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동물용의료기기 시설투자 세액공제 적용 요건

서면-2018-법인-3412[법인세과-3078]  ·  2020. 08. 26.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동물용의약품에서 동물용의료기기로 분류된 체외진단용 검사시약 제조 및 품질관리 시설 개선 투자금에 대해 조세특례제한법 제25조의4에 따른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지요?

S요약

동물용의료기기(체외진단용 시약) 제조 및 품질관리 시설 개선에 투자하였더라도, 해당 시설이 의약품 및 생물학적 제제 등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의 적용대상이 아니면 조세특례제한법 제25조의4에 따른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적용대상 여부는 약사법 및 의약품 등 안전에 관한 규칙에 따라 판단됩니다.
#동물용의료기기 #체외진단용 시약 #제조시설 투자 #시설 개선 #세액공제 #조세특례제한법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서면-2018-법인-3412[법인세과-3078]  ·  2020. 08. 26.

  • 국세청 서면-2018-법인-3412[법인세과-3078](2020.08.26) 회신에 따르면 동물용의료기기로 분류된 동물용 체외진단용 검사시약의 제조 및 품질관리 시설 개선 투자금은 관련 요건 충족 시에 한하여 조세특례제한법 제25조의4에 따른 세액공제 적용이 판단됩니다.
  • 해당 시설이 의약품 및 생물학적 제제 등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의 적용대상이 아니면 세액공제가 불가하다고 회신하고 있습니다.
  • 시설이 적용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약사법 및 의약품 등 안전에 관한 규칙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고 명확히 안내되어 있습니다.
  • 기존 관련 해석례(서면-2015-법인-0153, 기획재정부 조세특례제도과-722 등)에서도,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의 적용대상이 되는 시설에 한해 세액공제가 가능하다고 유사하게 안내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동물용의료기기 중 체외진단용 시약에 대한 시설 투자라 하더라도, 위 규정의 적용대상이 아닌 경우 세액공제는 불인정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합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조세특례제한법 제25조의4: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규정.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 투자시 세액공제 허용.
  •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22조의8: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의 범위와 관련 기업 및 세액공제 신청 절차 규정.
  • 조세특례제한법 시행규칙 제13조의7: 품질관리 기준 적용 대상 시설은 의약품 등 안전에 관한 규칙 별표 1·3의 기준을 따라야 함.
  • 의료기기법 제2조: 의료기기 및 동물용의료기기의 정의 규정.
  • 의료기기법 제46조: 동물용의료기기에 대한 특례(소관 변경 등) 규정.
  • 약사법 제2조: 의약품의 정의, 체외진단용 시약의 법적 범위 명확화.
  • 동물용의료기기의 범위 및 지정 등에 관한 규정: 동물용 체외진단용 시약의 분류 근거.
사례 Q&A
1. 동물용 체외진단용 시약 제조시설도 의약품 품질관리 시설 세액공제 받을 수 있나요?
답변
동물용 체외진단용 시약 제조시설의 경우, 의약품 및 생물학적제제 등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의 적용대상이 되는 시설에만 세액공제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근거
국세청 2020-08-26 회신 및 조세특례제한법 제25조의4에서는 적용대상 시설 기준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2. 동물용의료기기 시설 개선 투자도 조세특례제한법상 세액공제 가능한가요?
답변
해당 시설이 의약품 및 생물학적 제제 등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적용대상일 때만 세액공제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근거
관련 해석례 및 조세특례제한법 시행규칙 제13조의7에서 이 요건을 명확히 밝히고 있습니다.
3. 의약품 기준 적용 여부는 누가 어떤 법으로 판단하나요?
답변
약사법 및 의약품 등 안전에 관한 규칙에 따라 적용대상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고 안내되어 있습니다.
근거
국세청 공식 답변에서 약사법 및 의약품 등 안전에 관한 규칙을 준수해 판단해야 한다고 명시하였습니다.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요지

동물용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 시설 개선을 위해 투자한 시설 중 의약품 및 생물학적제제 등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의 적용대상 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세액공제 불가

