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즉시 상담을 받아보세요!
* 연중무휴, 24시간 상담 가능

근로소득 연말정산 경정청구 가능 시점과 기한

서면-2023-징세-3929  ·  2024. 06. 14.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연말정산된 근로소득만 있는 원천징수대상자는 경정청구를 언제까지 할 수 있습니까?

S요약

연말정산된 근로소득만 있는 원천징수대상자는 별도의 소득세 확정신고를 하지 않아도 연말정산세액의 납부기한이 지난 후 5년 이내에 경정청구가 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근로소득 #연말정산 #경정청구 #원천징수대상자 #납부기한 #소득세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서면-2023-징세-3929  ·  2024. 06. 14.

  • 국세청(서면-2023-징세-3929, 2024-06-14) 회신에 따르면 연말정산된 근로소득만 있고 소득세 확정신고를 하지 않은 원천징수대상자는 연말정산세액의 납부기한이 지난 후 5년 이내에 경정청구가 가능하다고 안내하였습니다.
  • 법령해석과-2602(2021. 07. 26.)와 국세기본법 제45조의2 제5항의 해석을 근거로 합니다.
  • 연말정산 후 빠뜨린 공제항목이 있는 경우에도 연말정산세액 납부기한 경과 후 5년 내에 경정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 종합소득세 확정신고를 별도로 하지 않아도 연말정산만 한 근로소득자는 이 규정의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경정청구의 기산일은 연말정산세액의 납부기한 다음 날로 보아 5년 이내에 청구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명확히 회신하였습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국세기본법 제45조의2(경정 등의 청구): 경정청구는 법정신고기한(또는 연말정산세액 납부기한) 경과 후 5년 이내에 가능
  • 국세기본법 제45조의2 제5항: 연말정산된 근로소득만 있는 원천징수대상자는 연말정산세액 납부기한 경과 후 5년 이내 경정청구 특례
  • 국세기본법 제45조의2 적용대상: 소득세법 제73조제1항 각 호 외에도 원천징수로 낸 근로소득 포함
  • 법령해석과-2602(2021. 07. 26.): 연말정산 근로소득자 경정청구 가능 시점 및 기한 명확화
사례 Q&A
1. 근로소득 연말정산만 한 경우 경정청구 기한은?
답변
연말정산세액 납부기한이 지난 후 5년 이내에 경정청구가 가능합니다.
근거
국세기본법 제45조의2 제5항 및 국세청 기존 해석사례에 따릅니다.
2. 연말정산 누락 공제 경정청구 가능한가요?
답변
연말정산 시 누락된 공제항목이 있는 경우에도 5년 이내 경정청구가 가능합니다.
근거
법령해석과-2602 및 국세청 서면-2023-징세-3929 회신에 명확히 언급되어 있습니다.
3. 근로소득으로 종합소득세 신고 안 한 경우 경정청구 방법은?
답변
별도의 종합소득세 신고 없이도 원천징수대상자 자격으로 경정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근거
국세기본법 제45조의2 제5항과 국세청 유권해석에 근거합니다.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요지

연말정산된 근로소득만 있어 소득세 과세표준 확정신고를 하지 않은 원천징수대상자는 연말정산세액의 납부기한이 지난 후 5년 이내에 경정을 청구할 수 있음

회신

귀 질의의 경우 기존해석사례(법령해석과-2602, 2021. 07. 26.)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법령해석과-2602, 2021. 07. 26.
연말정산된 근로소득만 있어 소득세 과세표준 확정신고를 하지 않은 원천징수대상자는 「국세기본법」 제45조의2제5항에 따라 경정청구 할 수 있으므로, 연말정산세액의 납부기한이 지난 후 5년 이내에 경정을 청구할 수 있는 것입니다.

