. 분할법인 또는 소멸한 분할합병의 상대방 법인의 주주인 내국법인이 취득하는 분할대가가 그 분할법인 또는 소멸한 분할합병의 상대방 법인의 주식(분할법인이 존속하는 경우에는 소각 등에 의하여 감소된 주식만 해당한다)을 취득하기 위하여 사용한 금액을 초과하는 금액

③ 제1항을 적용할 때 이익의 배당 또는 잉여금의 분배 시기, 주식등 재산가액의 평가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법인세법 시행령 제13조【배당 또는 분배의제의 시기】

법 제16조제1항에 따라 이익을 배당받았거나 잉여금을 분배받은 날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날로 한다.

1. 법 제16조제1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경우: 그 주주총회ㆍ사원총회 또는 이사회에서 주식의 소각, 자본 또는 출자의 감소, 잉여금의 자본 또는 출자에의 전입을 결의한 날(이사회의 결의에 의하는 경우에는 「상법」 제461조제3항에 따라 정한 날을 말한다. 다만, 주식의 소각, 자본 또는 출자의 감소를 결의한 날의 주주와 「상법」 제354조에 따른 기준일의 주주가 다른 경우에는 같은 조에 따른 기준일을 말한다) 또는 사원이 퇴사ㆍ탈퇴한 날

2. 법 제16조제1항제4호의 경우: 해당 법인의 잔여재산가액이 확정된 날

3. 법 제16조제1항제5호의 경우: 해당 법인의 합병등기일

4. 법 제16조제1항제6호의 경우: 해당 법인의 분할등기일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 제27조【특정외국법인의 유보소득 배당간주】

①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외국법인(이하 "특정외국법인"이라 한다)에 대하여 내국인이 출자한 경우에는 특정외국법인의 각 사업연도 말 현재 배당 가능한 유보소득(留保所得) 중 내국인에게 귀속될 금액은 내국인이 배당받은 것으로 본다.

1. 본점, 주사무소 또는 실질적 관리장소를 둔 국가 또는 지역에서의 실제부담세액이 다음 계산식에 따라 산출한 금액 이하일 것

    

외국법인의 실제발생소득 × ⁠「법인세법」제55조에 따른 세율 중 최고세율의 70퍼센트

2. 해당 법인에 출자한 내국인과 특수관계(제2조제1항제3호가목의 관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때에는 내국인의 친족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가 직접 또는 간접으로 보유하는 주식을 포함한다)에 있을 것

④ 제1항제1호에 따른 특정외국법인의 실제부담세액 및 실제발생소득의 범위 등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출처 : 국세청 2025. 07. 23. 서면-2024-법규국조-3783 | 국세법령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