회신

내국법인이「의료기기법」 및 ⁠「동물용의료기기의 범위 및 지정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동물용의료기기로 분류되는 동물용 체외진단용 검사시약의 제조 및 품질관리 시설 개선을 위해 투자한 금액은 ⁠「조세특례제한법」제25조의4에 따른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없는 것입니다.
다만, 당해 투자시설이 의약품 및 생물학적 제제 등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의 적용대상이 되는 시설에 해당하는지는「약사법」및「의약품 등 안전에 관한 규칙」에 따라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1. 사실관계

 ○ 질의법인은 생물학적 제제를 사용하여 체외진단시약을 제조하는 업체로서,

   - 주로 동물용 의약품을 중심으로 제조, 판매하고, 인체용 의약품 제조, 판매를 겸업하고 있음

   - 질의법인은 동물용의약품에서 동물용의료기기로 분류 변경된 체외진단용 검사시약의 제조 및 품질관리 시설 개선 및 질병관리본부에서 승인한 생물학적 안전시설 3등급 연구시설에 투자하였음

2. 질의내용

 ○동물용의약품에서 동물용의료기기로 분류 변경된 체외진단용 검사시약의 제조 및 품질관리 시설 개선을 위해 투자한 비용에 대하여「조세특례제한법」제25조의4에 따른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는지 여부

3. 관련법령

조세특례제한법 제25조의4【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① 내국인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에 2019년 12월 31일까지 투자(중고품 및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리스에 의한 투자는 제외한다)하는 경우에는 그 투자금액의 100분의 1(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중견기업의 경우에는 100분의 3,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100분의 6)에 상당하는 금액을 소득세(사업소득에 대한 소득세만 해당한다) 또는 법인세에서 공제한다. 이 경우 세액공제의 방법은 제25조제1항, 제3항 및 제4항의 규정을 준용한다.

 ② 제1항을 적용받으려는 내국인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세액공제신청을 하여야 한다.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22조의 8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의 범위 등】

  ① 법 제25조의4제1항 전단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이란 품질이 우수한 의약품을 제조하거나 공급하기 위한 시설로서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② 법 제25조의4제1항 전단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중견기업"이란 제4조제1항에 따른 중견기업을 말한다.

   ③ 법 제25조의4제1항을 적용받으려는 자는 투자완료일이 속하는 과세연도에 과세표준신고와 함께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세액공제신청서를 납세지 관할 세무서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조세특례제한법 시행규칙 제13조의 7 【의약품 등 품질관리 개선시설의 범위】

   영 제22조의8제1항에서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것"이란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 별표 1 및 별표 3에 따른 의약품 및 생물학적제제 등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의 적용대상이 되는 시설(토지는 제외한다)을 말한다.

의료기기법 제2조【정의

 ① 이 법에서 "의료기기"란 사람이나 동물에게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되는 기구ㆍ기계ㆍ장치ㆍ재료ㆍ소프트웨어 또는 이와 유사한 제품으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품을 말한다. 다만, ⁠「약사법」에 따른 의약품과 의약외품 및 「장애인복지법」 제65조에 따른 장애인보조기구 중 의지(義肢)ㆍ보조기(補助器)는 제외한다.

   1. 질병을 진단ㆍ치료ㆍ경감ㆍ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2. 상해(傷害) 또는 장애를 진단ㆍ치료ㆍ경감 또는 보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3. 구조 또는 기능을 검사ㆍ대체 또는 변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4. 임신을 조절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이하 생략)

의료기기법 제46조【동물용의료기기에 대한 특례

  이 법에 따른 보건복지부장관 및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의 소관 사항 중 동물용으로 전용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기기에 관하여는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의 소관으로 하며, 이 법의 해당 규정 중 "보건복지부장관" 또는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농림축산식품부장관"으로, "총리령" 또는 "보건복지부령"은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본다. 이 경우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농림축산식품부령을 정할 때에는 미리 보건복지부장관 또는 식품의약품안전처장과 협의하여야 한다.