1. 사실관계

 ○신청인은 2018년 귀속 근로소득만 있는 자로서, 연말정산 당시 반영하지 못한 공제항목이 있어 2023년 귀속 종합소득세 정기신고 기간에 2018년 기한후 신고를 진행하고자 함

 ○세무서로부터 ⁠“2017년 귀속에 근로소득만 있고 연말정산을 한 대상자는 부과제척기간의 기산일이 정기신고 말일이 아닌 근로소득 지급명세서를 제출한 다음날인 3월 11일이기 때문에 2023년 3월 이후에는 신고 불가능함”을 안내 받음

2. 질의내용

 ○근로소득자의 경정청구 기산일이 근로소득 지급명세서 제출 다음날인지, 소득세 확정신고기한 다음날인지

3. 관련법령

국세기본법 제45조의2 【경정 등의 청구】

① 과세표준신고서를 법정신고기한까지 제출한 자 및 제45조의3제1항에 따른 기한후과세표준신고서를 제출한 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할 때에는 최초신고 및 수정신고한 국세의 과세표준 및 세액의 결정 또는 경정을 법정신고기한이 지난 후 5년 이내에 관할 세무서장에게 청구할 수 있다. 다만, 결정 또는 경정으로 인하여 증가된 과세표준 및 세액에 대하여는 해당 처분이 있음을 안 날(처분의 통지를 받은 때에는 그 받은 날)부터 90일 이내(법정신고기한이 지난 후 5년 이내로 한정한다)에 경정을 청구할 수 있다.

1. 과세표준신고서 또는 기한후과세표준신고서에 기재된 과세표준 및 세액(각 세법에 따라 결정 또는 경정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결정 또는 경정 후의 과세표준 및 세액을 말한다)이 세법에 따라 신고하여야 할 과세표준 및 세액을 초과할 때

2. 과세표준신고서 또는 기한후과세표준신고서에 기재된 결손금액 또는 환급세액(각 세법에 따라 결정 또는 경정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결정 또는 경정 후의 결손금액 또는 환급세액을 말한다)이 세법에 따라 신고하여야 할 결손금액 또는 환급세액에 미치지 못할 때

[이하....중략]

「소득세법」 제73조제1항 각 호에 해당하는 소득이 있는 자, 「소득세법」 제119조제1호ㆍ제2호, 제4호부터 제8호까지, 제8호의2 및 제10호부터 제12호까지의 규정에 해당하는 소득이 있는 자 또는 「법인세법」 제93조제1호ㆍ제2호, 제4호부터 제6호까지 및 제8호부터 제10호까지의 규정에 해당하는 국내 원천소득이 있는 자(이하 이 항 및 제52조에서 "원천징수대상자"라 한다)의 경우에는 제1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을 준용한다. 이 경우 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 중 "과세표준신고서를 법정신고기한까지 제출한 자 및 제45조의3제1항에 따른 기한후과세표준신고서를 제출한 자" 및 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중 "과세표준신고서를 법정신고기한까지 제출한 자 또는 국세의 과세표준 및 세액의 결정을 받은 자"는 "연말정산 또는 원천징수하여 소득세 또는 법인세를 납부하고 「소득세법」 제164조, 제164조의2 및 「법인세법」 제120조, 제120조의2에 따라 지급명세서를 제출기한까지 제출한 원천징수의무자 또는 원천징수대상자(「소득세법」 제1조의2제1항제2호에 따른 비거주자 및 「법인세법」 제2조제3호에 따른 외국법인은 제외한다. 원천징수의무자의 폐업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가 발생하여 원천징수의무자가 경정을 청구하기 어렵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로, 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ㆍ단서 및 제2항제5호 중 "법정신고기한이 지난 후"는 "연말정산세액 또는 원천징수세액의 납부기한이 지난 후”로, 제1항제1호 중 "과세표준신고서 또는 기한후과세표준신고서에 기재된 과세표준 및 세액"은 "원천징수영수증에 기재된 과세표준 및 세액"으로, 제1항제2호 중 "과세표준신고서 또는 기한후과세표준신고서에 기재된 결손금액 또는 환급세액"은 "원천징수영수증에 기재된 환급세액"으로 본다.

1. 삭제

2. 삭제

3. 삭제

○ 법령해석과-2602, 2021. 07. 26.

연말정산된 근로소득만 있어 소득세 과세표준 확정신고를 하지 않은 원천징수대상자는 「국세기본법」 제45조의2제5항에 따라 경정청구 할 수 있으므로, 연말정산세액의 납부기한이 지난 후 5년 이내에 경정을 청구할 수 있는 것입니다.

출처 : 국세청 2024. 06. 14. 서면-2023-징세-3929 | 국세법령정보시스템

유권해석

  • 뒤로가기 화살표
  • 로그인

근로소득 연말정산 경정청구 가능 시점과 기한

서면-2023-징세-3929  ·  2024. 06. 14.
질의 및 요약

Q질의내용

  • 연말정산된 근로소득만 있는 원천징수대상자는 경정청구를 언제까지 할 수 있습니까?

S요약

연말정산된 근로소득만 있는 원천징수대상자는 별도의 소득세 확정신고를 하지 않아도 연말정산세액의 납부기한이 지난 후 5년 이내에 경정청구가 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근로소득 #연말정산 #경정청구 #원천징수대상자 #납부기한
핵심 정리

R회신 내용 서면-2023-징세-3929  ·  2024. 06. 14.

  • 국세청(서면-2023-징세-3929, 2024-06-14) 회신에 따르면 연말정산된 근로소득만 있고 소득세 확정신고를 하지 않은 원천징수대상자는 연말정산세액의 납부기한이 지난 후 5년 이내에 경정청구가 가능하다고 안내하였습니다.
  • 법령해석과-2602(2021. 07. 26.)와 국세기본법 제45조의2 제5항의 해석을 근거로 합니다.
  • 연말정산 후 빠뜨린 공제항목이 있는 경우에도 연말정산세액 납부기한 경과 후 5년 내에 경정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 종합소득세 확정신고를 별도로 하지 않아도 연말정산만 한 근로소득자는 이 규정의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경정청구의 기산일은 연말정산세액의 납부기한 다음 날로 보아 5년 이내에 청구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명확히 회신하였습니다.

L관련 법령 해석

  • 국세기본법 제45조의2(경정 등의 청구): 경정청구는 법정신고기한(또는 연말정산세액 납부기한) 경과 후 5년 이내에 가능
  • 국세기본법 제45조의2 제5항: 연말정산된 근로소득만 있는 원천징수대상자는 연말정산세액 납부기한 경과 후 5년 이내 경정청구 특례
  • 국세기본법 제45조의2 적용대상: 소득세법 제73조제1항 각 호 외에도 원천징수로 낸 근로소득 포함
  • 법령해석과-2602(2021. 07. 26.): 연말정산 근로소득자 경정청구 가능 시점 및 기한 명확화
사례 Q&A
1. 근로소득 연말정산만 한 경우 경정청구 기한은?
답변
연말정산세액 납부기한이 지난 후 5년 이내에 경정청구가 가능합니다.
근거
국세기본법 제45조의2 제5항 및 국세청 기존 해석사례에 따릅니다.
2. 연말정산 누락 공제 경정청구 가능한가요?
답변
연말정산 시 누락된 공제항목이 있는 경우에도 5년 이내 경정청구가 가능합니다.
근거
법령해석과-2602 및 국세청 서면-2023-징세-3929 회신에 명확히 언급되어 있습니다.
3. 근로소득으로 종합소득세 신고 안 한 경우 경정청구 방법은?
답변
별도의 종합소득세 신고 없이도 원천징수대상자 자격으로 경정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근거
국세기본법 제45조의2 제5항과 국세청 유권해석에 근거합니다.

*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수집·제공하는 공공데이터로, 현재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은 소관 부처에 확인하거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유권해석 전문

요지

연말정산된 근로소득만 있어 소득세 과세표준 확정신고를 하지 않은 원천징수대상자는 연말정산세액의 납부기한이 지난 후 5년 이내에 경정을 청구할 수 있음

회신

귀 질의의 경우 기존해석사례(법령해석과-2602, 2021. 07. 26.)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법령해석과-2602, 2021. 07. 26.
연말정산된 근로소득만 있어 소득세 과세표준 확정신고를 하지 않은 원천징수대상자는 「국세기본법」 제45조의2제5항에 따라 경정청구 할 수 있으므로, 연말정산세액의 납부기한이 지난 후 5년 이내에 경정을 청구할 수 있는 것입니다.