약사법 제2조 【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3. ⁠(생략)

  4. "의약품"이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을 말한다.

   가. 대한민국약전(大韓民國藥典)에 실린 물품 중 의약외품이 아닌 것

   나.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치료·경감·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다.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藥理學的)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이하 생략)

동물용의료기기의 범위 및 지정 등에 관한 규정【별표1】동물용의료기기의 범위 및 등급분류

  1.~2. ⁠(생략)

  3. 동물용 체외진단용 시약

  (이하 생략)

4. 관련사례

○ 서면-2015-법인-0153, 2015.5.29.

 의료기기 제조업을 영위하는 내국법인이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적합 인정을 받기 위해 투자한 시설이「의약품 등 안전에 관한 규칙」별표1 및 별표3에 따른 의약품 및 생물학적 제제 등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의 적용대상이 되는 시설(토지는 제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경우 그 투자금액은 ⁠「조세특례제한법」제25조의4에 따른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없는 것임. 다만, 귀 세법해석 사전답변 신청의 시설이 의약품 및 생물학적 제제 등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의 적용대상이 되는 시설에 해당하는지는「약사법」및「의약품 등 안전에 관한 규칙」에 따라 판단하시기 바람

○ 기획재정부 조세특례제도과-722, 2017.9.25.

내국인이 의약외품(醫藥外品)의 제조 및 품질관리 개선시설에 투자하는 금액은「조세특례제한법」 제25조의4에 따른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없는 것임

○ 서면법규과-1385, 2013.12.20.

  「조세특례제한법」제25조의4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적용할 때 투자금액의 범위에는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에 대한 건축비 외에 「법인세법 시행령」제72조제2항에 따라 해당시설의 취득가액으로 계상되는 기타 부대비용을 포함하는 것이며, 기계장치와 공기구에 투자한 금액이 같은 법에 따른 세액공제 대상인지는 「약사법 시행규칙」에 따라 판단하시기 바람

출처 : 국세청 2020. 08. 26. 서면-2018-법인-3412[법인세과-3078]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유권해석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동물용의료기기 시설투자 세액공제 적용 요건

서면-2018-법인-3412[법인세과-3078]  ·  2020. 08. 26.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동물용의약품에서 동물용의료기기로 분류된 체외진단용 검사시약 제조 및 품질관리 시설 개선 투자금에 대해 조세특례제한법 제25조의4에 따른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지요?

S요약

동물용의료기기(체외진단용 시약) 제조 및 품질관리 시설 개선에 투자하였더라도, 해당 시설이 의약품 및 생물학적 제제 등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의 적용대상이 아니면 조세특례제한법 제25조의4에 따른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적용대상 여부는 약사법 및 의약품 등 안전에 관한 규칙에 따라 판단됩니다.
#동물용의료기기 #체외진단용 시약 #제조시설 투자 #시설 개선 #세액공제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서면-2018-법인-3412[법인세과-3078]  ·  2020. 08. 26.