1. 사실관계

 ○신청인은 2018년 귀속 근로소득만 있는 자로서, 연말정산 당시 반영하지 못한 공제항목이 있어 2023년 귀속 종합소득세 정기신고 기간에 2018년 기한후 신고를 진행하고자 함

 ○세무서로부터 ⁠“2017년 귀속에 근로소득만 있고 연말정산을 한 대상자는 부과제척기간의 기산일이 정기신고 말일이 아닌 근로소득 지급명세서를 제출한 다음날인 3월 11일이기 때문에 2023년 3월 이후에는 신고 불가능함”을 안내 받음

2. 질의내용

 ○근로소득자의 경정청구 기산일이 근로소득 지급명세서 제출 다음날인지, 소득세 확정신고기한 다음날인지

3. 관련법령

국세기본법 제45조의2 【경정 등의 청구】

① 과세표준신고서를 법정신고기한까지 제출한 자 및 제45조의3제1항에 따른 기한후과세표준신고서를 제출한 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할 때에는 최초신고 및 수정신고한 국세의 과세표준 및 세액의 결정 또는 경정을 법정신고기한이 지난 후 5년 이내에 관할 세무서장에게 청구할 수 있다. 다만, 결정 또는 경정으로 인하여 증가된 과세표준 및 세액에 대하여는 해당 처분이 있음을 안 날(처분의 통지를 받은 때에는 그 받은 날)부터 90일 이내(법정신고기한이 지난 후 5년 이내로 한정한다)에 경정을 청구할 수 있다.

1. 과세표준신고서 또는 기한후과세표준신고서에 기재된 과세표준 및 세액(각 세법에 따라 결정 또는 경정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결정 또는 경정 후의 과세표준 및 세액을 말한다)이 세법에 따라 신고하여야 할 과세표준 및 세액을 초과할 때

2. 과세표준신고서 또는 기한후과세표준신고서에 기재된 결손금액 또는 환급세액(각 세법에 따라 결정 또는 경정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결정 또는 경정 후의 결손금액 또는 환급세액을 말한다)이 세법에 따라 신고하여야 할 결손금액 또는 환급세액에 미치지 못할 때

[이하....중략]

「소득세법」 제73조제1항 각 호에 해당하는 소득이 있는 자, 「소득세법」 제119조제1호ㆍ제2호, 제4호부터 제8호까지, 제8호의2 및 제10호부터 제12호까지의 규정에 해당하는 소득이 있는 자 또는 「법인세법」 제93조제1호ㆍ제2호, 제4호부터 제6호까지 및 제8호부터 제10호까지의 규정에 해당하는 국내 원천소득이 있는 자(이하 이 항 및 제52조에서 "원천징수대상자"라 한다)의 경우에는 제1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을 준용한다. 이 경우 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 중 "과세표준신고서를 법정신고기한까지 제출한 자 및 제45조의3제1항에 따른 기한후과세표준신고서를 제출한 자" 및 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중 "과세표준신고서를 법정신고기한까지 제출한 자 또는 국세의 과세표준 및 세액의 결정을 받은 자"는 "연말정산 또는 원천징수하여 소득세 또는 법인세를 납부하고 「소득세법」 제164조, 제164조의2 및 「법인세법」 제120조, 제120조의2에 따라 지급명세서를 제출기한까지 제출한 원천징수의무자 또는 원천징수대상자(「소득세법」 제1조의2제1항제2호에 따른 비거주자 및 「법인세법」 제2조제3호에 따른 외국법인은 제외한다. 원천징수의무자의 폐업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가 발생하여 원천징수의무자가 경정을 청구하기 어렵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로, 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ㆍ단서 및 제2항제5호 중 "법정신고기한이 지난 후"는 "연말정산세액 또는 원천징수세액의 납부기한이 지난 후”로, 제1항제1호 중 "과세표준신고서 또는 기한후과세표준신고서에 기재된 과세표준 및 세액"은 "원천징수영수증에 기재된 과세표준 및 세액"으로, 제1항제2호 중 "과세표준신고서 또는 기한후과세표준신고서에 기재된 결손금액 또는 환급세액"은 "원천징수영수증에 기재된 환급세액"으로 본다.

1. 삭제

2. 삭제

3. 삭제

○ 법령해석과-2602, 2021. 07. 26.

연말정산된 근로소득만 있어 소득세 과세표준 확정신고를 하지 않은 원천징수대상자는 「국세기본법」 제45조의2제5항에 따라 경정청구 할 수 있으므로, 연말정산세액의 납부기한이 지난 후 5년 이내에 경정을 청구할 수 있는 것입니다.

출처 : 국세청 2024. 06. 14. 서면-2023-징세-3929 | 국세법령정보시스템