  • 국세청 서면-2018-법인-3412[법인세과-3078](2020.08.26) 회신에 따르면 동물용의료기기로 분류된 동물용 체외진단용 검사시약의 제조 및 품질관리 시설 개선 투자금은 관련 요건 충족 시에 한하여 조세특례제한법 제25조의4에 따른 세액공제 적용이 판단됩니다.
  • 해당 시설이 의약품 및 생물학적 제제 등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의 적용대상이 아니면 세액공제가 불가하다고 회신하고 있습니다.
  • 시설이 적용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약사법 및 의약품 등 안전에 관한 규칙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고 명확히 안내되어 있습니다.
  • 기존 관련 해석례(서면-2015-법인-0153, 기획재정부 조세특례제도과-722 등)에서도,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의 적용대상이 되는 시설에 한해 세액공제가 가능하다고 유사하게 안내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동물용의료기기 중 체외진단용 시약에 대한 시설 투자라 하더라도, 위 규정의 적용대상이 아닌 경우 세액공제는 불인정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합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조세특례제한법 제25조의4: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규정.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 투자시 세액공제 허용.
  •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22조의8: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의 범위와 관련 기업 및 세액공제 신청 절차 규정.
  • 조세특례제한법 시행규칙 제13조의7: 품질관리 기준 적용 대상 시설은 의약품 등 안전에 관한 규칙 별표 1·3의 기준을 따라야 함.
  • 의료기기법 제2조: 의료기기 및 동물용의료기기의 정의 규정.
  • 의료기기법 제46조: 동물용의료기기에 대한 특례(소관 변경 등) 규정.
  • 약사법 제2조: 의약품의 정의, 체외진단용 시약의 법적 범위 명확화.
  • 동물용의료기기의 범위 및 지정 등에 관한 규정: 동물용 체외진단용 시약의 분류 근거.
사례 Q&A
1. 동물용 체외진단용 시약 제조시설도 의약품 품질관리 시설 세액공제 받을 수 있나요?
답변
동물용 체외진단용 시약 제조시설의 경우, 의약품 및 생물학적제제 등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의 적용대상이 되는 시설에만 세액공제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근거
국세청 2020-08-26 회신 및 조세특례제한법 제25조의4에서는 적용대상 시설 기준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2. 동물용의료기기 시설 개선 투자도 조세특례제한법상 세액공제 가능한가요?
답변
해당 시설이 의약품 및 생물학적 제제 등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적용대상일 때만 세액공제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근거
관련 해석례 및 조세특례제한법 시행규칙 제13조의7에서 이 요건을 명확히 밝히고 있습니다.
3. 의약품 기준 적용 여부는 누가 어떤 법으로 판단하나요?
답변
약사법 및 의약품 등 안전에 관한 규칙에 따라 적용대상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고 안내되어 있습니다.
근거
국세청 공식 답변에서 약사법 및 의약품 등 안전에 관한 규칙을 준수해 판단해야 한다고 명시하였습니다.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요지

동물용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 시설 개선을 위해 투자한 시설 중 의약품 및 생물학적제제 등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의 적용대상 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세액공제 불가

회신

내국법인이「의료기기법」 및 ⁠「동물용의료기기의 범위 및 지정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동물용의료기기로 분류되는 동물용 체외진단용 검사시약의 제조 및 품질관리 시설 개선을 위해 투자한 금액은 ⁠「조세특례제한법」제25조의4에 따른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없는 것입니다.
다만, 당해 투자시설이 의약품 및 생물학적 제제 등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의 적용대상이 되는 시설에 해당하는지는「약사법」및「의약품 등 안전에 관한 규칙」에 따라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1. 사실관계

 ○ 질의법인은 생물학적 제제를 사용하여 체외진단시약을 제조하는 업체로서,

   - 주로 동물용 의약품을 중심으로 제조, 판매하고, 인체용 의약품 제조, 판매를 겸업하고 있음

   - 질의법인은 동물용의약품에서 동물용의료기기로 분류 변경된 체외진단용 검사시약의 제조 및 품질관리 시설 개선 및 질병관리본부에서 승인한 생물학적 안전시설 3등급 연구시설에 투자하였음

2. 질의내용

 ○동물용의약품에서 동물용의료기기로 분류 변경된 체외진단용 검사시약의 제조 및 품질관리 시설 개선을 위해 투자한 비용에 대하여「조세특례제한법」제25조의4에 따른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는지 여부

3. 관련법령

조세특례제한법 제25조의4【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① 내국인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에 2019년 12월 31일까지 투자(중고품 및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리스에 의한 투자는 제외한다)하는 경우에는 그 투자금액의 100분의 1(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중견기업의 경우에는 100분의 3,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100분의 6)에 상당하는 금액을 소득세(사업소득에 대한 소득세만 해당한다) 또는 법인세에서 공제한다. 이 경우 세액공제의 방법은 제25조제1항, 제3항 및 제4항의 규정을 준용한다.

 ② 제1항을 적용받으려는 내국인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세액공제신청을 하여야 한다.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22조의 8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의 범위 등】

  ① 법 제25조의4제1항 전단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이란 품질이 우수한 의약품을 제조하거나 공급하기 위한 시설로서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② 법 제25조의4제1항 전단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중견기업"이란 제4조제1항에 따른 중견기업을 말한다.

   ③ 법 제25조의4제1항을 적용받으려는 자는 투자완료일이 속하는 과세연도에 과세표준신고와 함께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세액공제신청서를 납세지 관할 세무서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조세특례제한법 시행규칙 제13조의 7 【의약품 등 품질관리 개선시설의 범위】

   영 제22조의8제1항에서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것"이란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 별표 1 및 별표 3에 따른 의약품 및 생물학적제제 등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의 적용대상이 되는 시설(토지는 제외한다)을 말한다.

의료기기법 제2조【정의

 ① 이 법에서 "의료기기"란 사람이나 동물에게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되는 기구ㆍ기계ㆍ장치ㆍ재료ㆍ소프트웨어 또는 이와 유사한 제품으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품을 말한다. 다만, ⁠「약사법」에 따른 의약품과 의약외품 및 「장애인복지법」 제65조에 따른 장애인보조기구 중 의지(義肢)ㆍ보조기(補助器)는 제외한다.

   1. 질병을 진단ㆍ치료ㆍ경감ㆍ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2. 상해(傷害) 또는 장애를 진단ㆍ치료ㆍ경감 또는 보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3. 구조 또는 기능을 검사ㆍ대체 또는 변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4. 임신을 조절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이하 생략)

의료기기법 제46조【동물용의료기기에 대한 특례

  이 법에 따른 보건복지부장관 및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의 소관 사항 중 동물용으로 전용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기기에 관하여는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의 소관으로 하며, 이 법의 해당 규정 중 "보건복지부장관" 또는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농림축산식품부장관"으로, "총리령" 또는 "보건복지부령"은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본다. 이 경우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농림축산식품부령을 정할 때에는 미리 보건복지부장관 또는 식품의약품안전처장과 협의하여야 한다.

약사법 제2조 【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3. ⁠(생략)

  4. "의약품"이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을 말한다.

   가. 대한민국약전(大韓民國藥典)에 실린 물품 중 의약외품이 아닌 것

   나.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치료·경감·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다.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藥理學的)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이하 생략)

동물용의료기기의 범위 및 지정 등에 관한 규정【별표1】동물용의료기기의 범위 및 등급분류

  1.~2. ⁠(생략)

  3. 동물용 체외진단용 시약

  (이하 생략)

4. 관련사례

○ 서면-2015-법인-0153, 2015.5.29.

 의료기기 제조업을 영위하는 내국법인이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적합 인정을 받기 위해 투자한 시설이「의약품 등 안전에 관한 규칙」별표1 및 별표3에 따른 의약품 및 생물학적 제제 등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의 적용대상이 되는 시설(토지는 제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경우 그 투자금액은 ⁠「조세특례제한법」제25조의4에 따른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없는 것임. 다만, 귀 세법해석 사전답변 신청의 시설이 의약품 및 생물학적 제제 등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의 적용대상이 되는 시설에 해당하는지는「약사법」및「의약품 등 안전에 관한 규칙」에 따라 판단하시기 바람

○ 기획재정부 조세특례제도과-722, 2017.9.25.

내국인이 의약외품(醫藥外品)의 제조 및 품질관리 개선시설에 투자하는 금액은「조세특례제한법」 제25조의4에 따른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없는 것임

○ 서면법규과-1385, 2013.12.20.

  「조세특례제한법」제25조의4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적용할 때 투자금액의 범위에는 의약품 품질관리 개선시설에 대한 건축비 외에 「법인세법 시행령」제72조제2항에 따라 해당시설의 취득가액으로 계상되는 기타 부대비용을 포함하는 것이며, 기계장치와 공기구에 투자한 금액이 같은 법에 따른 세액공제 대상인지는 「약사법 시행규칙」에 따라 판단하시기 바람

출처 : 국세청 2020. 08. 26. 서면-2018-법인-3412[법인세과-3078] | 국세법령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